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타 [彌陀]
서방 정토의 극락세계에 머물면서 불법을 설한다는 대승 불교의 부처님
미타-전[彌陀殿]국어우리말샘뜻
조선 시대 삼단 신앙에 따라 구성된 사찰의 공간 구성 형식에서 상단 신앙이 이루어지는 곳에 있는 주요 전각 가운데 하나.
해제解題 :
삼장 법사 = 불경의 3요소, 즉 경장(經藏), 율장(律藏), 논장(論藏)
을 모두 통달한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1]
1. 개설槪說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은 극락세계의 교주이신 아미타불을 신앙하고 모든 선근공덕善根功德을 닦아서 극락세계에 태어남[왕생往生]을 그 내용으로 하는 경전으로서 무량수경無量壽經과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과 아미타경阿彌陀經을 말한다.
그런데 극락정토, 곧 극락세계란 흐리고 악한 예토穢土가 아닌 이른바 오탁악세五濁惡世를 여의고 욕계‧색계‧무색계의 삼계三界를 뛰어넘은 청정하고 안락한 이상적인 처소를 말한다. 그래서 경經에는 청정토淸淨土ㆍ안락국安樂國ㆍ불토佛土ㆍ불국佛國 등의 이름이 있다.
그러기에 극락정토란 불‧보살의 한량없는 공덕의 과보果報로 수용受用하는 청정한 보토報土요, 상주불멸常主不滅한 실상實相이며 모든 중생이 번뇌를 여의고 필경 돌아가야 할 영생의 고향이기도 한 것이다.
경전에는 아촉불阿閦佛의 정토, 약사여래藥師如來의 정토, 문수보살의 정토, 미륵보살의 정토 등 여러 정토를 말한 데도 있으나, 모든 정토의 대표적이며 일반적으로 갈앙渴仰하고 흠모하여 신앙의 대상이 되어온 것은 아미타불의 극락정토, 곧 극락세계에 관한 교설이다.
그래서 아미타불과 극락세계에 관한 교법은 현존하는 장경藏經 중에 실로 200여 부에 달하며, 또한 그에 따른 여러 스님네들의 저서는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것이다. 그리고 역사적으로 보더라도 인도를 위시하여 서장(티베트)ㆍ중국ㆍ한국ㆍ일본 등으로 가장 널리 유통流通되어, 참으로 불교문화의 정화精華이며 민간 신앙의 표본이 되어온 것이다.
그런데 현대에 와서 불교계에는 이미 알려진 제한된 사료史料와 고증考證을 근거로 하고, 범부의 지견知見으로 분별하여 모든 대승 경전이 불설佛說이 아니라는 이른바 대승비불설大乘非佛說은 거의 정설定說처럼 되어 있다. 그래서 정토 사상의 발생과 ≪정토삼부경≫의 성립 연대에 대해서도 석존 이후 대승 불교가 발생할 무렵, 어느 대승의 학장學匠에 의하여 이루어졌으리라고 주장하는 이들이 많다. 그러나 그러한 문제는 부정도 긍정도 할 수 없는 문제인 것이다.
그러한 사료史料를 위주한 실증적 자세가 학구적學究的인 분야에서는 필요한 일이기도 할 것이다. 그러나 순수한 신앙의 견지에서 생각할 때는 부처님의 부사의한 일체종지一切種智와 과거 이천二千여 년을 통하여 ≪정토삼부경≫을 불설佛說로 확신하여 온 수많은 조사 스님들의 법력을 의심하게 되고, 또한 자성自性에 본래 갖추어 있는 삼명육통三明六通을 불신하는 경향이 되지 않을까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정토삼부경≫을 불설로 확신하여 온 조사스님들 가운데는 숙명통宿命通을 통달하여 석존 당시를 꿰뚫어 보는 이도 많았으리라 생각된다.
그러기에 극락정토를 발원發願하는 불자佛子들은 부질없는 분별에 마음을 팔지 말고
≪정토삼부경≫ 그대로 신인信認하고 그대로 수행修行함이 불ㆍ보살의 본회本懷이며 극락왕생往生의 첩경捷徑이라 믿는 바이다.
2. 무량수경無量壽經
1) 한문 번역
무량수경은 중국에서 열 두十二번이나 번역되었다고 하나 이른바 오존칠결五存七缺이라 하여 현재는 오역五譯만 남아 있고 칠역七譯은 산실散失되었다고 한다.
이 한문 번역은 천축天竺[인도]의 삼장법사 강승개康僧鎧가 중국의 조위曹魏 때 그 가평嘉平 4년(252) 낙양洛陽 백마사白馬寺에서 번역하였다.
2) 내용
무량수경은 대무량수경大無量壽經 또는 약하여 대경大經이라고도 하며 상上ㆍ하下 2권으로 되어 있다. 일찍이 석존께서 기사굴산에 계실 때, 아난존자와 수많은 제자들을 상대로 하여 광명이 무량하고 수명이 무한하신 아미타불의 극락세계에 관한 한량없는 공덕과 거룩한 장엄을 설하신 경전이다.
