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년간 급성장해 왔으나 현재 통신서비스시장은 어느 정도 성숙포화된 상태 -
- 관련 전시회 참가 등 적극적인 마케팅으로 통신관련 제품의 수출확대 필요 -
□ 벨라루스 통신시장 개황
ㅇ 2018년 기준 GDP에서 벨라루스 정보통신산업(ICT)이 차지하는 비중은 5.5%으로 약 3억 2,835만 달러에 해당됨.
- 2018년 벨라루스 산업별 GDP 비중은 제조업 26.1%, 도소매 유통업 10.0%, 농림수산업 6.4%, 교통물류업 5.8%, 정보통신 5.5%, 건설업 5.4%, 금융보험업 3.6% 등임
- 벨라루스 통신산업은 유무선전화, 인터넷, TV 및 라디오 방송 서비스 제공 등이 포함되며, 전체 ICT 시장중에 통신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37.5%임
벨라루스 ICT 제품 및 서비스 시장 구조
자료원 : 벨라루스 통계청
ㅇ 벨라루스는 인구가 950만명 정도이며 현재 통신서비스시장은 어느 정도 성숙포화된 상태라 볼 수 있음. 2010년 이후 급속히 사용인구가 늘어 무선통신의 경우 2009년, 인터넷의 경우 2013년에 인구 100명당 가입자수가 100을 넘어섰음.
- 무선통신 가입자수의 경우 2018년 11,619,700명으로 인구 100명당 123명의 가입자수를 기록하고 있으며, 인터넷가입자수의 경우 2018년 12,792,000명으로 인구 100명당 135명의 가입자수를 기록중임. 동 수치는 이후 소폭 등락을 반복하는 선에서 유지될 것으로 예측됨
벨라루스 인구 100명당 인터넷 가입자 수 추이 (단위 : 명)
자료원 : 벨라루스 통계청
벨라루스 통신시장 현황 및 전망
구분 | 2017 | 2018 | 2019(f) | 2020(f) | 2021(f) | 2022(f) |
---|---|---|---|---|---|---|
무선통신 총 가입자수(천명) | 11415.1 | 11619.7 | 11.437.9 | 11.403.6 | 11.415.0 | 11.426.4 |
인구100명당 무선통신 가입자수 | 120.6 | 123 | 121.2 | 121.1 | 121.5 | 121.8 |
3G 가입자수(천명) | 6227 | 5529.6 | 4.418.1 | 4.064.7 | 3.646.0 | 3.237.7 |
3G 서비스 비중(%) | 54.6 | 48.3 | 38.6 | 35.6 | 31.9 | 28.3 |
4G 가입자수(천명) | 2115 | 4483.8 | 6.156.3 | 6.919.6 | 7.452.4 | 7.981.6 |
4G 서비스 비중(%) | 18.5 | 39.2 | 53.8 | 60.7 | 65.3 | 69.9 |
유선전화 가입자수(천명) | 4374.2 | 4333.9 | 4,282.80 | 4,222.90 | 4,151.10 | 4,068.00 |
인구100명당 유선전화 가입자수 | 46.2 | 45.9 | 45.4 | 44.9 | 44.2 | 43.4 |
브로드밴드 가입자수(천명) | 3398 | 3446 | 3,467.70 | 3,478.60 | 3,482.60 | 3,465.30 |
인구100명당 브로드밴드 가입자수 | 35.9 | 36.5 | 36.8 | 36.9 | 37.1 | 37 |
자료원 : 벨라루스 통계청, Fitch Solutions (2019~2022(f)는 전망치)
ㅇ 향후 벨라루스 무선통신시장 가입자수의 변화는 크지 않을 것이나, 서비스구조는 2G/3G 서비스가 거의 사라지고 4G 서비스로 대체가 되어갈 것으로 예상됨.
- 통신사들의 ARPU(사업자의 서비스 가입자당 평균 수익) 구조도 4G 가입자들에게서 거의 수익이 나오는 방향으로 전환예상
벨라루스 무선통신시장 구조 현황 및 전망
자료원 : 벨라루스 통계청, Fitch Solutions (2019~2028 (f)는 전망치)
벨라루스 무선통신시장 ARPU(사업자의 서비스 가입자당 평균 수익) 전망
자료원 : 벨라루스 통계청, Fitch Solutions (2019~2028 (f)는 전망치)
ㅇ 2012 년 2 월 1 일 벨라루스 번호 이동성 서비스 (MNP)가 구현되어 무선통신 가입자가 이동통신사업자를 변경할 때 가입자의 번호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음.
