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터벅 98기] 1주차 강습노트
안녕하세요. 지터벅 98기 강사 메로나 & 유진입니다.
첫 날이라 어색할 수 있는데도, 모든 분들이 강습에 참석해주시고 즐겁게 스윙하시는 모습 너무 멋졌습니다.
강습 후 뒷풀이, 강습후기, 출빠 및 출빠후기도 감동이었구요.
즐겁게 춤을 추실 수 있도록 계속해서 함께 노력해 보아요.
1주차 강습노트는 단톡방에 공유된 강습 Summary 영상과 함께 보시면 이해가 더 쉽습니다.
1주차 강습 노트 시작합니다!
1. 스윙댄스란?
스윙재즈에 맞춰 추는 춤으로 1920년대에 시작되어 30-40년대에 유행한 것으로 알려진 춤입니다.
린디합/지터벅/찰스턴/발보아 등 여러 종류의 춤이 있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습니다.
*아래 영상은 그 시대를 대표하는 영상 중 하나로 2분 40초부터 보시면 됩니다.
우리가 이번에 배우는 ‘지터벅’은 스윙댄스를 아우르는 용어로 쓰였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스윙댄스를 입문하는 분들이 쉽게 배울 수 있도록 6카운트로 구성된 스윙댄스를 의미합니다.
스윙은 재즈를 듣고 몸을 자연스럽게 흔드는 행위입니다.
재즈는 즉흥성과 변주, 교감을 중요시하는 음악 장르입니다.
따라서 같은 곡에서도 분위기에 따라 파트너에 따라 다양하고 매력적인 춤이 나오는 만큼, 자유도가 높은 춤이며,
이것이 스윙 댄스의 매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아래 영상은 스윙댄스가 갖는 즉흥성과 변주, 교감, 분위기, 자유도 모든 것이 잘 어우러져, 추는 이와 보는 이 모두에게 즐거움을 느끼게 해준다고 생각합니다.
* 지터벅을 졸업하고 린디합을 배우면 아래 영상처럼 더욱더 자유도가 높은 춤을 출 수 있습니다. 졸업까지 화이팅!
* 소셜 때 무작정 따라하면 안됩니다.
2. 용어 소개
• 리더(Leader): 춤을 제안하고 리드하는 사람. 일반적으로 남성분들이 리더 역할.
• 팔로워(Follower): 리더의 제안을 받는 사람. 일반적으로 여성분들이 팔로워 역할.
• 홀딩(Holding): 리더와 팔뤄가 춤을 추기 위해 손이나 몸을 통해 커넥션을 만드는 것.
• 홀딩 신청: 춤을 신청하는 행위
• 빠(Bar) 또는 홀(Dance Hall): 춤을 추는 공간(ex, 강습장소가 Swing it Hall)
• 출빠 또는 출홀: 홀이 열리는 시간에 맞춰 소셜을 즐기는 행위.
• 소셜(Social) 또는 제너럴(General): 강습 시간 이외에 스윙댄스를 자유롭게 추는 시간.
* 제너럴(General)은 한국에서 잘 쓰지 않습니다.
3. 스윙 음악 (참고)
스윙 음악은 일반적으로 8박자의 반복 리듬이 많으며, ‘짝수 박자에 강세’가 있습니다. 따라서(원 ‘투!’ 쓰리 ‘포!’ 파이브 ‘식스!’ 세븐 ‘에잇!’)로 됩니다.
아래 노래에 맞춰서 짝수 박자에 박수를 쳐보는 연습을 해보면 박자를 느끼는데 도움이 됩니다.
4. 바운스 (중요!)
바운스란 춤을 리드미컬하게 출수 있는 스윙 댄스의 기본 요소입니다.
음악 리듬 그리고 파트너와 동기화되기 위해 필요합니다.
(소셜 시간에 몸풀기용으로 한 곡씩 연습 권장.)
스윙댄스에서는 보통 다운 바운스를 사용합니다.
: 파트너에게 끌려가지 않기 위함일 수 있고, 오픈 포지션에서도 파트너와 동기화 될 수 있습니다.
바운스 동작 설명
바운스는 다관절운동으로 고관절/무릎/발목이 적절하게 사용되면 좋습니다.
1) 상체는 경직되지 않게 세우고 다리를 어깨 넓이로 벌립니다.(어깨를 편 상태 + 릴렉스)
2) 위로 점프를 했다가 내려오면 무릎이 자연스럽게 굽혀지고 상체가 낮아집니다.(줄넘기 착지 자세)
혹은 거울을 보고 안영미씨의 하이그레 자세를 취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3) 그 상태에서 코어를 중심으로 고관절/무릎/발목을 이용해 다운, 업으로 반복하여 움직입니다.
* 주의사항: 무릎만 사용하면 안 좋습니다. 무릎이 아프다고 느껴지면 중단하세요.
5. 그립(Grip)
1) 리더는 손 모양을 레고 장난감처럼 C모양으로 그립.