그 상권上卷에는 아미타불이 극락정토를 건설하게 된 원인과 그 과보果報를 설법하셨는데, 아미타불께서 일찍이 법장보살法藏菩薩이었을 적에 세자재왕불世自在王佛의 처소에서 2백 10억의 불국토佛國土를 보고, 거기에서 가장 훌륭한 공덕만을 선택하여 최선의 이상국理想國을 세우고자 큰 서원誓願을 발하였다.
그것은 사십팔四十八종의 서원인데, 그 내용을 요약하면 ‘선인善人도 악인도 현명한 이도 어리석은 이도 나의 원력願力을 믿고 따르는 이는 모두 다 반드시 구제하여 극락세계에 태어나게 하리라. 만약 이 일이 성취되지 않는다면 나는 차라리 부처가 되지 않겠다.’고 맹세하였다. 그래서 이 서원을 성취하기 위하여 영겁永劫의 오랜 세월을 두고 온갖 수행을 거듭하였다. 그리하여 법장보살은 서원을 성취하여 아미타불이 되시고 공덕과 장엄이 원만히 갖추어진 극락세계를 세우신 것이다.
그런데 법장보살이 아미타불이 되신 이러한 성불成佛의 인연설화因緣說話는 비단 아미타불에만 국한한 성불의 인연만은 아니며, 과거ㆍ현재ㆍ미래 삼세의 모든 부처님들의 성불 인연의 의미이기도 하며, 그것은 바로 우리 자신의 성불의 도정道程이 되는 동시에 영생상주永生常住한 진여법성眞如法性의 부사의한 일대행상一大行相인 것이다.
그 하권下卷에서는 중생이 극락세계에 왕생하는 원인과 그 과보果報를 설법하셨는데, 중생이 극락에 왕생하는 원인에는 염불해서 왕생하는 이도 있고, 또는 다른 모든 선행先行을 닦아서 왕생하는 이도 있다고 하셨으며, 이러한 공덕들은 모든 부처님들께서도 칭찬하시고 권장하신다고 말씀하셨다.
그리고 중생이 극락세계에 왕생한 과보果報를 설하셨는데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극락세계에 왕생한 맨 처음이라 하셨다. 또한 극락에 왕생한 이는 누구나가 다 삼십이三十二 대인상大人相을 갖추고 지혜가 원만하며 신통력이 자재하여 시방세계의 부처님들을 공양하며, 또는 나와 나의 소유所有라는 상相이 없고 언제나 남의 행복만을 바라며 마음이 평정平靜하여 감정의 파동이 일지 않고, 매양 모든 중생을 제도하고자 하는 자비심이 충만함을 말씀하셨다.
그런데 부처님의 부사의하고 무한한 지혜 공덕을 신信하지 않고는 극락세계에 왕생할 수 없는 것이니, 모름지기 부처님에 대한 깊은 신앙심을 간직하고 오악五惡을 짓지 말고 오선五善을 닦을 것을 간절히 당부하셨으며, 먼 후세에 설사 모든 경전이 없어질지라도 나는 자비로써 특히 이 무량수경만은 백세 동안 더 오래 머물게 하리라고 굳게 다짐하셨다.
3.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
1) 한문 번역
서역西域의 중 강량야사(畺良耶舍 383~442)가 중국의 유송劉宋 원가元嘉 10년(433)에 번역하였다.
2) 내용
관무량수경은 십육관경十六觀經 또는 약約하여 관경觀經이라고도 하는데, 석존께서 만년에 기사굴산에 계실 적에 왕사성에서 큰 비극이 일어났었다. 그것은 태자 아사세가 제바달다의 사주使嗾를 받아 왕위를 빼앗기 위하여 부친인 빈바사라왕(빈비사라왕)을 가두고, 아버지를 옹호하는 자기 어머니인 위제희 부인마저 가두어 버렸다.
이에 위제희 부인은 못내 슬퍼하여 멀리 석존의 왕림을 기원하였다. 그래서 석존께서는 아난존자와 목련존자를 데리고 신통력으로 부인의 처소에 나투셨다. 그리고 자신의 광명 속에서 시방세계의 정토淨土를 나타내시어 부인에게 보였는데, 부인은 그 중에서 모든 괴로움이 없고 안락만이 충만한 극락세계에 왕생할 것을 바라고 극락세계에 태어날 방법을 가르쳐 주시기를 석존에게 애원하였다.
그래서 석존께서는 부인을 위하사 십육관十六觀의 수행법을 설하셨는데, 그것은 정선定善 십삼관十三觀과 산선散善 삼관三觀으로서, 정선定善이란 산란한 생각을 쉬고 마음을 고요히 하여 극락세계의 국토와 부처님과 보살들을 점차로 관조觀照함을 말한다. 석존께서 이를 설하시는 동안 일곱 번째인 화좌관華座觀을 설하실 적에, 부인을 위하사 모든 고뇌를 없애는 법을 설하시겠다고 말씀하실 때 홀연히 아미타불이 허공중에 나투시니, 부인은 환희에 넘쳐 아미타불을 예배하고 깊은 신심信心을 일으켜 바른 깨달음을 얻었다.
