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과정 즉,원인에 따라 화성암,퇴적암,변성암의 세 종류로 분류합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첫번째로 화성암을 얘기해드릴께요.
화성암이란? -마그마나 용암이 냉각되어 굳어진 암석.
화성암엔 화강암과 현무암등이 있어요 ,
님이 그걸 원하시니 그둘을 잘 가르쳐드릴께요0_0..
화강암:축대를 쌓거나 건물의 외벽에 붙이는데 흔히 사용되는 암석으로
우리 나라에 많이 산출된다.
구성광물은 석영,장석,흑운모로 되어있으며,각섬석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다.
색깔은 장석이나 석영등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밝은색을 띤다.
구성광물의 크기는 결정의 크기가 굵고 고르다.
현무암:맷돌,돌하르방,정원석 등에 사용되는 암석으로 제주도에서 흔히 볼수있다.
마그마가 지표로 분출되면 그속에 포함되어 있던 수증기와 기체가 빠져나가면서
구멍이 생긴다.
구성광물은 장석,감람석,휘석,감섬석이 있고..
색깔은 감람석이나 휘석 등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색깔이 어둡다.
크기는 아주작은 결정으로 되어있어 돋보기로 보아도 광물알갱이가 잘 보이지 않는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두번째는 퇴적암을 가르쳐 드리겠습니다
퇴적암이란?-자갈,모래,진흙 등이 퇴적물이 바다나 호수 밑에 쌓인후 굳어져서 생긴 암석.
님이 퇴적암에선 이암,사암,역암,석회암,을 알고싶어하니 그것을 가르쳐드릴께요.
이암:일반적으로 실트와 점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불규칙한 혼합물로, 물을 함유하여 연약한 것을 진흙이라 하는데, 이것이 굳어져 생긴 암석을 가리킨다.
사암:모래가 굳어져서 생긴 암석으로 자갈이나 진흙이 약간 포함되기도 한다.
얕은바다,호수,사막에서 만들어진다.
역암:자갈 사이에 모래나 진흙이 채워져 굳어진 암석.
구성 알갱이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거리가 가까운 해안이나 얕은바다에서 만들어짐.
석회암:탄산칼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암석.
물속에 녹아있던 석회질 물질이나 산호,유공층 등의 석회질 생물의 유해가 쌓여서
만들어집니다. 시멘트의 원료로 쓰입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마지막으로 변성암에 대해서 가르쳐드릴께요~
변성암이란?-암석이 지하 깊은곳에서 높은 열과 압력을 받아 원래의 암석과는 성질이나 배열상태(조직)가 변한 암석.
님이 변성암에선 규암,대리암,편마암,화산암을 알고싶어하니 그것들을 가르쳐드릴께요~
규암: 사암이 변성되어 생성된 것으로, 사암에 비해 구성입자가 크고 치밀하다.
유리의 원료로 많이 쓰입니다.
대리암: 석회암이 변성되어 생성된 것으로, 석회암과 마찬가지로 염산과 반응하여
흰 거품을 발생한다. 건축 내장재에 많이 쓰이기도 하죠.
편마암: 셰일이나 화강암이 변성되어 생성된 것으로 압력의 직각방향으로 평행한
줄무늬가 나타납니다.
화산암: 마그마가 지표나 지표 근처에서 빠르게 냉각되어 굳어진 화성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