2) 팔뤄는 리더의 손과 포개 지도록 살포시 올린다. (손을 잡는 것이 아닌 걸쳐놓은 느낌)
3) 그 상태에서 서로의 중지&약지 손가락이 걸려 있다는 느낌으로 홀딩.
* 주의사항: 그립에서 엄지손가락으로 ‘꾹’ 누른다거나, 손을 쓰다듬는 행위 금지
6. 오픈 포지션(Open Position)
리더와 팔뤄가 마주본 상태에서 양손 또는 한손으로 홀딩 하는 자세.
이때 그립의 위치는 팔뤄의 허리 부근 높이(리더는 팔뤄의 신체조건에 맞춰주도록 노력)
7. 스텝
a. 지터벅 기본 스텝
스테엡 – 스테엡 – 락 스텝
* 락 스텝을 할 때 리더가 살짝 팔뤄를 뒤로 밀어주는 리딩을 하면, 팔뤄가 락 스텝을 자연스럽게 밟을 수 있습니다.
• 싱글스텝: 2Count 동안 한 스텝 (바운스 2번, 본 강습노트에서는 ‘스테엡’=’싱글스텝’)
• 더블스텝: 2Count 동안 두 스텝 = 1Count 동안 한 스텝(본 강습노트에서는 ‘스텝!’=’더블스텝’)
• 락 스텝: 2Count 동안 락!(원) 스텝!(투)
1) 락: 몸이 뒤로 이동하는 것을 발의 토(발바닥의 앞)를 이용해 막는 것. 뒤꿈치(힐)은 뗍니다.
2) 스텝: 다시 앞으로 추진하면서 이동
* 평소 본인의 보폭만큼 락스텝을 밟아주세요.
락스텝을 하는 이유
1) 추진력 얻기 및 방향 전환
2) 리딩의 요소가 됩니다.
* 패턴 전 알면 좋은 tip
음악이 시작되었을 때 파트너와 함께 본인기준 옆으로 밟는 스테엡 X 2 (스테엡은 짝수번으로 몇 번이든지 밟아도 됩니다.)
오픈포지션 홀딩 상태에서 리더는 왼발부터 시작, 팔뤄는 오른발부터 시작
1주차에 배우는 패턴의 모든 스텝과 리듬감은 다음과 같습니다.
리더의 리딩point에 따라 조금씩 움직이는 형태가 달라질 뿐 스텝과 리듬감은 같습니다.(리더/팔뤄 공통)
모든 스텝의 보폭은 평소 본인의 보폭 너비를 기본으로 하되, 파트너와 서로 맞춰주세요.(리더/팔뤄 공통)
8. 패턴 별 설명[사이드패스/(인&아웃사이드)언더암턴/벨트턴/비하인더백/터미네이터]
보통은 스테엡 – 스테엡 – 락스텝을 먼저 진행한 후 패턴에 들어가며,
이해를 돕기 위해 마지막 락스텝을 기준(1-2 카운트)으로 패턴 설명함.
a. 오픈 포지션 양손 잡고 사이드패스
오픈포지션 홀딩 상태에서 서로 파트너의 왼편으로 전진하면서 스텝을 밟는동작
1) 락스텝(1~2카운트): 리더/팔뤄 - 락!스텝! 앞으로 추진력 얻기
2) 스테엡(3~4카운트):
- 리더: 팔뤄의 왼편으로 전진 스테엡.
- 팔뤄: 리더의 왼편으로 전진 스테엡
3) 스테엡(5~6카운트): 리더/팔뤄 - 서로를 마주볼수있게 몸을 틀면서 스테엡.
b. 언더암턴(Under arm turn):
팔뤄가 리더의 팔 아래로 지나가면서 자연스럽게 턴하는 동작
인사이드 언더암턴:
리더의 몸 안쪽 팔 아래로 팔뤄가 지나가며 도는 동작
1) 락스텝(1~2카운트): 리더/팔뤄 - 락!스텝! 추진력 얻기.
2) 스테엡(3~4카운트):
- 리더: 팔뤄의 왼편(리더기준)으로 전진 스테엡 + 팔뤄와 잡은 왼손을 팔뤄의 이마 위로 옮기기 = 비켜가면서 팔뤄가 지나갈 수 있는 공간 만들어주기.
* 오른손은 놓는다.
- 팔뤄: 한보 직진(오른발) 스테엡, 서로 들려있는 손에서 팔뤄는 리더의 회전되는 손 움직임을 느끼며 반바퀴 회전 (오른발축, 왼쪽 방향으로 회전)
3) 스테엡(5~6카운트):
- 리더: 다시 팔뤄를 마주볼수 있게 몸을 틀면서 팔뤄가 있었던 위치에 스테엡.
- 팔뤄: 왼발을 자연스럽게 뒤쪽으로 스테엡, 이때 리더가 있던 위치에 스테엡.
아웃사이드 언더암턴:
리더의 몸 바깥쪽 팔 아래로 팔뤄가 지나가며 도는 동작
1) 락스텝(1~2카운트): 리더/팔뤄 - 락!스텝! 추진력 얻기.