석존께서는 정선定善 십삼관十三觀을 설하시고 나서 다시 산선散善 삼관三觀을 설하셨는데, 산선散善이란 **산란한 마음이 끊어지지 않은 채, 악을 범하지 않고 선을 닦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그 산선이란 이른바 삼복三福이라 하여 세간의 선과 소승小乘의 선과 대승大乘의 선을 가리킨다.
다시 석존께서는 이 삼복三福을 중생의 근기에 배당하여 구품九品으로 구분하셨는데, 그 중에서 상품상생上品上生과 상품중생上品中生과 상품하생上品下生의 삼품三品은 대승의 근기로서 대승선大乘善을 닦아서 극락에 왕생함을 말하고, 중품상생中品上生과 중품중생中品中生의 이품二品은 소승의 근기로서 소승선小乘善을 닦아서 극락에 왕생함을 말하며, 중품하생中品下生의 일품一品은 세간世間의 근기로서 세간선世間善을 닦아서 극락에 왕생함을 말한다.
그리고 하품상생下品上生과 하품중생下品中生과 하품하생下品下生의 삼품三品은 이른바 삼복무분三福無分이라 하여 조금도 선행을 닦은 바가 없는 악인이라 할지라도, 다만 지성어린 염불만으로 극락세계에 왕생할 수 있다고 설하셨다. 끝에 가서 석존께서는 다시금 아미타불 염불을 찬탄하사 이것이 가장 수승한 극락왕생의 길이니, 지성으로 믿고 간직하도록 간곡히 당부하셨다. 석존의 설법이 끝나자, 위제희 부인은 진리의 실상을 깨닫는 무생법인無生法忍을 훤히 통달하고, 오백의 시녀들도 또한 깊은 신심을 일으켰다.
4. 아미타경阿彌陀經
1) 한문 번역
구자국龜玆國의 삼장법사三藏法師 구마라집(鳩摩羅什 350~409)이 중국의 요진姚秦 때 이세二世 요흥왕姚興王의 칙명을 받고 홍시弘始 4년에 번역하였다.
2) 내용
아미타경은 약하여 소경小經이라고도 하는데 석존께서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서 사리불존자를 상대로 하여 설하신 법문으로서, 대무량수경과 관무량수경의 뒤를 이어 두 경전의 뜻을 요약하셨다고 할 수 있으며, 극락세계의 찬란한 공덕 장엄과 그 극락에 왕생하는 길을 밝히신 경전이다.
먼저 극락세계의 위치와 그 이름을 풀이하시고, 극락세계의 칠보七寶 나무와 칠보 연못과 칠보 누각과 미묘하고 청아한 음악 등 부사의하고 찬란한 장엄을 찬탄하시고, 극락세계에는 바로 지금 아미타불께서 설법하고 계신다고 하셨다.
그리고 광명이 무량하고 수명이 무한하므로 아미타불이라 이름하며, 극락세계에 왕생하는 중생도 또한 무량한 광명과 무한한 수명을 얻는다고 찬양하셨다.
그런데 극락세계에 왕생하기 위해서는 적은 선근善根이나 적은 복덕으로는 불가능하니, 깊은 선근과 많은 복덕이 되는 염불에 의하여 극락에 왕생하라고 권하셨다.
또한 동ㆍ서ㆍ남ㆍ북과 상上ㆍ하下 육방六方의 헤아릴 수 없는 모든 부처님들께서도 염불 공덕의 위대함을 찬탄하고 증명하신다 하셨다. 그래서 이렇듯 모든 부처님들께서 깊이 기억하시고 옹호하시는 부사의한 공덕이 있는 “염불”을 하라고 간곡히 타이르셨다. 요컨대, 다른 경전들은 거의가 제자들의 간청에 의하여 설하신 법문인데, 이 아미타경은 이른바 ‘무문자설경無問自說經’이라 하여 석존께서 자진하여 설하신 경전으로서, 석존께서 세상에 나오신 근본의의意義인 중생 구제의 참 뜻을 밝히신 귀중한 법문임을 절감하지 않을 수 없다.
5. 아미타불阿彌陀佛
아미타불은 줄여서 아미타 또는 미타라고도 하며 범본경전梵本經典에는 아미타유스붓다(Amitayus~Buddha/무량수불)ㆍ아미타바붓다(Amitabba~Buddha/무량광불)의 이름이 있고, 밀교密敎에서는 아마타붓다(Amita~Buddha/감로왕불)의 이름 등이 있으나 보편적으로 아미타불이나 무량수불로 불리워지고 있다.
≪정토삼부경≫에는 구원겁久遠劫 전에 법장보살이 사십팔원四十八願을 세워 조재영겁兆載永劫의 오랜 수행을 쌓고 이미 10겁劫 전에 성불하여 현재 서방 극락세계에서 설법하고 계신 부처님을 아미타불이라 한다.
그리고 밀교에서는 법신法身[타陀]ㆍ보신報身[미彌]ㆍ화신化身[아阿]의 삼신三身을 겸전한 부처님이 아미타불이라 하였고, 선종禪宗과 화엄종에서는 자성미타自性彌陀ㆍ유심정토唯心淨土라 하여 일체 만법을 원만히 갖춘 참 성품인 마음이 바로 아미타불이며 극락세계 또한 청정한 마음 위에 이루어지는 장엄한 경계임을 밝히고 있다.
