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맞이해서 구글플레이 할인 행사도 하고 해서 다른 게임도 많이 질렀는데 최근에 자주 하는 건 오히려 무료게임인 ea에서 나온 심시티 빌드잇입니다. 구글플레이 메인에 추천게임으로 떠 있어서 해 본 사람도 많을텐데요. 전 처음 들어가 보고 리뷰가 전부 돈이 없다고 불평불만하는 것들이라 좀 실망하긴 했지만 일단 용량도 착하고 해서 실행해봤습니다.
튜토리얼은 아주 잘 되어있고요. 초기에는 흥미롭게 몰입할 수 있습니다. 여타의 ea모바일 게임처럼 시스템은 원작보다 대폭 간소화되어 있습니다. 한 사흘 해보고 느낀 건 절대로 돈 없어서 불가능한 게임도 아니고 현질 없이도 충분히 즐길 수 있습니다. 혹시 수입 때문에 어려움을 겪을지 모르는 회원분 위해서 간단한 리뷰 준비해 봤습니다.
1. 개관

타이틀화면

초기화면입니다.
좌상단에 레벨(11), 인구, 창고용량,
설정
친구목록
우상단은 자원입니다. 시뮬레온, 지폐(이건 상점슬롯 늘리는 데만 쓰세요), 황금열쇠(학교 등 특성화건물 지을 때 필요)
우하단은 건설목록 도로,주택,상점,공장,공공서비스 순입니다.


각 항목을 클릭하면 설명과 다음 단계에 개방되는 시설들이 나옵니다. 미리 보고 예상해서 돈을 계획적으로 관리해야만, 필요할 때 필요한 지출을 할 수 있죠. 저는 다음렙에 경찰서가 개방되어서 가능하면 18000시뮬레온 이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시간에 지나 밤이 되면 조명이 켜지면서 다른 풍경을 보여줍니다. 스샷말고 실제 게임에선 광원효과 꽤 이쁨.
2. 도시구획 및 서비스
위에 설명했듯이 도로, 주거, 공장, 상점, 공공서비스가 있고 튜토리얼 진행하면서 구청,시청,시장관사 등을 짓습니다.
모든 공장과 공공서비스 중 일부 혐오시설들(석탄발전소, 하수처리장 등)은 주거지와 떨어지게 짓습니다.
공원,소방서 등은 영향 범위 내에 모든 주거지가 있어야 됩니다.
수도, 하수, 전기 등은 도로만 연결되면 공급이 됩니다.
주거건물은 시작은 영화에서 빈민들이 사는 컨테이너집에서 시작해서 일정 자원을 투자해서 재개발할 수 있습니다.

저는 현재레벨에서 최종단계로 모든 건물 재개발 마쳤고요. 빌딩뿐이라 좀 삭막하네요.
재개발은 인구수 증가+즉시 수입발생(커미션?)+세금 확대 등의 효과가 있습니다.
재개발에 필요한 재료가 있는데 비축량이 적거나 가치가 높은 재료가 들어갈 때는 도면 바꾸기를 하면 30분 뒤에 새로운 재료를 투입해서 재개발 할 수 있으니 활용하시고요.
레벨이 올라가면서 지을 수 있는 주거지가 늘어나는데요. 여기에 함정이 있는데 계획성 없이 막 지으면 안되겠습니다.


공공서비스 건물은 보통 소형,중형,대형이 있는데 비싸더라도 등급이 높은 게 효율이 좋으니 가능하면 중형이상을 권장하고요.
수도 전기 하수는 용량에 맞춰서 주거지를 짓지 않으면 1~2집 때문에 몇만씩 돈을 투자하는 수가 생길 수 있으니 초반에는 용량에 딱 맞춰서 주거지를 짓습니다.
공원 소방 경찰 서비스 등은 주변 블록에 가능하면 많은 주거지가 오도록 배치하시고요.


