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윤숙의 초기 시세계는 자유분방한 정열을 직접적이고 화려한 이미지로 형상화한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때로는 센티멘탈리즘의 유혹에 빠져버린 것으로 비판되기도 하지만, 이러한 감정의 자유로운 분출의 이면에는 ‘님’으로 표상되는 강렬한 민족지향성이 놓여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역사와 국토, 풍물 등 지방적인 것에서 제재를 취하려는 태도 역시 이러한 민족지향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1940년대에도 왕성한 활동을 보였으나, 일제의 탄압으로 인해 점차 순수시적 경향을 띠게 되었다. 해방 후에는 민족주의적 이념으로 조국애와 민족애를 고취시키는 시세계를 보여주었다. 1937년 발간된 <렌의 애가>는 ‘시몬’이라는 중년 남성과의 플라토닉한 사랑을 묘사한 것으로, 여성의 연모와 동경이 세련된 언어와 감정적인 이미지로 잘 짜여진 그의 대표작이다.
- 참고: <한국현대문학대사전>, 권영민 편, 누리미디어, 2002 <한국현대문학작은사전>, 가람기획편집부 편, 가람기획, 2000 | | |
|
|
|
1910년 3월 5일 함남 원산에서 출생하였다. 함흥 영생여학교, 호수돈여학교 등을 거쳐 이화여전 문과를 졸업하였다. 간도 명신여고 교원, 배화여고 교사, 삼천리사 기자, 중앙방송 기자로 활동하였다. 1935년 <시원> 동인으로 참가하면서 본격적인 시작활동을 했다. 1940년에는 시 <조선의 딸>, <이 생명>을 써 경기도 경찰서에 구류되기도 했으나 이후에는 친일적인 글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해방 후에는 문학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 1948년 유엔총회에 한국대표로 참석하였고, 1949년 <문예>를 창간했다. 1954년에는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창립에 참여하였으며, 1976년에는 이화여대로부터 명예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자유문학가협회 시분과위원장, 문총 최고위원,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위원장, 국제펜클럽 부위원장, 한국현대시협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국민훈장모란장, 예술원상, 3·1문화상 등을 수상하였다. | | |
|
|
|
약력 | |
|
1910년 함남 원산 출생 1931년 이화여자전문학교 영문과 졸업 / 북간도 용정 명신여학교 영어교사 부임 1932년 배화여학교 교사 부임 / 극예술연구회 가입 1935년 경성제국대학교 전과 2년 수료 / 경성 중앙방송국 근무 1948년 세계 YWCA 뉴욕대회 참석 / 제3차 파리 UN총회 한국대표 1949년 문예사 창립 / 문학지 <문예> 발간 / 제4차 뉴욕 UN총회 참석 1950년 대한여자청년단 총본부단장 1951년 이화여자대학교 문리대 강사 1955년 서울대학교 문리대 강사 / 한국문화단체 총연합회 최고위원
/ 제27차 국제펜클럽 비엔나대회 참석 1956년 미국무성 초청 문화교육시설 시찰 1957년 제29차 국제 펜클럽 동경대회 참석 1958년 제10차 유네스코 총회 참석 1959년 세계여성 필리핀대회 한국대표 1960년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회장 피임 / 자유아시아 마닐라대회 한국대표 1961년 세계여성 워싱턴대회 한국대표 1967년 제35차 펜클럽 아비잔대회 한국대표 1969년 제36차 펜클럽 파리대회 한국대표 1970년 제37차 세계펜클럽대회 준비위원장 / 문화계 비례대표로 국회의원(문공위원) 선임 1972년 IPU 파리대회 참석 / 유네스코 파리대회 참석 1974년 한국현대시인협회 회장 취임 1977년 이화여자대학교 명예문학박사 학위 /
제42차 시드니 국제펜클럽대회에서 국제펜클럽 부회장 인준 1978년 재단법인 한국문학진흥재단 이사장 1987년 대한민국예술원 원로회원 | | | |