이와 같이 그 경우에 따라 여러 가지로 해석되고 있으나, 비유와 상징을 떠난 근본 뜻을 생각한다면 시간‧공간을 초월한 영원한 진여자성眞如自性으로서, 영겁永劫을 통하여 끊임없이 십법계(지옥ㆍ아귀ㆍ축생ㆍ수라ㆍ인간ㆍ천상ㆍ성문ㆍ연각ㆍ보살ㆍ불)의 의依[국토]ㆍ
정正[마음과 몸]을 성기性起하는 우주 자체의 인격人格이 바로 아미타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아미타경에도 그 수명이 무량하므로 무량수불이요 광명이 무량하므로 무량광불이라 하였으니, 그 무량한 수명은 영원한 시간과 자비를 상징하고, 무량한 광명은 무한한 공간과 지혜를 상징하므로, 자비와 지혜를 원만히 갖춘 영원한 진여자성眞如自性이 아미타불임을 의미하였다.
또한 더욱 구체적인 이름으로 무량수경에서 십이광불十二
光佛이라 하여 무량수불 외에 무량광불無量光佛ㆍ무애광불無碍光佛ㆍ무대광불無對光佛ㆍ염왕광불燄王光佛ㆍ청정광불淸淨光佛ㆍ환희광불歡喜光佛ㆍ지혜광불智慧光佛ㆍ부단광불不斷光佛ㆍ난사광불難思光佛ㆍ무칭광불無稱光佛ㆍ초일월광불超日月光佛 등을 들고 있다.
앞에서 본 바와 같이 우주의 실상이자 우리의 본래면목本來面目이 바로 아미타불임을 짐작하고 남음이 있을 것이며, 그래서 여러 경전에 나오는 수많은 부처님의 명호(이름) 또한 진리의 대명사인 아미타불의 그 인연에 따른 상징과 비유의 이름에 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6. 본원本願
본원이란 근본서원根本誓願의 준말로서 모든 부처님들이 지난 세상에서 성불하고자 뜻을 세운 여러 가지 서원을 말한다. 이에는 총원總願과 별원別願이 있는데, 총원은 모든 부처님들의 공통한 본원 곧 사홍서원四弘誓願이며, 별원은 부처님마다 중생 제도의 인연에 따라 세우신 바 아미타불의 사십팔원四十八願이나 약사여래藥師如來의 십이원十二願 등을 들 수 있으나, 보통은 아미타불의 사십팔원을 말한다.
그런데 아미타불이 바로 진여실상眞如實相이요, 중생이 본래 갖춘 자성自性이라고 생각할 때, 아미타불이 성불 이전 법장보살 때 세운 사십팔의 서원은 곧 사홍서원의 구체적 표현으로서, 삼세三世 모든 부처님의 서원인 동시에 우주 자체에 내재內在한 목적 원인이며 또한 성불을 지향한 우리 중생의 서원이요, 이상이기도 한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이상의 실현에는 먼저 그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간절한 서원이 전제가 되지 않을 수 없다.
7. 극락정토極樂淨土
아미타불의 본원本願으로 건립된 정토의 이름이 극락정토이며 흔히 극락세계라 하는데 범어 수하마제須訶摩提(Suhamati/Sukhayati)의 뜻 번역이다.
또한 극락세계의 다른 이름으로는 안양安養ㆍ안락安樂ㆍ안온安穩ㆍ묘락妙樂ㆍ무위無爲ㆍ청정토淸淨土ㆍ서방정토西方淨土ㆍ불회佛會ㆍ열반성涅槃城ㆍ진여문眞如門ㆍ무량수불토無量壽佛土ㆍ무량광명토無量光明土ㆍ밀엄국密嚴國ㆍ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 등 30여 종의 별명이 있다.
그런데 극락정토란 청정하고 안락한 국토의 뜻으로서 다섯 가지 흐린 것[오탁五濁]이 없고, 생로병사生老病死를 비롯한 모든 괴로움이 없으며, 오직 즐거움만 있는 세계로서, 생사윤회生死輪廻하는 삼계三界(욕계ㆍ색계ㆍ무색계)를 뛰어넘은 영원한 낙토樂土임을 경전에서는 찬탄하여 마지않는다. 그래서 극락정토는 모든 불‧보살이 수용受用하는 청정한 보토報土인 동시에 중생들 또한 번뇌 업장만 소멸하면 금생과 내세를 가리지 않고, 스스로 보고 느끼고 누릴 수 있는 상주불멸常住不滅한 실상實相의 경계인 것이다.
이렇듯 극락세계는 시간‧공간을 초월한 영생의 세계인데도 경經에는 10만억 국토를 지난 아득한 서쪽에 있다고 한 것은 번뇌에 때묻은 중생의 분상에는 실재하지 않는 꿈같은 세계이기 때문에 중생의 차원에 영합迎合한 비유와 상징적인 표현임을 경전을 정독 음미할 때 충분히 짐작하고 남음이 있을 것이다.