*참고로 레벨이 오르면 교육,대중 교통 등 특성화 서비스가 제공되고 이걸 해제하려면 교육부 등 관청을 지어야 하는데 기본가격이 4만 시뮬레온이라는 어마어마한 가격인데, 있으면 주민들이 좋아하고 인구가 늘어나는 효과가 있지만, 없다고 문제가 생기지는 않습니다. 어차피 저거 지어도 황금열쇠 없으면 관련 건물들 지을 수도 없어요. 저렙 때 저런 걸 지으려고 하면 초반에 힘 빠져서 게임 못하죠. 그냥 없는 셈 치는 게 속 편합니다. 필수 건물 짓는 데 드는 돈도 빠듯하거든요.
3. 공장 및 상점
공장에서는 철,목재,플라스틱,씨앗(GMO?!),광석 등의 원자재를 생산합니다. 기본공장(3슬롯),대량(4슬롯),....계속 규모가 커지는데
최대 5군데 지을 수 있고 (저렙 때는)생산 가능한 품목은 같으니 굳이 무리하면서 공장 증설할 필요는 없습니다.


생산완료된 재료를 클릭하면 됩니다.

공장 유해범위는 항상 주의하시고요. 주거지 사이에 땅을 놀리거나, 관청건물, 상점 등을 놓으시면 됩니다.
다음으로 상점은 공장에서 생산한 원재료를 가공해서 제품을 만듭니다.(뭔가 이것도 공장같지만 넘어가죠)

상점 종류에 따라 다른 제품을 만들어 내놓습니다.

철물점은 망치,줄자, 삽 등
건축자재점은 못,합판 등
농산물마트에서는 야채 등
가구점에서는 의자 등....


상점들에 위계가 있는데
건축자재점에서 못, 철물점에서 망치, 공장에서 나온 목재 이 3가지를 조합해서 가구점에서 의자를 만드는 식이죠.
극초반에는 건물을 재개발하는데 주로 원재료가 쓰이지만, 상점을 어느 정도 지은 뒤에는 재개발할 때 상점물품들도 필요합니다.
재개발을 대부분 완료하면 이 물건들이 더이상 쓸모가 없어보이지만, 사실 이 상점물품들을 많이 만들고 보유하는 게 넉넉한 도시재정을 위한 지름길입니다. 후술하겠습니다.
4. 확장
확장은 크게 창고 용량확장과 도시구역 확장 2가지입니다.
먼저 창고용량은 기본 40인데 진행하면서 턱없이 부족함을 느끼게 됩니다.
창고용량을 늘리려면 자물쇠,창살,cctv 3가지 아이템이 필요합니다. 저도 얻는 방법을 몰라서 초반에 애를 먹었죠.

이따금씩 주거지에 말풍선이 뜨고 클릭하면 심들이 하는 말이 보입니다. 한번 클릭하면 대사가 뜨는데 시정 만족도가 높으면 시장을 찬양하고 뜬금없이 사랑고백하기도 하고 부족한 서비스에 대해 건의를 하기도 하죠. 한번 더 클릭하면 말풍선이 없어지는데요. 반드시 더블클릭해서 말풍선을 완전히 없애면 일정확률로 확장에 필요한 아이템이 나옵니다.

이런 식으로요.
이 확장아이템은 아주 가치가 높아서 뒤에 설명할 유저거래소에도 자주 매물이 나오지만 시뮬레온을 소비해야하고, 일부 품목(창고창살!!!)은 빛의 속도로 매진이 되어서 몇번씩 헛탕은 치게 되죠. 반대로 특정 템만 유독 많은 축복받은 시장은 팔아서 수익을 얻을 수도 있습니다.

