孟子 集註 (맹자 집주)
卷之 十 萬 章 章 句 下 (권지 십 만장 장구 하)
25 曰 請 無以 辭 卻之 (왈 청 무이 사 각지) 오, 以心 卻也 曰 其取 諸民之 不義也
1 2 6 3 4 5 2 1 3 4 5 8 6 7 10 9
而以 他辭 (이심 각지 왈 기취 제민지 불의야 이이 타사) 로, 無受不可乎
11 12 13 2 1 4 3
(무수 불가호) 잇가, 曰 其 交也 以道 (왈 기 교야 이도) 오, 其 接也 以禮
1 2 5 4 3 1 4 3 2
(기 접야 이예) 면, 斯 (사) 는, 孔子 (공자) 도, 受之矣 (수지의) 시니라.
1 2 3
解釋 말하기를 청하건대 말로 써 거절하지 않고, 마음으로 써 거절하고 말하기를 그것은
모든 백성에게 취함은 옳지 않다고 하여 써 다른 말로 하여, 받지 않으면 가능
하지 않겠습니까,?" (맹자가) 말하기를 그것은 도로 써 사귀고. 그것은 예로서 써
대우하면, 이것은, 공자도, 받으시니라.
字解 曰: 말할 왈. 請: 청할 청. 無: 없을 무 (않다란 뜻) 以: 써 이. 辭: 말씀사.
卻: 물리칠 각 (거절하다란 뜻) 之: 어조사 지. 以: 써 이. 心: 마음 심.
卻: 물리칠 각 (거절하다란 뜻) 也: 어조사 야. 曰: 말할 왈. 其: 그 기(그것이란 뜻)
取: 취할 취. 諸: 모두 제. 民: 백성 민. 之: 어조사 지. 不: 아닐 불. 義: 옳을 의.
也: 어조사 야. 而: 어조사 이, 말이을 이. 以: 써 이. 他: 다를 타. 辭: 말씀 사.
無: 없을 무 (않다란 뜻) 受: 받을 수. 不: 아닐 불. 可: 가능할 가. 乎: 어조사 호.
曰: 말할 왈. 其: 그 기 (그것이란 뜻) 交: 사귈 교. 也: 어조사 야. 以: 써 이.
道: 도 도. 其: 그 기 (그것이란 뜻) 接: 사귈 접 (대우하다란 뜻) 也: 어조사 야.
以: 써 이. 禮: 예도 예. 斯: 이 사 (이것이란 뜻) 孔子( 공자) 受: 받을 수.
之: 어조사 지. 矣: 어조사 의. 受: 받을 수. 之: 어조사 지. 矣: 어조사 의.
26 萬章 (만장) 이, 曰 今有 禦人於 國門之 外 者 其 交也 以道
1 2 3 10 9 4 8 5 6 7 12 11 13 15 14
(왈 금유어인어국문지 외자 기 교야 이도) 오, 其 餽也 以禮 (기괴야 이예) 면,
1 2 4 3
斯可 受禦與 (사가 수어여) 잇가, 曰 不可 (왈 불가) 하니, 康誥 (강고) 에,
1 2 4 3 1 3 2 1
曰 殺 越人于 貨 (왈 살 월인우 화) 하야, 閔不 畏死 (민불 외사) 를,
2 4 5 3 6 1 4 3 2
凡民 (범민) 이, 罔不 譈 (망불 대) 라하니, 是 (시)는, 不待 敎而 誅者也
1 2 5 4 3 1 4 3 2 5 6
(부대 교이 주자야) 니, 殷受 夏 周受 殷 所不 辭也 於今 爲烈 如之何 其 受之
1 3 2 4 6 5 9 8 7 10 12 11 13 14 15
(은수 하 주수 은 소불 사야 어금 위열 여지하 기 수지) 리오.
解釋 만장이, 말하기를 이제 사람을 나라의 도성문 밖에서 죽인 강도가 있는데 그 사귐이
도로 써 하고, 그 보내는선물이 예로 써 한다면. 이에 가히 강탈한 것을 받을 수가
있나이까,?" 말하기를 올지 아니 하니, 서경 강고편에, 이르기를 사람을 죽여
쓰러뜨리고 재물을 빼앗기 위하여 , 뻔뻔하게 죽기를 두려워 아니함을, 무릇 백성들이,
원망하여 욕하지 않음이 없다라하니, 이는, 가르침을 기다릴것 없이 목을 베일 사람이니,
은 나라가 하나라를 받고 주 나라가 은 나라를 받음을 사양하지 않는 바요 지금에도
맹열하니 어떻게 그런 물건을 받으리요.
字解 萬章 (만장) 曰: 말할 왈. 今: 이제 금. 有: 있을 유.
禦: 막을 어 (약(강)탈(강도)을 하다란 뜻) 國: 나라 국.
門: 문 문 (도성문을 뜻함) 之; 어조사 지. 外: 뱎 외. 者: 사람 자. 其: 그 기.
交: 사귈 교. 也: 어조사 야. 以: 써 이. 道: 도 도. 其: 그 기.
餽; 보낼 궤, 먹일 궤 (선물이란 뜻) 也: 어조사 야. 以: 써 이. 禮; 예도 예.
斯: 이 사. 可: 가히 가. 受: 받을 수. 禦: 막을 어 (죽이고 약(강)탈(강도)을 하다란 뜻)
與: 어조사 여. 康: 편안할 강. 誥; 가르칠 고, 깨우칠 고, 康誥 (강고)
曰: 이를 왈. 殺: 죽일 살. 越: 넘을 월(쓰러뜨리고 빼앗다란 듯) 人: 사람 인.
于: 어조사 우. 貨; 재물 화. 閔: 민망할 민(뻔뻔하다란 뜻) 不; 아닐 불.
畏: 두려울 외 死: 죽일 사. 凡: 무릇 범. 民; 백성 민. 罔: 없을 망. 不; 아닐 불.
譈: 원망할 대. 미울 대 (원망하고 욕한다는 뜻임) 是: 이 시. 不: 아닐 불(없다란 뜻)
待: 기다릴 대. 敎: 가르칠 교. 而: 어조사 이, 말이을 이. 誅: 목베일 주. 者: 사람 자.
也: 어조사 야. 殷: 은 나라 은. 受: 받을 수. 夏: 하 나라 하.
周: 주 나라 주. 受: 받을 수. 殷 : 은 나라 은. 所: 바 소. 不: 아닐 불.
辭: 사양할 사. 也: 어조사 야. 於: 어조사 어 (~ 에도란 뜻) 今: 이제 금 (지금이란 뜻)
爲: 할 위. 烈: 더울 열 (맹열하다란 뜻) 如之何(여지하)는: 어떻게란 뜻 임.
其: 그 기 (그런물건 즉 재물(貨)을 뜻함) 受: 받을 수. 之: 어조사 지.
閔(민)은: 서경에는 暋(민)자로 되어 있으며, 민망할 민자로, 뻔뻔하다란 뜻임..
康誥(강고)는: 서경의 강고편 서경 주서의 편명임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