범부의 망정妄情을 여읜 성자의 정견正見에는 사바세계 그대로 극락세계일지라도, 온갖 번뇌에 얽매이고 가지가지의 고액이 충만한 현실에 시달린 고해苦海 중생에게는 영생 안온한 극락세계란 역시 너무나 머나먼 이상향이 아닐 수 없다. 그러기에 우리 중생은 필경 돌아가야 할 본래 고향인 극락세계를 동경하고 흠모하며, 거기에 이르기 위한 간절한 서원을 굳게 세우고, 한량없는 선근공덕善根功德을 쌓아야 할 것이다.
8. 염불念佛
1) 염불의 의의意義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극락세계에 태어난다는 것, 곧 왕생往生함이 ≪정토삼부경≫의 주제이다. 그리고 극락세계에 왕생한다는 것은 바른 깨달음을 얻어 위없는 진리에서 물러나지 않는 불퇴전의 성자聖者가 되는 것과 같은 의미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온갖 번뇌를 소멸하고 정각正覺을 얻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듯이 극락세계에 왕생하는 것도 또한 경전의 말씀과 같이 ‘적은 선근善根과 적은 복덕福德’으로는 불가능한 것이다.
그러면 극락세계에 왕생하기 위한 큰 선근과 거룩한 복덕은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염불인 것이다. 우리 본래 자성이 부처님이요, 아미타불이란 부처님의 명호(이름)이기 때문에 염불이란 곧 자성불自性佛을 생각하고 자성불로 돌아가는 법이자연法爾自然의 수행법인 것이다.
또한 염불은 부처님의 본원에 들어맞는 수행법일 뿐 아니라 삼세三世 모든 부처님들께서 한결같이 권장하고 기억하여 호념護念하시는 수행법이기 때문에 다른 수행법에 비하여 불‧보살의 가피가 수승함은 여러 경전이나 수많은 영험록靈驗錄을 통하여 충분히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능엄경楞嚴經에서도 석존께서 “나는 일찍이 수행할 때에 염불로써 무생법인에 들었느니라.”[我本因地아본인지 以念佛心이념불심 入無生法忍입무생법인] 하셨고 관무량수경에는 “염불하는 이는 모든 사람 가운데 향기로운 연꽃이니라.” [若念佛者약염불자 當知此人당지차인 卽是人中즉시인중 分陀利華분다라화] 하셨다. 그래서 염불은 진여자성眞如自性을 여의지 않는 자성선自性禪이라고도 하고 또한 모든 삼매三昧의 왕王이라 하여 보왕삼매寶王三昧라고도 하는 것이다.
2) 염불의 방법
염불念佛이란 부처님을 기억하여 잊지 않고 끊임없이 생각하며 또는 그 이름을 부르는 것을 의미하는데, 칭명염불稱名念佛ㆍ관상염불觀像念佛ㆍ관상염불觀想念佛ㆍ실상염불實相念佛 등 네 가지 방법이 있다.
㉠ 칭명염불稱名念佛은 부처님의 명호(이름)를 부르는 것으로서 가장 간단하여 행하기 쉽다.
㉡ 관상염불觀像念佛은 부처님의 원만한 상호(모습)를 생각하는 염불이다.
㉢ 관상염불觀想念佛이란 고요히 앉아서 부처님의 지혜 공덕을 생각하는 염불이다.
㉣ 실상염불實相念佛이란 부처님의 법신法身 곧 일체 만법의 본바탕은 있는 것[유有]도 아니고 공空한 것도 아닌 중도中道의 실상實相임을 생각하는 염불이다.
이러한 사종四種 염불 외에도 호흡과 맞추어서 염불하는 수식염불數息念佛, 아미타불을 화두話頭로 하여 참구參究하는 간화염불看話念佛 등이 있다. 그런데 어떠한 염불이든 자기 근기에 맞는 염불을 일심불란一心不亂하여 삼매三昧에 들면 되는 것이니 함부로 그 우열優劣을 시비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3) 염불삼매念佛三昧
위에 말한 염불 공부를 망념妄念이 섞이지 않도록 염념상속念念相續하여 일심으로 수행함을 인행因行의 염불삼매라 하고 이러한 수행이 성취되어 마음이 선정禪定에 들고, 혹은 부처님이 앞에 나타나시며, 또는 법신法身의 실상實相에 들어맞음[계합契合]을 과성果成의 염불삼매라 한다. 염불삼매경에 이르기를 “염불삼매는 일체 모든 법을 다 포섭하였으니 이는 성문聲聞 연각緣覺의 이승二乘 경계가 아니니라.”
[念佛三昧則염불삼매즉 爲總攝一切諸法위총섭일체법 是故시고 非聲聞緣覺二乘境界비성문연각이승경계]하셨다.