- 벨라루스에는 현재 MTS Belarus, A1(Velcom합병), BeST(브랜드명 Life:)) 3개의 이동통신사가 영업중임. 이전에 4번째 통신사 Belcel이 있었으나, 2014년 시장에서 철수
2018년 벨라루스 3대 이동통신사 시장점유율 (단위 : %)
자료원 : Fitch Solutions
ㅇ 벨라루스 4G는 2015년 정부의 지원으로 설립된 ‘벨라루스 클라우드 기술’(브랜드명 beCloud)사가 처음 단독으로 서비스를 출시하였으며, MTS, A1, BeST 3대 통신사는 자체적으로 소비자에게 4G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2016년부터 ‘beCloud’를 통해서만 도매권을 받아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중임. (이러한 방법으로 정부의 통신기업들에 대한 통제가 간접적으로 가능)
- 2013년 9월 벨라루스 정부로부터 ‘벨라루스 클라우드 기술’(브랜드명 beCloud)가 4G LTE 700MHz의 독점라이센스를 허가받았으며, 동 라이선스는 2028년까지 유효함
ㅇ 벨라루스의 국영방송사는 4개이며, 150개 지역의 케이블 사업자들은 이들 국영방송에서 프로그래밍 받아서 운영중임.
- 벨라루스는 2018 년 11 월 7 일 HD TV 방송으로 전환이 완료되었으며, 유일한 국제위성 TV사업자는 2005년 설립된 국영 벨라루스TV임
- Beltelecom은 2008 년 민스크에서 IPTV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Zala'라는 서비스 브랜드로 2018년 말 기준 193만명의 가입자를 보유중임. 이밖에 A1은 'VOKA'라는 브랜드로 서비스를 제공중임
ㅇ 벨라루스 통신시장 주요 사업자로는 아래 6개사를 꼽을 수 있음.
회사명 | 지배구조 | 고객수 및 활동분야 |
---|---|---|
Beltelecom | 국영기업 (100%) | 고객수 : 510만 |
MTS Belarus | 러시아 Mobile TeleSystems (49%); Mehdugorodnaya Svyaz (Beltelecom자회사)(51%) | 고객수 : 550만 |
A1 (Velcom 합병) | 오스트리아 Telekom Austria 소유의 SB Telecom (100%) | 고객수 : 487만 |
life:) (BeST사) | Turkish Turkcell (80%); Government (20%) | 고객수 : 160만 |
beCloud | National Data Peering Centre (51%), Konstantin Nikolaev (49%) | National 4G LTE Network Provider (독점라이센스 보유) |
Cosmos Telecom | 러시아 ISP/cable AKADO (50%) | 고객수 : 30만 |
자료원 : 각 사 홈페이지, 언론 등 참고하여 민스크무역관 종합
□ 통신시장 관련 제품 수입동향
ㅇ 스마트폰의 경우 2018년 수입이 크게 늘었으나, 우리제품은 한국으로부터의 직수출이 아닌 베트남, 중국 등에서 들어오는 관계로 대한민국의 수입실적은 없음.
- 아래 최근 월별 브랜드별 판매동향을 보면 삼성의 경우 약 22%의 시장점유유로 브랜드별 판매 2위를, LG의 경우 약 1%의 시장점유율로 11위를 차지하고 있음
벨라루스 스마트폰 (HS코드 851712) 국가별 수입 현황 (단위 : 달러, %)
이밖에 스마트폰 주변기기 및 액세서리라 할 수 있는 스마트워치, 휴대용 스피커, 헤드폰, 이어폰, 리튬이온배터리, SD카드 등 비휘활성 메모리 같은 제품들도 모두 2018년 수입액이 전년대비 증가하였음.
