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민물 고기의 쳄질 타이밍과 바다 고기의 쳄질 타이밍은 분명 다릅니다.
민물 고기는 솔직히 잘 모릅니다..왜냐면 한번도 민물 경험이 없는 관계로
그러나 귀동냥으로 들어본 결과 민물 고기는 좀 예민하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주둥이에 훗킹이 되도록 미끼가 입안에 들어가는 순간에 쳄질을 한다고 들었습니다.
바다 고기는 민물 고기에 비해서 덜 예민합니다..
속칭 다금바리,능성어, 자인언트 그루퍼 라는 고기는 좀 큰 고기입니다..
이런 큰 고기는 아주 천찬히 입질을 합니다.
이유는 먹어도 되고 안먹어도 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잔챙이는 먹어야만 살 수가 있기 때문에 입질이 아주 시원합니다..
빨리 먹고 도망을 가야하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돌돔과 유터에서 속칭 다금바리 라는 고기의 입질 타이밍을 보죠
* 돌돔
-. 밑에서 먹어 들어온다
-. 그래서 예신이 2번 이상 온다
-. 원줄 혹은 초리대를 가져간다
-. 완전히 가져갈때 까지 기다려라..
-. 예신이 올 때 고패질을 하지 말라.
* 속칭 다금바리(능성어, 자바리, 그루퍼)
-. 미끼를 가지고 논다 라고 표현 할 정도 좌,우측으로 미끼를 끌고 간다
-. 미끼를 물었다 놓았다를 반복할 수도 있다
즉, 찌가 들낙거린다
-. 찌가 완전히 잠수할때 까지 기다린다
-. 움직이는 미끼에 반응을 잘한다.
여기서 큰고기를 잡을때 바늘을 주둥이에 훗킹 시키는것과 바늘을 삼키게하는것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 부분은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주둥이에 훗킹시키면 고기가 저항을 무지 합니다. 고기 자신이 쓸 수 있는 힘을 다 쓰죠
그러나 삼키면 입을 열고 저항을 합니다. 엽을 열면 입속으로 물이 들어갑니다
그러니 당연히 쓸 수 있는 힘이 감소됩니다.
그런 고로 큰 고기는 쳄질 타이밍을 늦게 잡는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너무 늦게 잡는다면 처벅는 경우가 발생함으로 주의를 요합니다...
저는 그래서 삼키는것을 선호합니다...
또한 바늘을 삼키면 쳄질을 강하게 할 필요가 없습니다.
또한 삼키면 목줄이 이빨에 끊어진다고 하는 분이 있습니다만은 이런 경우는 5%도 안됩니다
다른 이유로 끊어지는 확률보다 낮습니다.,
첫댓글 yes sir!!
아~~잘배웠슴니다....
민물1점 돌돔1점 다금이 2점 합이 4점 포인트 적립 됐습니다..
수고하셨읍니다.
고맙습니다.
역시 멋진 정보 입니다...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