|
|
|
상훈 | |
|
1963년 대한민국정부 모란훈장 1965년 대한민국예술원 문학상 1968년 이화여자대학교 문화공로상 1979년 3·1문화상 / 세네갈정부 문화훈장 1990년 대한민국 금관문화상 추서 | | | |
|
|
|
• 시집 <빛나는 지역(地域)>(1933) <옥비녀>(1947) <렌의 애가(哀歌)>(1937) <풍랑>(1951) <정경(情景)>(1959) <풍토>(1970) <논개>(1974) <황룡사구층탑>(1978)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1983)
• 소설집 <그 아내의 수기>(1949)
| | | |
|
|
|
|
작가의 말 | |
|
(……) <렌의 애가>는 나의 애정백서였다. 아무런 부끄럼도 없이 용케도 나는 내 젊음의 전부를 불태우는 듯한 마음으로 그 길고 긴 시를 썼다. ‘렌’이라는 숲 속에서 목이 타도록 우는 새를 나는 주인공이라 정해놓고 현실에서 이룰 수 없는 한 사람의 대상을 향해 편지를 썼다. 그가 누구였든 나는 <렌의 애가> 속에서 목을 놓아 인생을 부르고 사랑을 찾았다. 젊음의 통곡, 슬픔의 찬가를 기록해보고 싶었다. 그리고 내가 사는 정다운 땅과 해와 별이 온통 그의 존재를 위해 빛나고 변화하고 있음을 증언하고 싶었다. 나는 땅 위에 존재하는 인간의 애정이란 것이 그렇게 모멸적일 수가 없고 그렇게 비굴할 수가 없음을 써 보고 싶었다. 끝까지 좇아가서라도 한없이 높은 가지에 걸린 생명의 불꽃에 나를 태워보고 싶은 욕망에서였다. 아마도 이 시절이 나에게 있어선 남성에 대한 환멸의 정점이 아닐까 생각된다. (……)
- ‘남성, 그 허구의 초상화’, 모윤숙, <물레를 돌리는 여인>, 명문당, 1993 | | | |
|
|
|
평론 | |
|
(……) 시세계의 특징을 시집별 특징으로 전기와 중기, 후기로 나누어 고찰함으로써 시적 변모를 알 수 있었다. 전기의 특징은 식민지 시대를 겪으면서 낭만적인 정열과 민족애를 드러내고 있었다. 첫시집 <빛나는 지역>과 <옥비녀>는 모윤숙의 낭만적인 애상과 더불어 민족사상과 기독교 사상을 표출하였으며, 이 시집에서 모윤숙은 기독교적인 사랑의 실천으로 나타나는 희생의 미학과 북간도 이주민들의 비참한 현실을 통해 고향상실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모윤숙은 개인적인 절망감보다는 민족적인 아픔을 시로 형상화하는 데 주력한 시정신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정신은 중기 시에도 그대로 이어져 역사적 인식과 비애로 나타난다. 시집 <풍랑>을 통하여 6·25전쟁의 수난을 시로 담아내어 애국사상을 그렸으며, 이러한 경향이 후기시인 서사시집 <논개>와 <황룡사구층탑>에 이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렌의 애가>, <논개>, <황룡사구층탑>에서 시의 특징을 살폈는데, <렌의 애가>는 서정성과 서사성을 지닌 시로 고독과 동경의 세계를 통하여 자기화해의 공간을 형성하였다. <논개>에서는 ‘작가 서술’과 ‘주석적 제시’라는 서술 양식을 통해 내면의식의 흐름을 주로 서술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어 서사시이지만 서정적 세계를 강하게 표출하고 있었다. <논개>는 기생인 논개와 김시민 장군과의 사랑을 통하여 조국애를 실현하는 주제적 특성을 지닌 작품이다. | | | |
|
|
|
|
관련가치정보 | |
| |
|
|
|
|
관련도서 |
<모윤숙 시전집>, 모윤숙, 서문당, 1974 <모윤숙 시 연구>, 송영순, 국학자료원, 1997 <모윤숙 평전: 물레를 돌리는 여인>, 장석향, 명문당, 1994 <시몬, 그대 창가에 등불로 남아: 영운 모윤숙 평전>, 장석향, 한멋사, 1986 <영운 모윤숙 시 연구>, 송영순, 성신여대 박사논문, 1997 <모윤숙 시 연구>, 김유선, 숙명여대 박사논문, 1992 <한국현대여류시에 나타난 애정의식연구: 모윤숙, 노천명, 김남조, 홍윤숙을 중심으로>,
김복순, 서울여대 박사논문, 1990 / 이미지 자료 협조 : 한국현대문학관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