벨라루스 스마트워치 등 (HS코드 910212) 국가별 수입 현황 (단위 : 달러, %)
Products: 910212 (Wrist Watches, Battery Powered, With Cases Of Materials (Except Of Or Clad With Precious Metal) Nesoi, With Opto-Electronic Display Only)
구분 | 2018 | 2019.1-8 | ||||||
---|---|---|---|---|---|---|---|---|
순위 | 국가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국가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World | 6,886,800 | 100 | 230.11 | World | 2,340,100 | 100 | -38.88 | |
1 | China | 4,576,900 | 66.46 | 268.72 | Russia | 1,589,200 | 67.91 | 84.9 |
2 | Russia | 2,253,300 | 32.72 | 176 | China | 723,400 | 30.91 | -75.27 |
3 | Thailand | 26,000 | 0.38 | 43.65 | Thailand | 12,500 | 0.53 | -36.22 |
4 | Finland | 7,900 | 0.11 | - | Japan | 8,900 | 0.38 | 134.21 |
5 | Kazakhstan | 7,200 | 0.1 | - | Taiwan | 3,600 | 0.15 | 227.27 |
6 | Japan | 6,100 | 0.09 | 177.27 | United States | 1,500 | 0.06 | - |
7 | Hong Kong | 4,600 | 0.07 | - | Vietnam | 600 | 0.03 | - |
8 | Philippines | 2,800 | 0.04 | 154.55 | Philippines | 300 | 0.01 | -50 |
9 | Taiwan | 1,100 | 0.02 | -70.27 | France | 100 | 0 | - |
10 | Germany | 400 | 0.01 | - |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벨라루스 통계청
벨라루스 휴대용 스피커, 헤드폰, 이어폰 등 (HS코드 8518) 국가별 수입 현황 (단위 : 달러, %)
Products: 8518 (Microphones And Stands Therefor; Loudspeakers; Headphones, Earphones Etc.; Audio-Frequency Electric Amplifiers; Electric Sound Amplifier Sets; Parts)
구분 | 2018 | 2019.1-8 | ||||||
---|---|---|---|---|---|---|---|---|
순위 | 국가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국가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World | 29,655,900 | 100 | 63.46 | World | 26,355,700 | 100 | 48.25 | |
1 | Russia | 11,938,800 | 40.26 | 42.2 | China | 11,918,000 | 45.22 | 63.97 |
2 | China | 11,826,800 | 39.88 | 80.87 | Russia | 10,940,500 | 41.51 | 56.89 |
3 | United States | 1,235,500 | 4.17 | 72.1 | United States | 800,800 | 3.04 | -23.03 |
4 | Germany | 974,600 | 3.29 | 22.45 | Belgium | 651,000 | 2.47 | 84.05 |
5 | Belgium | 932,100 | 3.14 | 1904.52 | Germany | 510,100 | 1.94 | -10.56 |
6 | Italy | 539,600 | 1.82 | 174.61 | Italy | 159,400 | 0.6 | -48.6 |
7 | Mexico | 289,100 | 0.97 | 37.73 | Kazakhstan | 137,400 | 0.52 | 1950.8 |
8 | France | 276,900 | 0.93 | 878.45 | Mexico | 120,100 | 0.46 | -38.91 |
9 | Canada | 245,700 | 0.83 | 827.17 | France | 109,900 | 0.42 | -54.79 |
10 | Malaysia | 205,300 | 0.69 | 72.81 | Malaysia | 90,800 | 0.34 | -29.72 |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벨라루스 통계청
벨라루스 리튬이온배터리 (HS코드 850760) 국가별 수입 현황 (단위 : 달러, %)
Products: 850760 (Lithium Ion Batteries)
구분 | 2018 | 2019.1-8 | ||||||
---|---|---|---|---|---|---|---|---|
순위 | 국가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국가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World | 7,940,000 | 100 | 83.07 | World | 6,031,400 | 100 | 13.26 | |
1 | China | 4,305,000 | 54.22 | 119.02 | China | 2,971,900 | 49.27 | -1.24 |
2 | Russia | 2,539,300 | 31.98 | 77.07 | Russia | 2,224,500 | 36.88 | 46.98 |
3 | Malaysia | 628,300 | 7.91 | 165.22 | Malaysia | 451,300 | 7.48 | -11.16 |
4 | Poland | 141,100 | 1.78 | 26.32 | Poland | 114,800 | 1.9 | 14 |
5 | Germany | 56,000 | 0.71 | 25 | Germany | 44,800 | 0.74 | 23.42 |
6 | Japan | 45,700 | 0.58 | 168.82 | Korea, South | 38,800 | 0.64 | 132.34 |
7 | Korea, South | 37,600 | 0.47 | 55.37 | Japan | 37,400 | 0.62 | 156.16 |
