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단히 그래픽 카드의 세이더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OptiFine의 설치 방법.
(주: 디렉토리 = 폴더)
Forge에서는 OptiFine을 특정 디렉토리(mod)였던가에 넣어주면 됩니다. 하지만 약간의 버그가 있는고로 별로 추천하지 않는데, 모드를 사용한다면 어쩔 수 없는 방법이 되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OptiFine 단일로 설치하는 법을 설명합니다.
만약 Forge를 설치했다면 "<사용자 디렉토리>\AppData\Roaming\.minecraft"를 지워야 합니다. 이전 저장 데이터가 사라지니 지울 때 백업을 하는 주의를 요합니다.
1. 현재 버전이 1.10.2이기 때문에, 1.9.4를 사용하려면 새로운 프로필을 만들어야 합니다. 프로필을 만들 때 가장 중요한 점은 1.9.4의 프로필의 게임 디렉토리를 "<사용자 디렉토리>\AppData\Roaming\.minecraft"의 아래 디렉토리로 지정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라이브러리 로드가 안된다느니 하면서 불만을 터뜨립니다. 그리고 "use Version"은 당연 1.9.4로 지정을 합니다. 간단히 "<사용자디렉토리>\AppData\Roaming\.minecraft\1.9.4" 이런 식으로 게임 디렉토리를 지정합니다. "그냥 1.10.2와 같이 사용하면 안되나요?/네, 안됩니다." 만약 1.10.2와 병용할 경우에는 문제가 생깁니다.
2. 프로필을 만든 후에 게임을 시작해서 1.9.4 마인크래프트가 다운로드 되는지 잘 확인합니다. 그리고 확인한 후 닫습니다. 그리고 이제는 OptiFine의 1.9.4용의 모드를 찾아서 다운로드합니다. 광고가 막 뜨면서 괴롭히는데 링크 중에 mirror를 사용하면 문제가 없습니다. 다운로드한 것을 실행하면 뭔가 쫘르륵 지나가고 OptiFine이 인스톨 됩니다.
링크 : http://optifine.net/home
3. 다시 마인크래프트 런처를 실행을 하면 프로필에 OptiFine이란게 자동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바로 실행하면 안되고 이 프로필을 편집해서 1.9.4에 지정했던 게임 디렉토리를 다시 지정합니다. 프로필 이름을 바꿔주는 것도 좋습니다. OptiFine 인스톨러가 자동으로 프로필을 만드는데 항상 OptiFine이름으로 만들어버리기 때문입니다. 만약 1.10.2를 다시 인스톨하면 프로필이 덮혀 씌워지게 되는터라 그렇습니다. 프로필을 저장하고 잘 되나 실행을 해봅니다. 마크를 닫습니다.

4. 여기까지 잘 되었다면 이제 세이더를 설치해야 합니다. OptiFine은 클라이언트를 향상시키는 모드일 뿐이지 화려한 세이더는 내장하고 있지 않습니다. 많은 세이더가 있는데 그중에 Forge가 없어도 되는 것으로 MrMeepz의 세이더가 있습니다.
링크 : http://www.minecraftforum.net/forums/mapping-and-modding/minecraft-mods/1290991-v05-mrmeepz-shaders-the-cats-shaderpack
v05를 다운로드해서 사용하면 되는데 Ultra+에서 Lite까지 사양에 따라 고르면 됩니다. 세이더 설정에서 고를 수 있기 때문에 모두 다운로드해도 상관없습니다.
다운로드한 파일들을 풀지 않고 그대로 "<사용자 디렉토리>\AppData\Roaming\.minecraft\1.9.4\shaderpacks"에 넣습니다.
5. 마크를 실행해서 OptiFine 1.9.4 프로필로 실행을 시킵니다. 그리고 설정에서 비디오 설정에 들어가서 performance 설정으로 들어가서 Fast Render를 off로 합니다.

다음은 Shaders 설정으로 들어갑니다. 맘에 드는 세이더를 선택하고 완료를 누릅니다.

그리고 게임에서 변화를 확인을 합니다.
(참고) MrMeepz lite 세이더로도 비교적 많은 부분의 변화를 느낍니다. 달빛이라던가 햇빛의 그늘이던가 등등이 자세해집니다. 빛에 의한 음영이 좀 강해지는 느낌도 생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