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 언론은 최근 중국 여러 지역을 뒤덮은 대규모 스모그 현상을 보도하고 있는데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어느 지역은 ‘가시거리가 20m밖에 보이지 않는 희뿌연 모습’ 같은 보도를 보면 좀 아찔해 보인다. 물론 중국 정부도 스모그를 줄이기 위해서 애쓰고는 있으나, 한반도를 비롯한 동북아시아의 대기환경은 봄날의 황사같이 지속적인 스모그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은 올겨울 중국의 화석연료 사용 증가와 한반도 기상 조건으로 볼 때 내년 봄까지 스모그가 수시로 엄습해 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제는 주변국도 ‘환경오염 해결’에 관한 국제법 조항이 아니더라도 스모그는 중국만의 문제가 아니라 ‘한반도를 비롯해 동북아시아의 환경문제’로 인식하고 중국과 함께 그 대응방안을 찾아봐야 한다. 한국도 2015년부터 ‘환경정책기본법’을 시행해 ‘미세먼지 PM2.5’를 규제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고 있다.
한국의 대도시만 보더라도 “4.5톤 이상의 화물차는 진입 금지” 같은 안내 표지판이 수두룩하게 세워져 있다. 디젤 자동차는 연간 1대당 몇만 원의 환경부담금이 부여된다. 물론 디젤 자동차 종류에 따라 적용이 조금씩 다르고, 휘발유 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는 그와 같은 부담금이 일절 없다. 시내버스는 디젤에서 천연가스 연료로 거의 대체했는데, 정부가 보조금을 주면서까지 권장했다.
더욱이 한국도 베이징처럼 분지 도시가 많다. 분지 도시의 기후는 대체로 강수량이 적고 매우 건조하며 겨울은 춥고 여름은 무척 무덥다. 일례로 사방이 산지로 둘러싸여 있는 대구를 들 수 있는데 이 도시는 여름만 돌아오면 한국에서 가장 덥다. 그 도시가 96년부터 시 예산을 투자해 10여 년간 대대적인 나무 심기를 했다. 그때 대구시장은 돈에 구애받지 말고 시 전역에 열심히 나무를 심으라고 지시했다. 자투리땅이라도 총총하게 나무를 심었고, 하다못해 동대구로는 아예 중앙 한 차선을 빼내 그 자리에 나무를 심었다.
나무를 심는 게 불볕더위를 누그러뜨릴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시에서 도박을 감행한 셈이다. 그 나무 심기를 하면서 도로도 막히고 해서 시민에게 욕도 얻어먹었지만, 시장은 불도저처럼 밀어붙였다. 그래서 지금은 ‘여름에 대구가 제일 덥다(물론 그것도 덮고 습한 날씨가 한동안 이어지면 나무가 더위 차단에 별 효과가 없다는 반박도 있긴 하지만.)’는 말이 쑥 들어갔다.
중국도 지형이 불리할수록 적극적으로 캠페인을 벌여서라도 스모그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바람직하다. 스모그 방지가 늦추어지면 단기간엔 예산을 절약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장기간엔 그 절약이 부메랑으로 돌아와 더 큰 낭패를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시민 의식이 선행돼 실천하려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즉 스모그 원인은 복합적이지만, 일상생활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것들이 주범일 수밖에 없어 ‘나 한 사람쯤이야 괜찮겠지’ 보다 환경을 한 번쯤 생각해 보는 성숙함이 필요하다.
중국의 교통 문화를 조금만 살펴보아도 알 수 있다. 필자가 한·중 양국의 교통 문화를 보면서 느끼는 건 중국의 전반적인 교통 시스템은 한국보다 꽤 잘 갖추어져 있다는 인상을 받곤 한다. 중국을 열서너 번 방문해 교통 문화를 접하면서 한국보다 뒤처졌다고 느끼는 건 딱 한 가지이다. 그것은 바로 ‘교통질서를 지켜야 한다는 의지’가 조금 부족할 뿐 그 이외 것은 한국보다 우수하다.
도로 차선의 폭을 볼 때도 한국보다 20cm 이상 폭이 넓어 보여 매우 좋았는데, 그것은 운전 중 불필요하게 신경 쓰이는 것을 최소화해 피로감이 줄어든다. 지방의 국도도 한국보다 폭이 넓어 이륜차·우마차·농기구를 실은 차 등을 여유롭게 지나칠 수 있어 참 좋았다. 교통질서 부문에서 중국인의 의식 개혁이 조금만 개선된다면 교통문화는 분명 더할 나위 없이 편리해질 것이다.
따져보면 황사문제만 하더라도 인재가 아닌 자연재해다. 중국이 보유한 3조 달러의 외환을 황사 저지에 모두 쏟아 부어도 그 모든 황사를 저지할 뾰족한 방법은 없다. 그렇다고 그 황사를 오직 ‘중국만의 문제로 접근해선 안 된다.’ 사막화 또는 사막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은 중국 일부 지역 때문이다. 스모그 현상도 그렇다. 서두에서 살짝 언급했듯이 이제 ‘중국만의 문제를 뛰어넘어 동북아시아 환경 문제까지 염두에 둬야’ 한다. 중국은 주변국과 긴밀하게 협력해 ‘동북아시아 환경오염’의 대응이라는 큰 틀 속에서 ‘친환경 발전방향’의 장기 전략을 세워 새로운 비전을 제시해 주었으면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