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철수 부인 김미경, '비서진 사적 동원' 사과 "모든 것이 제 불찰..엄격해지겠다" 김미경 교수가 JTBC <뉴스룸>에서 제기한 ‘비서진 사적 동원’ 의혹에 결국 사과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 후보의 국회의원 사무실 직원들에게 부인인 김미경 교수가 연구자료 원고 교정을 부탁하고, 기차표 예매 등 사적인 일들을 시켜왔다는 JTBC의 의혹 제기를 사실상 인정한 것. 14일 JTBC <뉴스룸>은 2015년 안 후보가 의원실 업무와 전혀 상관없는 부인 김미경 교수의 글 교정을 부탁하는 메시지와 함께 메일을 보냈다는 당시 비서진의 증언을 공개했다. 방송 내용에 따르면, 원고는 김미경 교수의 서울대학교 연구 자료였다. 비서진은 ‘처음 보는 전문적 내용이 많아 교정에 시간이 많이 걸렸다’고 기억했다. <뉴스룸> 제작진은 김미경 교수가 의원실 직원에게 사적인 일을 시키는 걸 안철수 대선 후보도 알고 있었으며, 김미경 교수 지원을 직접 지시하기도 했다고 추정했다. 방송에 따르면, 전직 의원실 관계자는 “직원들이 김 교수가 사적인 일을 시키는 문제에 대해 안 후보에게 여러 번 지적하기도 했지만 개선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당시 안철수 대선 후보는 “부인이 나를 위해 보좌의 차원으로 한 건데 그것이 왜 문제냐”는 식으로 반응했다 한다. 김미경 교수가 장보는 일까지 지시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전직 의원실 관계자는 “장을 볼 목록, 쇼핑 목록 등을 김 교수가 일러주면 이를 운전기사를 통해 쇼핑한 뒤 집까지 배달해줬다”고 밝혔다. 또한 비서진이 김미경 교수의 인감증명서를 떼오기도 했으며, 김미경 교수의 지시로 명절 선물로 의원실에 온 음식물 상태를 확인해 다시 포장하기도 했다고 한다. 앞서 김미경 교수는 ‘비서진 사적 동원’ 논란이 일파만파 확산되자 공식 사과문을 발표했다. 김미경 교수는 “나의 여러 활동과 관련해 심려를 끼쳤다”면서 “고개 숙여 사과드린다. 비서진에게 업무 부담 준 점 전적으로 제 불찰이다. 더욱 엄격해지겠다”고 말했다. 지난 13일 언론에서 국민의당 쪽에 관련 공식입장을 듣고 싶다고 했을 때만 해도 국민의당과 김미경 교수 측은 “사실이 아니다”라는 주장을 펼쳤다. 하지만 이메일·문자메시지 등 직접적 증거들이 뉴스를 통해 나온 뒤 국민의당과 김미경 교수 측은 이 의혹을 인정했다. 한편 국민의당은 바른정당이 제기한 문재인 후보 아들 문준용의 고용정보원 특혜채용 관련 의혹을 국회 차원에서 확인하자고 주장했다. 앞서 바른정당 하태경 의원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선 후보의 아들이 입사시험을 치를 당시 ‘고용정보원의 공개채용 계획안’에 따르면 서류전형 시 제출해야 하는 서류들이 굉장히 많은데, 문재인 대선 후보의 채용 때는 응시원서와 자기소개서, 단 두 가지만 제출한 것과 문재인 대선 후보의 서류전형 자체가 면제된 것은 특혜채용이라고 의혹을 제기한바 있다. http://v.media.daum.net/v/20170415094339001 전국시대의 오기는 대장군이 되는데 방해가 된다꼬 제나라 출신 아내의 목을 서슴없이 베더마는, 오늘날도 선거에 방해될까봐 얼른 마누라가 내세워 사과하게 만들고 지는 조용히 숨는구나. 설마 마누라 때문에 보좌관이 23번이나 바뀌었을라꼬. 내가 김미경 교수의 행위를 심각하게 보는 이유 안철수 부인 김미경 교수가 안철수 의원실 보좌관들을 개인 비서 쓰듯 사사롭게 쓴 후 관련 사실이 드러나자 뒤늦게 "불찰"이라며 사과했다. "불찰"의 사전적 의미는 "주의 깊게 살피지 않아 생긴 잘못"이다. 불찰을 사려 얕음으로 바꿔도 큰 문제는 없을 것이다. 사려가 얕은 게 자랑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치명적 잘못도 아니다. 문제는 김미경 교수의 행위가 "불찰"이 아니라는 점이다. 김 교수의 행위는 정확히 말해 공공 자원의 사유화다. 설사 안철수가 안철수 개인의 일을 세금으로 봉급받는 의원 보좌관들에게 시켜도 잘못인데 아무 권한도 없는 안철수의 부인이 단지 안철수 부인이라는 신분만으로 보좌관들을 부린 건 김미경 교수가 얼마나 공적 마인드가 부재한지를 극명히 보여준다 하겠다. 상황이 한결 나쁜 건 김미경 교수가 공적 자원을 사유화한 큰 잘못을 저지르고도 이를 직시하지 않고 "불찰"이라는 책임회피형 표현으로 궁박한 위기를 모면하려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김 교수의 행위에 사실무근이라며 부인했던 안철수측의 침묵도 석연치 않다. 우리는 공심이라곤 없이 국가를 사유화한 후에도 자신의 잘못을 일체 부인한 사람을 잘 알고 있다. 대통령직에서 파면당한 후 감옥에 있는 박근혜가 바로 그 사람이다. 김미경 교수의 행위를 박근혜에 비교하는 건 온당치 않다. 나도 잘 안다. 하지만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도 놀란다"는 속담처럼 김미경 교수의 행위와 사과를 접한 내 심장은 놀라 뛰고 있다. http://www.huffingtonpost.kr/taekyung-lee/story_b_16022670.html?utm_hp_ref=korea 안철수 후보의 모순이라면, 저렇게 의원실 보좌관들을 부리면서 자기 아내 수발까지 들도록 시켰으면서, 입만 열면 국회의원 숫자 줄이자고, 특권을 내려놓자고 주장하고 다녔다는 점. 힘든 환경에 보좌관이 수시로 그만뒀을 테니, 23명이나 교체 됐을 만 함. 개인 사과문을 당 공보실을 통해 발표한 김미경씨, 보좌진과 국민이 아니라 자기 부인에게 미안하다고 한 안철수씨. 이들 부부에게 도덕성이 없는 건 아닙니다. 그들의 도덕성 '기준'이 평범한 사람들과 전혀 다를 뿐입니다. 박근혜처럼. 잘못을 인정하는 방식에서 박근혜-최순실 짝과 안철수-김미경 짝이 아주 흡사해 보이는 건, 이념이나 정치성향, 지적 수준이 비슷해서가 아닙니다. '도덕성'에 대한 '특권적 태도'가 비슷해서입니다. ' 특권에 익숙한 상식'은, 위험한 상식입니다. https://twitter.com/histopian?lang=k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