1. 면담을 할 때에 적절하지 않은 조건은?
① 비밀을 얘기할수 있을 정도의 독립적 공간
② 방해를 받지 않는 분위기
③ 참여자들 사이의 폐쇄적 공간
④ 넓은 공간
⑤ 면담시간 약 50분, 집단면담시간 약 90~120분 정도로 한다.
2. 정보수집 면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클라이언트의 개인적, 사회적 문제와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배경과 개인성장 발달사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
②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 나이, 성별, 학력 등이 포함된다.
③ 가족력으로 클라이언트의 원가족 중심의 가족관계를 포함한다.
④ 개인력으로 클라이언트가 가지고 있는 사회적, 직업적 기능 정도가 포함된다.
⑤ 클라이언트의 유형, 문제영역, 기관성격에 따라 정보의 초점이 달라진다.
3. 사회복지면담의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른 것은?
ㄱ. 분위기 조성기술 - 심리적으로 편않나 분위기를 만드는 기술
ㄴ. 경청기술 - 클라이언트가 말하고 행동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여 이해하는 것
ㄷ. 질문기술- 폐쇄형 질문, 개방형 질문, 사적 질문 등이 있음
ㄹ. 표현촉진기술 - 정보를 이끌어내기 위한 기술로서, 계속 말을 하도록 반응을 보임
① ㄱ, ㄷ ② ㄱ, ㄷ, ㄹ ③ ㄱ, ㄴ, ㄹ ④ ㄱ, ㄴ, ㄷ ⑤ ㄱ, ㄴ, ㄷ, ㄹ
4. 사정의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사정은 계속적인 과정이다.
② 사정은 클라이언트와 사회복지사의 상호과정이다.
③ 수평적 탐색보다는 수직적 탐색이 더 중요하다.
④ 클라이언트를 완전히 이해하는데는 항상 한계가 있다.
⑤ 생활상황 속에서 욕구를 발견하고 문제를 정의하며 그 의미와 유형을 설명한다.
5. 목표설정의 지침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목표는 반드시 클라이언트가 바라는 바와 연결 되어야 한다.
② 목표는 달성 가능해야 한다.
③ 목표는 반드시 기관의 기능과 일치해야 한다.
④ 목표가 사회복지사의 중요한 권리나 가치에 맞지 않는다해도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위해 동의하도록 해야한다.
⑤ 목표는 성장을 강조하는 긍정적 형태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