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가 대표로 계신 영세기업에 근무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영업은 순전히 아버지의 인맥으로 이루어졌습니다만,
점점 큰 회사들과 거래를 하게 될수록, 우리 쪽의 내실을 안 다질수가 없네요.
작년에 회사소개서를 만들었습니다.
멀지않은 미래에 제가 직접 영업할때를 생각해서, 계속 보안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거의 구색을 갖췄는데, 조직도가 아직 맘에 들지가 않네요.
저희 회사는 현재 대표포함 8인 회사입니다.
거래처나 동종업계 비슷한 규모의 회사들을 많이 조사해봤는데,
어떤 회사는 12명인데 부서가 7개나 되고,
어떤 회사는 15명에 임원이 4명이나 됩니다.
어느 정도 양식을 따라가려고 했는데, 따라하기도 스스로 짜기도 힘드네요.
억지로 부서를 만들면 4개 정도는 만들 수 있겠는데, 8명이서 3~4개 부서를 만든다는 것도 웃긴거 같습니다.
그래서 각 부서에 '팀'이라는 글자를 빼고 만들었는데, 이것도 영 모양새가 안나오네요.
영세기업이나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특히 20인 이하)에서는
조직도가 어떻게 되어있는지가 궁금합니다.
파일을 회사에 두고 와서, 대충 종이에 그려서 사진 첨부했습니다.
어떠한지 보시고 의견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첫댓글 제가 전에 있던 회사도 상당히 소규모였는데
마케팅팀에 마케팅차장
영업팀에 영업이사
경영지원팀에 팀장
기획팀에 기획본부장
막 이런식으로 돼 있었습니다
그냥 구색인거 같아요
회사가 작다고 막 없는 걸로 치부할 수도 없습니다
구색을 갖추되 거짓을 쓰진 않으려고 하니 어렵습니다..ㅎㅎ
조직도라는 건 어차피 회사의 역할 분담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고 회사가 얼마나 잘 조직되어 있는가를 보기 위한 것입니다. 이럴 때는 조직도라고 표기하지만 업무 분담의 형식으로 만드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각 부서를 나열하기 보다 직위별로 사람들 나열한 후 그 옆에 맡은 분야에 대해서 기재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죠
하단에 그 부분에 대한 부서별 조직도도 따로 첨부하신다면 더 도움이 될 듯합니다
부서별 조직도요? 그렇게 하려면 더더욱 규모가 커야되지 않을까요?
@리바운드머신 아니죠. 그냥 직위별 사람들 나열 후 그 옆에 그 사람이 맡은 업무가 적히게 되면 그 업무에 맡게 부서배치만 다시 하면 되는거죠.
예를 들어 - 김00실장 (마케팅담당/고객관리)
이00대리 (인사관리/회계관리) 등등.. 이런식으로 기재가 된다면 그 후에 이제 각 역할들이 어떻게 조직되어 움직이는지 말그대로 지금 작성해놓으신 조직도 방식대로 부서만 배치하면 된다는거죠. 그럼 규모가 적은 인원의 회사라 할지라도 부서별로 조직이 되어있고 각 사람들이 그 부서 조직에 맡게 일을 한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죠. 인원이 적다고 해서 절대 무시할 수는 없는 거니까요. 그렇다고 부서가 없을 수는 없자나요.
@리바운드머신 회사에서는 각 해야 하는 업무가 다 있는 것이고 그러다보면 일이 중복될 수 밖에 없죠.
@리바운드머신 도움이 안되실 수 있지만 그냥.. 아는대로, 해보았떤 대로 끄적여봤습니다
@Leonard King 아 처음에 이해를 못했네요. 이제 이해됬습니다. 친절한 설명 정말정말 감사합니다
영업 ㅡ 사무 ㅡ 생산 으로 3분 시키면 됩니다 이것저것 만들어봐야 더 별로에요. 그중에서 직접적이나 가끔이라도 외부인사 업체분들을 만나시는 분들에게 세분화된 명함을 제작해서 주시는게 좋을거 같네요.
이게 정답일 듯. 기본적으로 사원 수가 작은 회사에서 이것 저것 부서 만드는 것보단 큰 틀로 업무 분담을 해주고 거기에 맞는 일과 책임을 지워주는게 최선이라고 생각합니다.
현 상황이 실제로 그렇습니다. 역시 의견들이 비슷하시네요 업무분담! 감사합니다
품질부서는 대표이사 아래에 단독 부서가 되어야합니다
아 사실 qc라고는 했지만 사실 생산품 검사라 가공의 일부라서 적어넣었습니다. 몰랐던 사실 감사합니다. 품질은 빼는걸로 고려해봐야겠습니다. 고맙습니다
향후 kc나 ks같은 인증 취득을.고려하신다면 품질부는 잇어야합니다만..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5.01.07 13:48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5.01.07 13:51
혹시 업종 및 제품이 어떻게 되시는지요? 저도 아버지가 대표로 계시는 회사에서 일하고 있는데 고민하고 있는 부분인데 여러가지로 어렵네요
자동선반 가공입니다. 아직 작은 회사라서 자가제품은 없고 납품업입니다. 부품 종류는 음.... 너무 많네요.. 동종업계에서 많이들 하는 자동차쪽 일은 안하고 있습니다.
나중에라도 품질경영시스템을 인증받고 하실려면 품질은 독립부서가 되어야 합니다 위에분이 말씀하신거 처럼요
네 몰랐던 정보 감사합니다. 의어했었는데 이유가 있었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윗분들이 얘기하셨지만 QC 부서는 대표이사 직속으로 소속되야 품질인증이나 고객사 방문시 지적을 안 받습니다. 적은 인원이지만 부서장 팀원을 확실히 구분해 놓는 편이 좋구요.
예 근데 꼭 대표이사 직속 독립부서로 되있어야 하나요? 아는 업체중에 총괄부장 직속으로 된곳도 있던데요.. 인증받은 회사이구요.
@리바운드머신 총괄부장이 생산을 관할하고 있으면 인정이 안됩니다. 즉 생산과 품질은 완전히 독립이 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