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벽, 트라우마가 원인?
도벽은 단순한 소유 욕구나 생계 문제 때문이 아닙니다.
가치 없거나 필요하지 않은 물건임에도, 억제할 수 없는 충동에 따라 훔치는 행동을 반복하는 병적 충동조절장애입니다.
이런 행동에는 일정한 정서적 패턴이 있습니다.
훔치기 전 극도의 긴장감, 행동 후 일시적인 해방감과 안도감을 경험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미국 고교생 3,999명을 조사한 결과, 도벽은 흡연, 음주, 약물 사용, 우울감 등 정서·충동 문제와 강하게 연관되었고,
양육 환경이 불안정하거나 트라우마로 약해진 자제력의 증상임이 밝혀졌습니다.
어린 시절 경험한 방임과 정서적 학대는 청소년기의 감정 인식과 조절 능력을 약화시킵니다.
이로 인해 긴장 → 훔치기 행동 → 해방감 및 안정감을 반복하는 패턴이 생기고,
일부 청소년은 공격성, 반항, 과잉 행동 같은 외현화 증상을 보입니다.
특히 남아에게 이런 행동이 더 뚜렷하게 나타나며, 트라우마는 우울, 불안, 자살 시도 위험을 높입니다.
도벽은 아이들이 표현하는 정서적 고통의 신호일 수 있어 조기 개입이 필요합니다.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제대로 인식하거나 통제하는 법을 배우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도벽이라는 잘못된 대처 전략이 반복되지 않도록 아이들의 트라우마 신호를 빠르게 알아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Grant & Chamberlain (2022)은 도벽 환자의 60% 이상이 어린 시절 방임, 정서적 학대, 부모와의 애착 결핍 등의 트라우마를 겪었다는 점을 강조하며,
도벽은 단순한 행동 문제가 아니라 내면의 상처와 연결된 정서적 표현일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출처: “Trauma Histories and Impulse Control Disorders: Clinical Correlates”, CNS Spectrums, 2022)
도벽, 어떻게 대하나요?
1. 도벽은 감정 표현 방법이다.
연구에서 말하듯, 도벽은 억누를 수 없는 감정 (불안, 분노, 외로움)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부모가 아이 감정을 알아차리고, 공감하며 들어주는 것이 가장 첫걸음입니다.
아이는 안전한 양육 환경, 사랑하는 부모님의 마음이 온전히 느껴질 때, 신뢰를 통해 마음을 엽니다. 아이가 긴장과 불안을 느낄 때, 말을 시작으로 ‘너의 마음을 알고 싶어’ 라고 말해주세요.
행동 교정 이전에, 마음을 먼저 알아가는 게 우선이고, 관계 회복이 우선입니다.
2. 전문가의 도움
도벽은, 충동조절장애, ADHD, 우울 및 불안 장애, PTSD, 반항성 도전장애(ODD)와 연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과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아이의 전반적인 정신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치료 방향에 도움이 됩니다.
본 센터는 아동과 청소년을 비롯한 모든 연령의 상담을 진행하는 센터로 사회성 발달을 위한 집단상담, 치료놀이 및 각종 상담방식이 다양한 치료센터입니다. 또한 전문 치료사가 배치되어 고민하고 어려워하는 부분을 정확하고 친절하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방문하시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향숙 소장님 인터뷰 및 칼럼] >> 사춘기 자녀의 외모콤플렉스 극복법
[상담후기] 학교 부적응 청소년이 소장님 개별 상담을 종결하며
[온라인 상담하러 가기]
[이향숙 소장님]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학과 박사 (아동심리치료전공)
상담 경력 25년, 대학교수 및 외래교수 경력 30년
현) KG 패스원사이버대학교, 서울사이버평생교육원 외래교수
KBS, MBC, SBS, EBS, JTBC,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청와대신문 등 아동청소년가족상담 자문
자격) 미국 Certified Theraplay Therapist (The Theraplay Institute)
심리치료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부부가족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1급 (한국상담학회)
사티어 부부가족 상담전문가 1급 (한국사티어변형체계치료학회 공인)
청소년상담 수련감독자 및 상담전문가 (한국청소년상담학회 공인)
재활심리치료사 1급 (한국재활심리학회 공인)
사티어의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 강사/ 사티어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 강사
MBTI 일반강사/ 중등2급 정교사/ Montessori 교사/ 유치원 정교사/ 사회복지사/ 보육교사 등
인터뷰) 이향숙 박사 “아이 사회성 교육의 중요성”
https://tv.naver.com/v/15458031
저서) 초등 사회성 수업 , 이향숙 외 공저. 메이트북스 (2020)
>> 언제까지 아이에게 친구들과 사이좋게 잘 지내라는 뜬구름 잡기식의 잔소리만 할 것인가? 초등학생인 우리 아이의 사회성을 길러줄 수 있는 답이 이 책에 담겨 있다. 사회성에 대해 20여 년간 상담하고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해 아이의 사회성에 대한 고민을 해결해온 이향숙 박사의 오랜경험과 노하우가 이 책 한 권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책 소개 中)
*참고문헌
Smith et al., 2014
Neuro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childhood trauma on emotion regulation.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4091823/
Jones & Lee, 2012
Trauma and juvenile kleptomania: Emotional and behavioral correlates.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671850/
*사진첨부: pixabay
*작성 및 옮긴이: 한국아동청소년심리상담센터 인턴 박소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