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어등 만들기
계속 유령회원으로 눈팅만하기 죄송스럽고 쫓겨나지 않으려면 뭐라도 하나 올려야겠다 싶어
이번에 만든 집어등 자작 과정을 전장품 실장 과정 위주로 적어 봤습니다.
혹시 제작 과정이 궁금하시거나 참고자료가 필요하신 초보 회원님들 계실까 싶어
제가 만든 방법이 진리는 아니지만 과정을 올려 봅니다.
집어등 고수 님들은 패스해 주세요--^^
배터리 밸런싱 작업중.
밸런싱에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2~3일전에 미리 준비했습니다.

필요한 부품이랑 공구들

먼저 배치할 부품들을 고정하기 위한 구멍 뚫기입니다.
방수 등을 고려해 케이스 몸체에는 구멍을 내지 않으려고
부품 배치를 뚜껑에만 집중 시키기로 했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이 작업이 가장 힘들더라구요^^
먼저 부품 배치를 구상하고 홀을 뚫기 위해 뚜껑을 뒤집어서 연필이나 싸인펜 등으로
부품 배치할 위치를 마킹 하는데, 안쪽에서 하는 이유는 실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겉으로
보이는 것과 안쪽에 실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약간 차이가 있을 수 있고,
홀 가공을 위한 마킹 등을 안쪽에서 하면 겉 쪽에는 연필이나 싸인펜 등의 자국이 남지 않아
좀더 깔끔하기 때문입니다.
원형 홀들은 드릴이나 스텝드릴, 홀쏘 등을 이용하면 비교적 간단히 해결 되는데
4각 홀이 힘들더군요.
그래서 원형 부품들을 주로 사용 했습니다.
4각 홀을 작업을 아래 처럼 했는데 역시 깔끔하게 마무리 되지 않네요.
하지만 부품을 장착하면 약간 삐뚤삐뚤한 부분은 거의 커버가 됩니다.
3~4mm 정도의 드릴로 미리 마킹한 4각
라인 안쪽을 따라 구멍을 최대한 촘촘히 뚫고
가위 등을 이용해 대충 도려내고 칼, 줄 등을 이용해 다듬고 마무리
합니다.
사용한 드릴 및 스텝드릴, 함석가위,
칼, 줄 등입니다.

4각 홀 작업



나머지 부품들이 들어갈 자리도 일반 드릴과 스텝드릴로 마무리 합니다.
각 홀과 맞는 규격의 홀쏘가 있다면 더 편리하겠네요.
스텝드릴 힘조절 잘못하면 한치수 크게 뚫어 버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거든요.

부품들을 실제 장착해본 모습입니다.
서로 간섭이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


사용 여건이 험할것이기에 부품들은 볼트나 너트 등을 최대한 단단히 조여
심한 진동이나 충격등으로 이탈 또는 접촉 불량에 최대한 대비를 하고
글루건으로 다시한번 부품들의 안정된 고정을 도와주고 방수 작업도 겸합니다.
생활방수 정도로 약간의 비에는 견딜 수 있도록 최대한 꼼꼼하게 작업합니다.

부품 고정 후 배선작업을 마친 모습입니다.
모자이크 부분은 오배선으로 확인 과정에서 제거된 부분이네요^^
아래 사진을 참고하시면 배선에 어려움을 느끼시는 집어등 초보 회원님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지 싶네요
후방 작업용 등은 스위치를 따로 달아서 채비 교체나 기타 필요시에만 켤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배선이 끝났으니 임시 전원을 인가하여 전장품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점등 및 밝기조절, DC잭에서의 전원이 정상적으로 입출력 되면 어려운 작업은
다 끝났습니다.
이제 배터리팩이나 기타 주위의 부품들과의 합선으로
화재나 배터리 폭발 등의 위험을 최소화 하기 위해 납땜 부위나 각 부품의 노출된 단자들과
기타 전기가 흐를 수 있는 금속부분 등을 중심으로
글루건이나 실리콘, 절연테이프 등으로 절연 처리를 해 줍니다.
저는 작업하기 간편해서 글루건으로..

마지막으로 배터리 팩을 케이스에 고정시키고 배터리를 연결하고 뚜껑을 닫으면 완성입니다.
사용할 집어등을 연결하고 동작을 확인합니다.


