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집트 상형 문자, 히에로글리프
이집트 상형 문자는 히에로글리프(hieroglyph)라 불린다. 그리스어로 '성스러운 기록(sacred carvings)'을 뜻하는 히에로글리프는 기원전 3,200년부터 394년까지 약 3,600여 년 동안 사용되었던 고대 이집트의 공식 문자이다.
2. 로제타 석과 샹폴리옹
1799년 나일 강 삼각주의 마을 라시드에서 글이 새겨진 현무암이 발견되었다. 이것이 바로 로제타 석(Rosetta Stone)으로 기원전 196년, 프톨레마이오스 5세의 즉위식을 기념하여 만들어졌으며 이집트 상형 문자와 그리스어로 같은 내용의 글이 각각 새겨져 있었다. 석판은 이집트 학 붐을 일으켰고 해석을 위해 많은 학자들이 도전했지만, 별다른 진전이 없었다. 4세기 말을 끝으로 급격히 사라져 버린 언어인데다 히에로글리프는 표의 문자(表意文字)라는 선입견이 해독을 방해했기 때문이었다.이러한 상황에서 프랑스의 샹폴리옹(J. F. Champollion)은 '히에로글리프는 표의 문자'라는 기존의 설을 버리고 표음 문자라는 전혀 새로운 가설을 세워 그리스어 프톨레마이오스와 클레오파트라에 대응되는 상형 문자를 대조·분석한 결과 상형 문자 해독에 성공하게 되었고, 이때부터 이집트 학은 눈부신 발전을 하게 된다.
로제타 석 현재 런던 대영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샹폴리옹 어학의 천재로 이집트 학의 창시자라 불린다.
알파벳으로 보는 상형 문자
알파벳으로 보는 상형 문자A | B | C | D | E |
| | | | |
F | G | H | I | J |
| | | | |
K | L | M | N | O |
| | | | |
P | Q | R | S | T |
| | | | |
U | V | W | X | Y |
| | | | |
Z | SH | CH | KH | |
| | | |
상형 문자의 숫자 표기
상형 문자의 숫자 표기일 | 오 | 십 | 오십 | 오십오 |
| | | | |
백 | 천 | 만 | 십만 | 백만 |
| | | | |
3. 고대 이집트의 수호 부적
1) 스카라베(scarab)
스카라베, 즉 쇠똥구리는 고대 이집트에서 수호 부적과 인장으로 사용되었다. 쇠똥구리를 의미하는 고대 이집트어의 케페레르(Kheperer)라는 말이 '생성·재생'을 의미하는 케페르(Kheper)와 음이 유사해 천지창조의 신 케페리(Kheperi)로 숭배되었다.
2) 호루스의 눈, 우자트(Uzat)
하늘의 신 호루스의 두 눈은 태양(오른쪽 눈, 흰색)과 달(왼쪽 눈, 검은색)이라고 여겨진다. 이 호루스의 왼쪽 눈 우자트는 완전함, 밝은 통찰력, 풍요함을 상징하며 널리 사용되었다. 호루스가 세트에게 빼앗긴 눈동자를 되찾아와 살해됐던 오시리스가 부활했다는 신화에 의해 건강과 안전의 부적으로 사용된다.
3) 앙크 (Ankh)
앙크는 고대 이집트의 상징물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으로, '생명·삶'이라는 뜻이다. 오시리스가 죽자 그의 아내 이시스가 태양신 라에게 기도해 지혜의 신 토트에게 영원한 생명과 치유를 상징하는 앙크를 받아 오시리스를 부활시킬 수 있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