혹시 백신접종후 부작용으로 고생하시는분들 참고하세요.
PTH 디톡스를 백신 해독제로만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시죠?
(제가 그렇게 설명 드렸기 때문에)
그런데, 꼭 그렇지만도 않습니다.
협심증으로 여러차례
스탠트 시술을 받은 병력이 있는
환자분의 소변 중금속 검사 결과
높은 수치의 수은이 검출되었습니다.
수은 독성은 부정맥과 동맥경화와 같은
심혈관질환과 연관이 있기 때문에,
EDTA 킬레이션(또는 좌약)을 처방하고
클로렐라와 낫또 키나아제를 당분간
꾸준히 드실 것을 권해드렸습니다.
클로렐라가 수은의 체외 배출을 돕고
낫또 키나아제가 혈전을 예방합니다.
이런 경우에 사용하면 좋은 것이
<필로소피 PTH 디톡스> 입니다.
어차피 PTH 디톡스로 예방하려는 것이
코로나 백신 부작용 중에 혈전과 심근염,
뇌졸중과 같은 심혈관질환 입니다.
링크글의 설명을 참고 하세요.
https://cafe.naver.com/drjoshuacho/38281
그럼 <필로소피 디톡스 플러스>는
어떤 경우에 사용하면 좋을까?
디톡스 플러스도 PTH 디톡스처럼
클로렐라가 들어 있기 때문에
중금속 체외 배출이 가능합니다.
다른 두 가지 주성분인
'제올라이트'와 '활성탄' 역시,
클로렐라처럼 중금속에 흡착 합니다.
그 밖에 미세플라스틱도 배출하고,
약물 오버도스 해독에도 활용되며,
가장 중요한 것은 마이코톡신 Mycotoxins
곰팡이독소를 해독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칸디다증 치료에 주로 사용됩니다.
제올라이트 성분 속의 Clinoptilolite는
장벽 결합조직 유지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칸디다증이나 SIBO, 장누수증후군과 같은
소화기 문제가 있는 분들께 적합합니다.
디톡스 플러스의 활성탄 성분은
코코넛 껍질로 만든 활성탄입니다.
코코넛 활성탄은 다른 활성탄소에 비해
표면 면적이 넓고 micropore가 많아
미세 입자들을 해독하는데 유리합니다.
이렇게 두 가지 제품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봤는데,
두 가지 모두 혈관에서 청소를 합니다.
세포와 장기 독소들은 누군가 혈관까지는
배출을 해 주어야 하는 숙제가 있습니다.
그 누군가가 바로 간입니다.
PTH 디톡스나 디톡스 플러스를
복용하기 한 시간 전 공복에
리버소스를 복용하면 좋습니다.
리버소스는 간의 분비기능을 자극해
독소를 체외로 배출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https://cafe.naver.com/drjoshuacho/41110
리버소스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충분한 지방을 먹어 준 다음,
충분한 공복시간을 유지 한 후
디톡스들을 복용하면 좋습니다.
너무 복잡하면
"충분한 공복을 유지한 후 사용한다는 것"
한 가지만 기억하셔도 됩니다.
첫댓글 닥터조 이군요. 저도 봤습니다. 올려주셔서 감사해요~
생각보다 부작용에 시달리는 이들이 많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