사진 실력이 없어 색상 표현이 제대로 안되네요^^
청색과 백색은 밝기를 많이 줄여놓은 상태고 백색등은 아예 켜지 않은 상태입니다.
좌로 부터 청색, 백색, 녹색 라이트입니다.
백색은 후방 조명용입니다.
이상 허접한 자작기였습니다.
납땜 정도만 하실 수 있으면 기성품 보다 조금은 저렴한 비용으로
어렵지 않게 만들어 쓰실 수는 있겠습니다만,
자작품은 아무래도 기성품에 비해 퀄리티가 떨어지고, 정신건강에도 해로울 수가
있겠네요..
선택은 회원 여러분의 몫이지요^^
참고로 소요 부품 목록입니다.
1. 배터리 팩 1개 12V/35Ah \1,600*42=67,200
== 배터리는 신품은 비용이 많이 드는 관계로
얼마전에 창원에 중고 배터리 판매하시는 분이 계셔서
낱개로 45를 구입 제작함. _ 상시 판매는 아닌걸로 압니다.
2. 배터리보호회로(3S 30A BMS) 1개 \4,950
3. 배터리 패킹용 테이프(캡톤테이프 ; 고열/방염)
4.배터리 연결용 XT 60 커넥터 1개
\2,000
5. 3S용 밸런스케이블 1개
6. 하이박스(150*150*100) 1개 \10,000
7. 손잡이(6mm*100mm) 1개 \1,810
8. 써큘러잭(일명 항공잭, 16mm) 3개
\1,100*3=3.300
9. 써큘러잭 방수캡 3개 \250*3=750
10.디머회로 2개 \2,310*2=4,620
11.매립형 DC잭(5.5*2.1)
2개 \1,100*2=2,200
12.DC잭 방수캡
2개 \\100*2=200
13.방수 원형 전원스위치 2개 \1,210*2=2,420
14.전압/전류 메타 1개
\10,000
15.전선 약간
16.LED 라이트
계산상 용량 35암페어 용량의 본체 구성에 대략 109,450원의 부품값으로 지출 되었네요..
금액 표시가 없는 몇몇 가지는 제가 가지고 있던 것들을 활용 했습니다.
여기에 LED 라이트와 가지고 있는 부품으로 활용한 금액 미 표시
부품 몇 가지의
비용이 추가 되겠네요.
첫댓글 부러운 전자입니다.콘센트가 많은것이 다양한 쓰임인가봐요.
박사장님 안녕하세요?
다양할 정도는 아니고 집어용 램프 2개와 후방 작업용 한개하고 충방전용 DC잭 2개 구성입니다
와~ 대단하십니다요~
저는 전기차라서 이런 거 보면 배가 아프고 부럽습니당~
배터리가 빵빵하군요.. 상당한 갯수...
이 스팩으로다가 시중에서 구입하면 몇십만 되겠는데 직접 맹그시니 아주 저렴한 가격으로 존거를 갖게 되네요.
램프 3개 작동해도 이틀은 버티겠습니다.
대단하셔요~부러워요~~
회장님 안녕하십니까?
온라인 인사도 너무 오랬만이네요 언제 한번 뵈야 하는디 묵고사는것에 쫓기다 보니 맨날 여기서 눈팅만 하고 있네요~~
사용 시간은 배터리가 중고인데다가 라이트를 몇와트를 쓰느냐에 따라 달라질것 같습니다.
실용량 30암페어라고 가정하면 지금 꽃혀있는 등이 11와트 짜리들이라 소모전류 1개당 대략 1암페어 잡고 3개 연속 점등하면 시간당 3암페어 소모 되니까 대략 10시간 정도 버티지 않을까 합니다.
갑자기 컴 자판이 안먹혀서 폰으로 답글 쓰자니 답답하네요
많은분들을 위해 좋은 글올려주셔서 고맙습니다
중고 배터리는 정기적으로 밸런싱 잡아주시는게 좋을듯하구요
내가슬건 중고 배터리 갠찬치만 남에것 만들어줄땐 중고 배터리 사용못하겠드라구요 외냐면 사용자가 밸런싱 충전을 알아야하는대 그럿칠못 하니문제죠
아주멋지게 잘만드셔내요
방수가 되게하시려면 글루건보단 실리콘이 좋습니다 글루건은 방수가거줌 안되드라구요
상판의 구멍은 죄소화 하는게 제일 좋은방법이조
그리구 다음에만드실땐 항공짹 16미리보담 20미리가 안정적이고 든든 합니다
네 제가 아직 실력이 미천해서 다른분 사용할거 까지 제작해주는 정도는 못돼고요..
여러가지 조언 감사합니다.
엄청 잘 만드셨는데요! 작업실만 봐도 초보이상~! 11w등 3개 만들 실력이면 중급 이상이죠!! 배터리 스폿이랑 하이박스에 다 구겨넣을 정도면 실력도 실력이지만 고민 많이 하신것 같아요! 최고~^^
관심 갖고 DIY카페 가입해서 고수분들 자작기나 부품 사용법 읽으면 누구나 가능하시리라 봅니다.
저도 만든는 걸 좋아하지만, 회로를 직접 설계 제작할 정도의 실력은 못돼서 스폿기나 집어등은 부품 셋으로 구입해서 조립만 했습니다.
하이박스 구겨 넣기도 자기가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나 원하는 기능에 맞게 사이즈를 잘 선택해서 부품 배치만 하면 별거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