9. 염불念佛과 선禪
선禪은 바로 부처님의 마음[佛心불심]이요, 교敎는 부처님의 말[佛語불어]이니,
경전의 말과 문자에 걸리지 않고 마음을 밝힐 때 선과 교는 본래 둘이 아닌 진여자성眞如自性의 체용體用인 것이다. 또한 일체 만유의 근본 자성自性이 아미타불이요, 극락세계 역시 같은 자성自性인 청정심淸淨心으로 이루어진 경계이니, 마음이 오염汚染되면 그에 상응한 삼계三界(욕계ㆍ색계ㆍ무색계)ㆍ육도六道(지옥ㆍ아귀ㆍ축생ㆍ수라ㆍ인간ㆍ천상)에 윤회輪廻하는 고뇌를 벗어날 수 없으며, 본래의 청정한 마음으로 돌아오면 금생과 내세來世를 가리지 않고 상락아정常樂我淨한 극락세계의 청정한 행복을 수용受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극락세계를 염원念願하고 아미타불을 생각하며 그 명호(이름)를 부르는 염불 공부는 진여자성을 여의지 않는 참선 공부와 본래 우열優劣이 없으니, 염불과 선禪은 일치한 것이다. [淨定一致선정일치] 그리고 염불과 참선이 둘이 아닌 선정일치禪淨一致의 뜻이 담긴 대표적인 법문은 관무량수경의 다음 구절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모든 부처님은 바로 법계法界를 몸으로 하는 것이니, 일체 중생의 마음 가운데 들어 계시느니라. 그러므로 그대들이 마음에 부처님을 생각할 때, 이 마음이 바로 삼십이상三十二相과 팔십수형호八十隨形好를 갖춘 원만덕상圓滿德相이니라. 그래서 이 마음으로 부처님을 이루고 이 마음이 바로 부처님이니라.”
諸佛如來是法界身제불여래시법계신 入一切衆生心想中입일체중생상중
是故卽是시고즉시 三十二相八十隨形好삼십이상수형호
是心作佛시심작불 是心是佛시심시불 觀無量壽經관무량수경
또한 저명한 선사禪師들로서 선정일치禪淨一致를 주장한 이들의 법문을 몇 가지 소개할까 한다.
㉠ 보조지눌(普照知訥1158~1210) 스님 : 고려 스님
“염불의 공덕이 성취되면 언제 어느 곳에나 아미타불의 참 몸이 앞에 나타나며 임종 시에는 구품九品 연화대에 영접되어 그 상품上品에 왕생한다.”
念佛功極염불공극 於日日時時一切處어일일시시일체처 阿彌陀佛眞體아미타불진체
冥現其前명현기전 臨命終時임명종시 迎入九品蓮臺영입구품연대 上品往生상품왕생 念佛要門염불요문
㉡ 태고보우(太古普愚1301~1382) 스님 : 고려 스님
“아미타불의 청정 미묘한 법신이 두루 모든 중생의 마음에 계시므로 마음과 부처님과 중생이 본래 차별이 없다. 그래서 마음이 곧 부처님이요, 부처님이 곧 마음이다. …… 아미타불의 명호(이름)를 끊임없이 분명히 생각하고 외울지니, …… 힘써 정진하여 그 공덕이 성취되면 홀연히 분별이 끊어지고 아미타불의 참 몸이 뚜렷이 나투신다.”
阿彌陀佛淨妙法身아미타불정묘법신 遍在一切衆生心地변재일체중생심지
故云고운 心佛及衆生是三無差別심불급중생시삼무차별 亦云心卽佛佛卽心역운심즉불불즉심 …… 阿彌陀佛名아미타불명 心心相續심심상속 念念不昧염념불매 …… 久久成功구구성공 則忽爾之間즉홀이지간 心念斷絶심념단절 阿彌陀佛眞體아미타불진체 貞爾現前정이현전 「太古庵歌태고암가」
㉢ 청허휴정(淸虛休靜 1520~1604) 스님 : 별호는 서산西山, 조선 스님
“마음은 바로 부처님의 경계를 생각하여 끊임이 없고, 입은 부처님의 명호(이름)를 분명히 불러 흐트러지지 않게 한다. 이렇듯 마음과 입이 서로 응하면 그 한 생각 한 소리에 능히 80억 겁 동안 생사에 헤매는 죄업을 소멸함과 동시에 80억 겁의 수승한 공덕을 성취한다.”
心則緣佛境界심즉연불경계 憶持不忘억지불망 口則稱名佛號구즉칭명불호 分明不亂분명불난 如是心口相應念一聲여시심구상응염일성 則能滅八十億劫生死之罪즉능멸팔십억겁생사지죄 成就八十億劫殊勝功德성취팔십억겁수승공덕 「淸虛堂集청허당집」
㉣ 육조혜능(六祖慧能 638~713) 스님 : 중국 당나라 스님, 선종禪宗 제6조祖
오직 아미타불 지니고
다른 생각 없으면,
손 튀길 수고도 없이
서방 극락 가리라.
一句彌陀無別念일구미타무별념 不勞彈指到西方불로탄지도서방
禪淨雙修集要선정쌍수집요
㉤ 영명연수(永明延壽 904~975) 스님 : 중국 북송 스님, 법안종法眼宗 제3조祖
선정과 정토가 같이 있으면,
마치 뿔 난 호랑이같이
이승에서 남의 스승이 되고
다음 생엔 부처와 조사가 되리.
선정이 없고 정토만 있어도
만萬 사람 닦아서 만萬 사람 가니
다만 아미타불만 뵈옵게 되면
깨닫지 못할 걱정 어찌 있을까.