8 | United States | 37,000 | 0.47 | -89.94 | Hungary | 31,800 | 0.53 | 132.12 |
9 | Taiwan | 27,900 | 0.35 | 60.34 | Belgium | 25,800 | 0.43 | - |
10 | Hungary | 18,300 | 0.23 | 96.77 | United States | 18,800 | 0.31 | -36.91 |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벨라루스 통계청
벨라루스 SD카드 등 비휘활성 메모리 저장장치 (HS코드 852361) 국가별 수입 현황 (단위 : 달러, %)
Products: 852351 (Solid-State Non-Volatile Semiconductor Storage Devices)
구분 | 2018 | 2019.1-8 | ||||||
---|---|---|---|---|---|---|---|---|
순위 | 국가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국가명 | 금액 | 점유율 | 증감률 |
World | 12,650,500 | 100 | 58.75 | World | 5,796,500 | 100 | -34.46 | |
1 | Russia | 3,129,300 | 24.74 | 15.08 | Taiwan | 1,847,000 | 31.86 | 4.23 |
2 | Taiwan | 2,831,200 | 22.38 | 22.45 | Russia | 1,803,600 | 31.12 | -2.1 |
3 | Turkey | 2,655,000 | 20.99 | 294900 | China | 1,047,700 | 18.07 | -3.68 |
4 | China | 1,814,100 | 14.34 | 46.35 | Germany | 412,600 | 7.12 | 117.5 |
5 | Lithuania | 673,100 | 5.32 | 9798.53 | United States | 185,900 | 3.21 | 8.46 |
6 | Germany | 344,000 | 2.72 | -6.83 | Poland | 98,300 | 1.7 | 564.19 |
7 | United States | 295,300 | 2.33 | 46.12 | Ireland | 96,900 | 1.67 | 1918.8 |
8 | Korea, South | 141,200 | 1.12 | -39.86 | Thailand | 44,400 | 0.77 | 50 |
9 | Czech Republic | 135,500 | 1.07 | 1863.77 | Malaysia | 43,700 | 0.75 | 40.97 |
10 | Philippines | 100,700 | 0.8 | 146.21 | Japan | 31,400 | 0.54 | -3.98 |
Korea, South (18위) | 9,200 | 0.16 | -92.33 |
자료원 : Global Trade Atlas, 벨라루스 통계청
□ 시사점
ㅇ 앞서 살펴보았듯이 향후 벨라루스 통신시장 규모자체가 크게 성장하지는 않은 것으로 예상되나, 지속적인 통신인프라 교체 수요 및 서비스구조의 개편(예를 들어 무선통신 가입자수가 늘어나는 것은 아니나, 2G/3G 서비스가 거의 사라지고 4G 서비스로 대체)이 예상되므로 이에 맞춰 관련 제품들의 현지 시장 진출이 가능하다 여겨짐.
- 매년 개최되는 벨라루스 최대 정보통신박람회(TIBO, https://tibo.by/en) 참가/참관 등 적극적인 현지 마케팅을 통해 관련 제품들의 현지 시장 진출기회를 마련해 볼 필요가 있음
전시회명 | 국제 ICT 포럼 및 통신정보 박람회 2020 |
개최시기 | 2020년 5월 18일 ~ 5월 22일 |
홈페이지 | https://tibo.by/en/about/ |
전시장소 | |
참가규모 | 2019년 100 여개사 |
전시품목 | National telecommunication infrastructure, Modern IT architecture, Technological trends (platforms, protocols, standards), Cybersecurity, Software Industry, Television, multimedia and gaming technologies 등 |
2019년TIBO 전시장 전경과 공식 포스터
자료원 : KOTRA 민스크 무역관 직접 촬영
ㅇ 벨라루스는 ICT산업이 발달한 국가이며 비교적 임금이 저렴한 편으로 현지에서의 합작생산을 고려할 수도 있으며, 특히 우리 중소기업 전자제품의 수출시에 애로사항으로 대두되는 수출후의 현지 A/S 지원 등에 대한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현지 중소기업 전자제품 공동 A/S 센터 설립 등도 고려할 만한다 사료됨.
- 2015년 발표한 ITU의 ICT 발전지수(IDI)에 따르면, 벨라루스는 지난 5년간 가장 빠르게 ICT 부문이 성장한 10대 국가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하였음
- 2017년 ICT 발전지수(IDI) 종합순위에서 CIS 국가 중 벨라루스가 선두이며, 기술(Skills) 부분은 대한민국과 비슷한 수준임 (한국 2위, 벨 5위)
구분 | ICT 접근 | ICT 활용 | 기술(Skill) | 종합 | ||||
지수 | 순위 | 지수 | 순위 | 지수 | 순위 | 지수 | 순위 | |
벨라루스 | 7.87 | 34 | 6.54 | 40 | 8.93 | 5 | 7.29 | 32 |
대한민국 | 8.85 | 7 | 8.71 | 4 | 9.15 | 2 | 8.85 | 2 |
자료원 : 국제전기통신연합 ITU (https://www.itu.int), 조사대상국 176개국
자료원 : 벨라루스 통신정보화부, 벨라루스 통계청, 벨라루스 관세청, www.belta.ru, www.news.tut.by, https://www.gtis.com/gta, https://doingbusiness.by, http://revera.by, www.fitchsolution.com, TIBO 공식 홈페이지(https://tibo.by/en), https://statcounter.com/, www.yandex.by, https://beltelecom.by/en, https://www.mts.by/en, https://www.a1.by/en, https://life.com.by/, https://en.becloud.by/, https://cosmos-telecom.by/, KOTRA 민스크무역관 자료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