잘 모아서 창고 용량을 늘립니다. 최초 40에서 50 늘리는데 각1개씩, 60은 2개, 70은 3개로 필요량이 늘어납니다. 계속 필요하다는 얘기죠. 급전이 필요하지 않으시다면, 또는 한종류만 너무 많아서 창고 용량 잡아먹는 상황아니면 모아두시길 권장합니다. 확장템들은 나중이든 언제든 매물로 내놓으면 바로 팔리거든요.
다음으로 도시구역 확장입니다.
시작하면 기본 지역이 주어집니다. 해변에 인접한 평지이고 주변에 호수와 숲들이 있습니다.
호수나 숲은 한번 밀면 사라집니다. 지형 변경이 안되는 것도 이 게임의 단점이에요. 빌딩숲 만드는 것도 좋지만 기존의 자연도 살리면 훨씬 개성있는 도시가 되겠죠.
구역확장에는 톱니바퀴,불도저 삽날,피스톤이 필요합니다.

얻는 방법은 창고아이템 때와 동일하고요. 얻는 건 무조건 확률인데 어떤 때는 한 20번 클릭해서 5개 정도 나온 적도 있고, 어떤 때는 몇십번 찍어서 1~2번 나온 적도 있어요. 제 경험상 새벽 시간에 잘 나왔습니다.
5. 도시의 수입
이 게임에서 많은 유저들이 돈 부족하다고 아우성인데는 명색이 도시경영인데 세금 수입이 형편없기 때문입니다.

아마 30분~1시간 정도마다 세금이 들어오는데 11렙에 시정만족도 높고 인구도 4만정도인데 기본 세입이 86시뮬레온입니다.
공공건물 새로 짓는데 최소 수천~수만이 들어가는 점을 감안하면 답이 없죠. 다른 수입을 찾아야 합니다.

공원,전기,수도,하수,소방 등의 공공서비스 건물에 돈표시가 뜰 때가 있는데 클릭하면 엔피시가 거래를 제안합니다.


저렙때는 원재료 거래가 많이 들어오고, 레벨이 올라오면서 상점제품 거래도 많은데, 건물 재개발에 필요하지 않고 만드는데 큰 시간이 필요하지 않은 물품은 무조건 거래하세요. 시세가 조금씩 달라지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도움이 됩니다, 관련 업적도 있고요.
어느 정도 레벨이 오르면 의외로 큰 거래도 들어옵니다. 의자 6개 팔아서 2천 이상 남긴 적도 있죠. 세금 따윈 검값.
추천 제품은 야채,의자 따위입니다. 시간이 꽤나 오래 걸리는 제품들이니 로그아웃할 때 대기열에 잔뜩 쌓아두고 들어와서 파는 식으로 하면 4만짜리 초호화관청같은 거 안 짓는 이상 크게 돈 부족은 못 느끼실겁니다.
또 다른 방법은 다른 유저에게 내게 남는 물품을 파는 겁니다.

화면 좌측 고속도로 변 아래쪽 무역 기지 클릭하면 판매창이 뜨는데 클릭해서 내물건 등록, 가격 정하고, 광고 등록하면
아래에 설명할 글로벌 무역 협회에 등록한 물건이 떠서 다른 유저가 보고 내 도시에 찾아와서 물건을 클릭해서 사갑니다.
주의하실 점은 공장제 원재료나 상점 제작품은 올리지 마세요!
누구나 만들 수 있는 건 팔리지 않습니다. 그래서 대기열에 며칠씩 쌓이는 물건들이 수두룩 하죠. 원래 저도 목재, 플라스틱, 철광석 하루 넘게 안팔렸는데 창고물품 사가는 좋은 분이 같이 치워주고 가셨더라고요. (그분 보고 배워서 저도 저렙분들 저런 재료들 창고용량 되는 대로 치워주고 그래요)