선정만 있고 정토 없으면
열 사람에 아홉이 미끄러지고
중음中陰 경계가 나투게 되면
별안간 그를 따라가고 말며,
선정과 정토가 모두 없으면
무쇠 평상과 구리 기둥의 지옥
일만 겁과 일천 생에
믿고 의지할 데 하나도 없네.
有禪有淨土유선유정토 猶如戴角虎유여대각호
現世爲人師현세위인사 來生作佛祖래생작불조
無禪有淨土무선유정토 萬修萬人去만수만인거
但得見彌陀단득견미타 何愁不開悟하수불개오
有禪無淨土유선무정토 十人九蹉路십인구차로
陰境若現前음경약현전 瞥爾隨他去별이수타거
無禪無淨土무선무정토 鐵床並銅柱철상병동주
萬劫與千生만겁여천생 沒箇人依怙몰개인의호
㉥ 천여유칙(天如惟則 1300년 경) 스님 : 중국 원나라 임제종臨濟宗 스님
“염불과 참선이 같지 않다고 의심하는 이가 있는데 그것은 참선이란 다만 마음을 알고 성품을 보려 함이요, 염불은 자기 성품이 미타彌陀요 마음이 곧 정토淨土임을 모르는 데서 오는 것이니, 어찌 그 이치에 둘이 있으랴. 경에 말씀하시기를, 「부처님을 생각하고 염불을 하면 현세나 다음 생에 반드시 부처님을 뵈오리라.」 하셨으니, 이미 현세에서 부처님을 뵈옴이 어찌 참선을 하여 도道를 깨닫는 것과 다름이 있을 것인가. 아미타불 넉자를 화두삼아 자나 깨나 분명히 들어 쉬지 않고, 한 생각이 분별도 나지 않는 데 이르면, 차서를 밟지 않고 바로 부처님의 경지에 뛰어오르리라.”
有自疑念佛與參禪不同유자의염불여참선부동 不知參禪부지참선 只圖識心見性지도식심견성 念佛者염불자 悟自性彌陀오자성미타 唯心淨土유심정토 豈有二理기유이리 經云경운 憶佛念佛억불념불 現前當來현전당래 必定見佛필정견불 旣曰現前見佛기왈현전견불 則與參禪悟道有何異哉측여참선오도유하이제재 但將阿彌陀佛四字단장아미타불사자 做箇話頭주개화두 二六時中이육시중 直下提撕직하제서 至於一念不生지어일념불생 不涉階梯불섭계제 徑超佛地경초불지
「天如則禪師普說천여칙선사보설」
16관법이란 극락에 태어날 수 있는 방법을 열여섯 가지로 나눈 것이다. 이 관법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① 해를 생각하는 관[日想觀]:지는 해를 보면서 극락정토를 관상하는 것,
② 물을 생각하는 관[水想觀]:극락의 대지(大地)가 넓고 평탄함을 물과 얼음에 비유하여 관상하는 것,
③ 땅을 생각하는 관[地想觀]:극락의 대지를 분명하게 관상하는 것,
④ 나무를 생각하는 관[寶樹觀]:극락에 있는 보배의 나무를 관상하는 것.
⑤ 연못의 물을 생각하는 관[寶池觀]:극락에 있는 연못의 팔공덕수(八功德水)를 관상하는 것,
⑥ 누각을 생각하는 관[寶樓觀]:극락의 500억보루각(寶樓閣)을 관상하는 것,
⑦ 연화좌(蓮華座)를 생각하는 관[華座觀]:칠보(七寶)로 장식된 부처님의 대좌를 관상하는 것,
⑧ 형상을 생각하는 관[像觀]:금색상(金色像)으로 나타나는 부처님을 관상하는 것,
⑨ 몸을 보는 관[眞身觀]:참된 부처님의 몸을 관상하게 하는 것.
⑩ 관세음보살을 생각하는 관[觀音觀]:극락의 아미타불을 모시고 있는 관세음보살을 관상하는 것,
⑪ 대세지보살을 생각하는 관[勢至觀]:아미타불을 모시고 있는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을 관상하는 것,
⑫ 두루 생각하는 관[普觀]:극락의 주불(主佛)인 아미타불과 그를 둘러싸고 있는 온갖 것을 두루 관상하는 것,
⑬ 여러가지를 생각하는 관[雜想觀]:우둔한 이를 위한 것으로 1장 6척의 아미타불상을 관상하는 것.
⑭ 상배에 나는 관[上輩觀]:상품의 극락에 태어날 적당한 행업을 관상하는 것,
⑮ 중배에 나는 관[中輩觀]:중품의 극락에 태어날 적당한 행업(行業)을 관상하는 것,
⑯ 하배에 나는 관[下輩觀]:하품의 극락에 태어날 적당한 행업을 관상하는 것 등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십육관법(十六觀法))]
ㅡㅡㅡ
부처님께서 위제희에게 말씀하셨다.
“너와 그리고 중생들은 마땅히 오로지 생각을 한 곳에 집중하여 서방(西方)의 극락정토를 상상하여라.