2) 스테엡(3~4카운트):
- 리더: 팔뤄의 오른편(리더기준)으로 전진 스테엡 + 팔뤄의 이마 위로 왼손 들어주기 = 비켜가면서 팔뤄가 지나갈 수 있는 공간 만들어주기.
* 오른손은 놓는다.
- 팔뤄: 한보 직진(오른발) 스테엡 ,이마 위로 들린 오른손에 직진 하던 방향이 막혀 반바퀴 회전, + 리더 마주보기(오른발 축,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
3) 스테엡(5~6카운트):
- 리더: 다시 팔뤄를 마주볼 수 있게 몸을 틀면서 팔뤄가 있었던 위치에 스테엡.
- 팔뤄: 왼발을 자연스럽게 뒤쪽으로 스테엡, 이때 리더가 있던 위치에 스테엡.
c. 벨트턴(배쓸기):
리더의 배를 팔뤄의 손으로 가볍게 쓸며 진행하는 동작
1) 락스텝(1~2카운트): 리더/팔뤄 - 락!스텝! 추진력 얻기.
2) 스테엡(3~4카운트):
- 리더: 팔뤄의 왼편(리더기준)으로 전진 스테엡 + 팔뤄와 잡은 왼손을 자신의 배나 허리 쪽으로 옮기기 = 비켜가면서 팔뤄가 지나갈 수 있는 공간 만들어주기.
* 오른손은 위로 들어준다.
- 팔뤄: 한보직진(오른발) 스테엡, 하면서 배 쓸기 리더 계속 보면 자연스럽게 반바퀴 회전하게 됨.(오른발 축,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
3) 스테엡(5~6카운트):
- 리더: 왼손을 놓고 다시 팔뤄를 마주볼 수 있게 몸을 틀면서 팔뤄가 있었던 위치에 스테엡.
- 팔뤄: 리더의 배나 허리를 쓸게 되면서 리더를 마주보게 되고, 왼발을 자연스럽게 뒤쪽으로 스테엡, 이때 리더가 있던 위치에 스테엡.
* 주의사항: 팔뤄가 리더 배를 찌르거나 주무르는 행위 금지
d. 비하인더백(핸드 체인지):
벨트턴을 기준으로 배 대신 리더의 손이 교차하는 동작
1) 락스텝(1~2카운트): 리더/팔뤄 - 락!스텝! 추진력 얻기.
2) 스테엡(3~4카운트):
- 리더: 팔뤄의 왼편(리더기준)으로 전진 스테엡 + 왼손에 잡은 팔뤄의 오른손을 자신의 오른손으로 옮기기 = 비켜가면서 팔뤄가 지나갈 수 있는 공간 만들어주기.
- 팔뤄: 벨트턴과 같은 스테엡, 다만 리더의 배가 아닌 손이 닿아있음.
3) 스테엡(5~6카운트):
- 리더: 다시 팔뤄를 마주볼수 있게 몸을 틀면서 팔뤄의 오른손을 자신의 왼손으로 다시 옮기기.
- 팔뤄: 벨트턴과 같은 스테엡.
e. 터미네이터
팔뤄의 팔아래 공간으로 자세를 낮추면서 지나가는 동작.
1) 락스텝(1~2카운트): 리더/팔뤄 - 락!스텝! 추진력 얻기.
2) 스테엡(3~4카운트):
- 리더: 팔뤄의 왼편(리더기준)으로 자세를 낮추면서 전진 스테엡 + 팔뤄의 어깨 높이만큼 본인 머리 위로 왼손 들어주기 팔뤄 팔 아래로 리더가 스스로 지나갈 수 있는 공간 만들기.
- 팔뤄: 한보 직진(오른발) 스테엡 하면서 오른팔 살짝 들어주기, 리더 계속 보면 자연스럽게 반바퀴 회전하게 됨. (오른발 축,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
3) 스테엡(5~6카운트):
- 리더: 팔뤄의 팔 아래로 지나가면서 턴을 하게 되고, 이때 팔뤄가 있었던 위치에 스테엡.
- 팔뤄: 왼발을 자연스럽게 뒤쪽으로 스테엡, 이때 리더가 있던 위치에 스테엡.
2주차 강습에서도 1주차 패턴을 복습할 예정으로 너무 걱정 안 하셔도 괜찮습니다.
2주차 강습 때도 많은 참석 바랍니다.
* 본 강습 노트는 지터벅 97기 나꿈 싸부의 강습노트를 참고했습니다.
첫댓글 🍈🥛정성가득한 강습노트 최고👍👍👍👍👍👍👍👍👍
정성 무엇 🥹🥹🥹 최고에용 👍🏻👍🏻
역시 나의 사부님!!!
화요일에 터벅이들 출빠 엄청나던데!!!!!!! 강습노트도 짱이다!!!
우와.. 정독했습니다🤓✍️👍
고생하셨습니다!
싸부님들이 올려준 썸머리 영상도 참고하세요~
쌉님들은 그저 빛 ✨️
강습노트 퀄리티 무엇....
98기는 좋겠다 메유쌉이 싸부라서^^
강습 노트가 아니라 강습 교과서네요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