무역기지 위에 글로벌 무역센터 클릭하면 전세계 "일부"(!)유저들이 올린 물품들이 보입니다.
일부기 때문에 찾는 품목 없으면 몇번씩 나갔다 들어왔다 해야되고요. 사는 건 더 골때리는데 "반드시"(!) 그 유저 도시로 가서 무역기지에서 클릭해야 구입이 됩니다. 그래서 가는 동안 다른유저가 먼저 사가서 품목이 없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죠. 여러번 당하면 정말 화남. 돈문제보다 이점이야말로 반드시 개선해야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정리하면
1) 원재료,상점 물품은 npc에게 판다.
2) (창고,지역)확장 아이템들은 유저거래에 올리세요.
6. 화물선과 황금열쇠

인구가 일정 수준되면 부두 건설이 시작되고 하루 정도 뒤에 화물선이 들어옵니다.



필요한 품목은 랜덤인 듯 하네요. 만들거나 사거나 해서 하나씩 채워넣으면 시뮬레온 수입도 얻고, 출항시에 황금열쇠를 줍니다.

다음 화물선 예고도 해주네요. 스카이넷이 활동을 시작했군요. 인류평화를 위해 거래를 거부해야 할까하는 드립....

오늘 오전에 새로운 자원인 황금열쇠를 얻었습니다.
뭐 아직은 열쇠가 넘쳐나도 지을 수도 없지만 특성화건물 지을 때는 이런 게 10개씩 필요하답니다.
7. 마치며
제 글은 여기까지입니다. 아직 저렙티 갓 벗은 입장이라 게임 오래하신분들은 다 아는 내용일 수 있지만
이 게임 처음 시작하거나, 수입 창출에 어려움 느끼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첫댓글 오 한글판이네
우와 고생하셨어요 함 해봐야겠네요 ㅎㅎ
심시티에 추억이 있어서 깔지 말지 고민했는데 덕분에 글보면서 해봐야겠네요..
EA 자식들. 모바일용을 이정도까지 구현해 냈으면 PC용이나 제대로 만들던가, 패치를 잘해주던가 하지...
초반에 재미있긴한데 . 갈수록 힘들어지네요... 하다가 포기했습니다. ㅎㅎㅎ
저도 심히 고민중입니다
이런 시뮬게임들이 나중에는 저도 힘들어지고 지루함도 느껴서 포기를..ㅎㅎㅎㅎ
저도 앱스토어 메인에 이 겜 있어서 깔고 싶었지만, 기존에 깔아놓은 심즈 프리플레이도 묵혀놓은지라 엄두를ㅋㅋ
이런 류 게임은 한번 접속해서 1시간씩 매달리면서 할만한 게임은 아니라고 생각하고요.
한번에 10분 정도 하루에 몇번씩 잠깐 접속하는 개념으로 하니까 할만하더군요.
유저거래에 대해서는 수정할 부분이 있는데
14렙 되니까 원예상점 열리고 풀 만드는데 삽, 씨앗이 필요하네요.
이러면 기존에 의자 만들던 가구점은 놀게 됩니다. 철물점에서 삽을 만들동안 의자재료인 망치를 못 만들어요.
건축자재상점 역시 벽돌같은 새 재료를 생산하는 동안, 못을 못 만들면 의자 만들 재료가 부족하다는 거죠.
레벨이 올라가면서 게임하며 이 타이밍에 필요한데 다른 거 만드느라 못만드는 물건이 생기거든요
그런 재료는 올리면 잘 팔리네요.
철물점의 삽,망치,줄자
건축자재점의 못,합판
가구점의 의자
원예상점의 풀 같은 것들
다만 공장에서 나온 원재료는 남아돌아서 창고가 부족하지 않는 이상은 유저거래에 올리지 마세요. 철, 원목 제외하면 팔리기는 하는데
만드는데 2시간 걸리는 화학약품조차 가격이 너무 낮아서 이익은 없어요. 화학약품은 npc가 시세 잘 쳐줘도 절대 안팝니다.
가공해서 제품을 만들어 파는 게 훨씬 남습니다.
덕분에 재미나게 잘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ㅋ
넵~ 도움이 되어서 기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