그리고 어떻게 생각해야 할 것인가? 모든 중생 가운데 태어나면서부터 장님이 아니어서 눈이 있는 사람들은 모두 해가 지는 것을 보고 상념(想念)을 일으킬 수 있는데,
서쪽을 향하여 바르게 앉아 지는 해를 자세히 관(觀)하여라. 마음을 굳게 머물게 하여 오로지 생각을 옮기지 말고 해가 지려 하는 것이 마치 매달아 놓은 북[鼓]과 같은 모습임을 보거라.
해를 보고 나서는 눈을 감거나 뜨거나 그것이 명료하게 되도록 하여라.
이것이 해를 상상하는 것[日想]이며,
이를 초관(初觀)이라고 이름하느니라.
이와 같이 관하는 것을 정관(正觀)이라고 하고, 이와 다르게 관하는 것을 사관(邪觀)이라고 하느니라.”
ㅡ불설관무량수불경(佛說觀無量壽佛經)송(宋) 서역삼장(西域三藏) 강량야사(畺良耶舍) 한역
최윤옥 번역
ㅡ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ㅡ해제ㅡ1. 개요
5세기 중엽 강량야사(畺良耶舍)가 한역한 것으로,
무량수불이 머물고 있는 극락세계로 가는 길을 보여 주고 있는 경으로 정토사상을 설한 대표적인 경전이며,
『무량수경』ㆍ『아미타경』과 함께 정토삼부경의 하나이다.
약경명(略經名)은 『관경』ㆍ『관무량수경』이고, 별경명(別經名)은 『무량수관경(無量壽觀經)』ㆍ『십육관경(十六觀經)』이다.
NFT 발행하기
무량수전(無量壽殿), 아미타전(阿彌陀殿)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 극락전(極樂殿)은 바로 극락세계를 묘사한 전각이며 대웅전 다음으로 많은 전각이다. 극락세계가 서쪽에 있으므로 보통 동향으로 집을 지어 참배하는 사람들이 서쪽으로 향하여 예불하도록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지었다.
극락전의 주불인 아미타불은 자기의 이상을 실현한 극락세계에서 늘 중생을 위하여 설법을 하고 있는데, 이를 상징하는 뜻으로 극락전을 '미타전(彌陀殿)'이라고도 하고 또 극락세계에서는 수명이 무량하므로 '무량수전(無量壽殿)'이라고 한다.
신라의 의상대사가 창건한 부석사의 국보 18호인 무량수전은 안동 봉정사 극락전 다음으로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목조 건축물이지만 건물의 규모나 구조 등의 완성도에서 볼 때 최고(最高)의 걸작품이다. 공포형식은 주심포계로서 매우 건실하게 짜여져 있으며 배흘림 기둥으로 유명하며 편액은 고려 공민왕의 글씨이다. 무량수전의 주불인 소조 아미타불(국보 제45호)은 내부의 열주(列柱) 좌우하며 동향하고 있다.
부석사 무량수전 현판과 공포 양식
무량수전 소조 아미타여래상 : 국보 45호
아미타불은 아득히 먼 옛날에 법장(法藏)이라는 이름의 보살이었다, 그는 최상의 깨달음을 얻으려는 뜻을 세워 살아있는 모든 자를 구제하고자 48가지의 원(願)을 세워, 한 없이 긴세월 동안 고된 수행을 했다. 그리하여 그 원을 모두 이루어서 극락세계의 임금이 되었다, 지금으로부터 10겁(劫) 이전의 일이다.
불교의 시간 단위에서 보통 영원을 뜻하는 겁(劫)이란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40리나 되는 큰 성안에 겨자씨(채송화씨,담배씨같이 아주 작은 씨앗)을 가득 채우고 100년마다 하늘새(극락조)가 한번씩 날아와서 그 겨자씨를 한개씩 하늘로 물고 올라가는데, 그것을 전부 물고 올라가는데 걸리는 시간을 1겁이라 하며 또는 각각40리 되는 돌에 100년에 한 번씩 선녀가 지나가면서 옷깃에 닳아 없어지는 시간을 1겁이라 한다.
극락전에는 아미타불을 주불로 모시고 좌우 협시 보살로 관세음 보살과 대세지 보살이 봉안되어 있다.
[극락전 불 보살 배치도]
대세지 보살 아미타불 관세음 보살
길상사 극락전 아미타불과 지장보살(좌) 관세음보살(우)
[불교에서의 이상세계 : 극락]
극락세계는 서쪽 먼나라에서 아미타불이 지금도 설법을 하고 계신다. 극락세계의 집에는 7겹의 난간과 7겹의 화려하고 아름다운 나무 기둥이 있으며, 그 난간과 기둥은 방울과 금 은 유리 수정 등으로 장식되어 있고 산호 노마 호박을 더한 일곱가지 보석으로 만든 연못이 있으며 그 연못에는 8가지 공덕을 구비한 물과 모래가 깔려있다. 하늘에서는 늘 은은히 음악이 들여오고 땅은 황금색으로 아름다우며 주야로 세번씩 천상에서 향기로운 꽃이 떨어진다. 백조와 앵무새, 공작이 노래를 부르는데 그 노래가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하는 노래이며 그 노래를 듣는 사람은 부처님을 생각하게 되고 착한 일을 생각하게 한다. 깨달음을 이룬 사람도 무수히 많고 다음생에 부처가 될 사람도 많이 있는 나라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