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이가 작년부터 집 가족구성원을 제외하면 바깥에서는 말을 못합니다.
남들의 시선도 의식을 많이 해서 행동이 느리고 부자연스럽습니다.
작년 모 상담센터를 다니다가 상담 선생님과는 말을 텄는데 그후 치료프로그램이 동네마트가서 과자 사기 이런거라서 맘에 안들어 그만두었습니다.
그후 몇달 지나 아이가 차도가 없어서 또래 수업이 가능하다는 다른 상담소에 다니고 있습니다.
4학년에 함묵증이면 많이 늦었다고 하더라구요. 부모한테도 숙제로 아이랑 같이 놀아주라는데 별 차도는 없는 것 같네요.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하고 도움을 구하고자 문의 드립니다.
곧 있으면 학교도 가야 되는데 함묵증으로 학교적응도 힘들어서 이래저래 걱정이 앞서네요.
A. 안녕하세요?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입니다.
선택적 함묵증은 소수의 여아에게서 나타나는 사례입니다.
28년 동안 수천명의 아동청소년을 상담한 저도 선택적 함묵증의 치료는 10사례 전후였으니까요.
어머니의 조급함과 불안은 아이의 문제를 더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처음 다닌 센타에서 가게가서 물건사기라는 프로그램이라서 그만두셨다고요 참 아쉬운 대목입니다.
함묵증은 가족이나 아주 친밀한 소수의 사람들하고만 대화하는 양상을 보이므로 가게에 가서 물건사기가 어떻게 보면 시시하거나 치료적으로 의미없어 보일 지라도 그렇지 않습니다.
용기를 내서 낯선 사람에게 먼저 말을 거는 연습을 하는 것이니까요.
특히 상담샘과 대화를 했었다면 치료되는 과정에 있었을 텐데 중단된 것이 안타깝습니다.
현재 다시 치료를 받고 있어서 다행이긴 하지만 간신히 마음의 문을 연 샘과 관계가 단절된 것이 아이에게는 부정적 영향일 수 있습니다. 함묵증은 단시간 내에 치료되지 않습니다.
단정할수는 없지만 최소 2년은 보아야 하며 아이의 연령이나 상태에 따라서 더 길어질 수도 있습니다.
치료기간이 오래 걸리는 만큼 엄마의 커다란 인내와 참을성이 필요합니다. 단계적으로 사회적 관계망을 넓혀가야 하며 아이의 심리정서적 안정과 불안이 먼저 치료되어야 이러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말을 하는데 집착하면 안됩니다.
대화를 하지 않으므로 사람들과 대화를 처음 틀 때 말이 나오는 자기자신에게 너무 놀라서 다시 말문을 닫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많은 두려움을 극복하고 치료적 동맹이 맺어질 때 치료됩니다. 치료과정에서 상당히 오랜기간동안 말을 하지 않더라도 한결같이 상담자와 신뢰관계를 맺는 것이 중요합니다.
글이나 그림으로 의사소통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친밀하며 대화하고 있는 형제와 함께 짝치료를 하기도 합니다.
##선택적 함묵증이란?
선택적 함묵증이란 불안장애의 일종으로 특정 상황에서 아이가 말을 할 수 없는 증상을 뜻합니다.
집에서는 편안하게 이야기를 하다가도 집 밖으로만 나가면 아이가 부끄러운 것인지 정말 함묵증인 것인지 말을 하지 못합니다.
선택적 함묵증은 아동의 0.71%에게서만 보이는 증상이기에 진단을 내기리도 어렵고 이를 치료하는 연구 또한 다른 증상이 비행 적습니다. 불안장애의 일종임에도 불구하고 불안해 보이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학교를 처음 들어가기 전까지는 아이가 선택적 함묵증인 것을 알기 어렵습니다.
부모는 아이가 집에서는 말을 잘 하기 때문에 밖에서 아이가 말을 하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을 하지 못합니다.
그저 아이가 부끄러움을 많이 탄다고만 간주를 하기 때문에 아이가 선택적 함묵증이 있어서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생각을 못합니다.
이러한 아이가 학교를 가게 되면 학교에서 화장실을 가고싶다고 말을 하지도 못하기 때문에 하루종일 화장실을 가지 않고 생활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이가 선택적 함묵증이 있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아이가 선택적 함묵증이 있는지, 그리고 부끄러움으로 인해서 하는 행동은 아닌 것인지 그렇다면 어떻게 알 수 있는 지 우선 알아봅니다.
1. 아이가 집에서 말도 잘 하고 사교적이지만 집 밖에서 모르는 사람 앞에서는 말을 거의 하지 않는 행동.
2. 말을 하기 힘든 상황에서 두려움으로 얼어버리거나 모든 소통의 창구를 닫아버리는 행동.
3. 말보다는 손동작, 얼굴 표정, 고개의 까딱거림을 사용해서 소통하는 행동. (여기에서 주의해야 할 것은 선택적 함묵증이 있는 일부 아이들은 비언어적 소통 또한 힘들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아이가 선택적 함묵증일 경우 아이를 어떻게 도와주어야 할까요?
1. 아나운서처럼 아이의 행동을 언어로 표현주세요
아이가 꽃을 그리는 행동을 하면, “네가 꽃을 그리고 있구나” 또는 “네가 지금 책에 있는 돼지를 가르키고 있구나!” 등 하는 행동을 나레이션 하듯 말해주세요.
이러한 행동은 아이에게 관심이 있다는 것을 표현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2. 5초를 기다려 주세요
어른이 아이에게 질문을 할 때 우리는 사실상 충분히 기다려주고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아이가 대답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주세요.
아이가 대답할 수 있도록 5초간의 시간을 준 이후 다시 질문하는 것은 좋은 방식입니다.
3. 설명하며 칭찬해주세요
그냥 단순하게 ‘잘했어!’ 라고 하는 것보다 “네가 주스를 먹고싶다고 말을 전달한걸 굉장히 잘 했어!” 아이들이 정확히 어떤 행동을 해서 칭찬을 받는지 알게 되면 그 행동의 빈도수가 높아질 확률이 늡니다.
4. 질문을 바꿔보세요
아이에게 질문을 할 때 ‘응’ ‘아니’ 등으로 대답할 수 있는 질문 보다는 긴 문장으로 대답할 수 있도록 유도해주세요.
예를 들어서, “오늘 오후에는 계란 비빔밥을 먹을까?” 보다는, “오늘 점심에 우리 뭘 먹으면 좋을까?” 등의 질문을 해주세요.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 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온라인 상담 하러 가기
사진출처: Pexels
작성자: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장계림
출처 및 참조
Child Mind Institute. (2016). Teachers Guide to Selective Mutism. Child Mind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