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제 터키는 위치상으로도 에게해,지중해, 마르마라해, 흑해와 접해 있기도 하거니와 조상을 따져보면 중앙아시아의 민족이 유럽과 아랍 민족과의 접촉으로 생겨난 나라가 터키라고 한다. 동·서양이 만나는 술탄의 땅 터키는 로마 못지 않게 유서 깊은 곳이다. 수도는 앙카라지만 지중해와 흑해 사이 에 위치한 도시 이스탄불은 동서양의 정치, 경제, 문화 종교가 만나는 길목으로 유사 이래 수많은 문화가 번성하고 멸망해 온, 볼거리가 풍부한 지역으로터키의 예술 문화 문화와 경제를 주도하고 있다.
아울러 지중해 인근 국가들처럼 양고기.토마토 소스와 향신료 생선튀김요리등 색다른 맛을 즐길수 있는 곳일뿐더러 비록 중국 프랑스 요리만큼 전 세계적으로 알려져있지는 않지만 나름대로 특색이 있고 우리 입맛과도 잘 맞는다.
터키 제일의 도시 이스탄불의 몇몇 거리는 대표적인 먹거리 장소로 널리 알려져있다. 선술집과 바, 생선요리전문 레스토랑은 쿰카프쪽에 , 경식과 해산물 요리는 베요그루 지구의 치체크 파사지에, 그 옆에 있는 네비자에거리는비좁기는 하지만 술과 함께 터키특별요리를 즐기기에는 그만이다. 술탄아흐메트 지구쪽으로는 비잔틴.오스만 시대의 건물을 개조한 레스토랑이 많아서 눈길을 끌기도 한다.
이러한 다양한 터키 음식중에 이미 전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는 음식은 바로 케밥 요리이다. 특히 유럽족이나 호주쪽 여행자들은 이 케밥 요리를 아주 쉽게 만날수 잇고 그리스를 비롯한 유럽 지역에는 기로스로 알려져 있다. 국내 일부 호텔의 양식당에는 고정 메뉴로 꼬치에 감아 먹는 시시키 케밥 (Sis Kebab) 이 메뉴판에 있는 곳도 많고 아직 요리사들도 이 요리가 터키요리란 것을 모르는 이들도 있다. 전해지는 케밥의 유래는 터어키남부지역에서 클레오파트라와 시저황제의 식사를 위해 움푹 패인 돌에 고기를 매달고 돌려 숯불에 익혀 먹었던 데서 유래된 것으로 한다.
우리식으로 꼬치구이인 셈인데 우리는 닭고기에 피망 양송이양파등을 끼워서 만들고 터키식은 양고기를 쓴다.이는 터키인의 대부분이 이슬람교이며 이 영향으로 돼지고기는 금기이다.
또 다른 이유로는 그 나라가 원래 유목민으로써 목초지를 찾아서 주로 양을 가축으로서 데리고 다닌데서도 그 이유를 찾을 수있다. 양털의 섬유 앙고라가 바로 터키의 수도 앙카라를 가리키는 말이다.
다른 케밥 종류로는 도너 케밥이 (doner kebab)있고 우리 대표적인 음식인 김치에도 수 많은 종류가 았는것처럼 터키의 대표적인 음식 케밥에도 종류가 많다. 아다날케밥 파드리잔 케밥등 수백종의 케밥이 있다고 한다.
그중 대표적인 도너 케밥은 멕시코의 또띠아,베트남의 반짱,우리의 전병 처럼 얇은 밀가루 반죽에 고기나 양념을 넣어서 싸먹는 요리이다. 터키식은 양념에 하루 재운 고기를 특별히 제작된 도너 케밥 브로일러에 돌리면서 은근한 열로 기름을 제거해서 칼로 썰어서 야채류와 함께 싸먹는 요리이다. 도너 케밥 보다는 시시키 케밥이 아무래도 만들기 수월하다. 터키에선 양고기를 쓰지만 우리는 냄세 때문에 ??이 양고기를 고집할 필요는 없다.
이외에도 먹어볼만한 요리로는 터키식 필라프, 보렉(파이종류).돌마( 터키식 요거트)등이다. 달짝지근한 터키식 커피도 별미이다.
요리명: 시시키 케밥
재료명:
닭 살코기 부위 300그램 기준
토마토 1개
피망 1개
양파 1개
양송이 5개
만드는 법:
1. 닭고기를 가로 세로 5cm정도로 다듬고 모든 야채도 이에 맞춘다.
2. 준비된 꼬치에 순서대로 꼽아서 소스를 바르면서 굽는데 우리 입맛에는 일식의 데리야끼 소스가 어울린다.
3. 데리야끼 소스 진간장 360cc, 설탕 100g. 다시물 또는 그냥 물250cc. 미림 180cc. 물엿 100cc (한컵 200cc기준)
첫댓글 예전에 부천에서 하는 무슨 축제에서 진짜 터키사람이 만든거 먹어봤는데 맛 정말 죽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