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다대포
주중 내린 비로 대기가 한층 맑아진 오월 셋째 일요일이었다. 평소 출근보다 이른 시각 자주 다닌 산행은 잠시 미루고 강둑을 걸으려고 길을 나섰다. 집에서 도시락을 마련해 나서려다 찬밥이 밀려 데워 먹었더니 더운밥 도시락을 마련할 수 없어 반송시장에서 김밥을 두 줄 준비했다. 창원실내수영장 앞으로 나가 757번 좌석버스를 탔다. 창원역에서 진해 용원으로 가는 급행이었다.
시내를 빠져나간 버스는 안민터널을 지나 동진해로 향했다. stx는 조선 산업 불황으로 활기가 예전과 같지 않은 듯했다. 웅천과 웅동 일대는 신항만 개발의 영향으로 도로망이 많이 달라졌다, 근래 굴암산을 터널로 관통시켜 장유까지 새로운 국도가 뚫렸다. 항만 배후는 고층 아파트가 들어섰다. 용원 종점에 닿아 부산으로 가는 버스를 탔더니 녹산 공단과 명지지구 아파트를 지났다.
낙동강 하굿둑을 앞둔 을숙도에서 내렸다. 겨울을 시든 줄기로 보낸 갈대는 시퍼런 줄기가 솟으면서 세대교체가 이루어졌다. 시간이 더 허여되었으면 을숙도 산책로를 걸어보고 싶었지만 그냥 지나쳤다. 나는 하굿둑 인도를 따라 하단으로 건너갔다. 둑에 갇혔다가 수문을 빠져나간 낙동강 강물은 비로소 바다와 합수하는 지점이었다. 너른 강폭에는 몇 마리 백로들이 너울너울 날았다.
하단으로 건너가 샛강에 놓인 괴정교에서서 강변대로 산책로를 따라 걸었다. 강 언저리는 태공들이 낚싯대를 드리워 숭어를 낚아 올렸다. 숭어는 바닷물과 민물이 교차하는 지점에 잘 나타났다. 강변 산책로는 간간이 사람들이 오갔다. 자전거를 타고 나온 사람들이 더 많았다. 을숙도 남단에는 을숙도대교가 걸쳐져 지났다. 건너는 명지지구 아파트가 숲을 이루고 가덕도가 저만치였다.
다대포에 이르기 전 낙동강 하구는 여러 모래섬들이 떠 있었다. 을숙도 바깥 모래섬은 육화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였다. 진우도, 대마등, 장자등, 도요등, 맹금머리등이다. 모래톱에는 갈대를 비롯한 식물이 자라고 조개들의 서식지일 것이다. 인적이 닿지 않은 곳인지라 철새들의 낙원이었다. 특히 여름 철새들은 둥지를 틀어 알을 낳아 새끼를 키우기 아주 좋은 환경이리라.
하단에서 다대포에 이르는 강변대로는 최근 확장공사를 끝내고 산책로까지 새롭게 잘 정비되었다. 군데군데 쉼터도 조성되어 있었다. 모래선 건너편은 가덕도였고 그 너머는 거제도였다. 모래톱에는 풋풋한 갈대들이 자라느라 유록색을 띠었다. 다대포에서 동남쪽으로는 저 멀리 몰운대가 보였다. 몰운대 바깥에는 쌍둥이처럼 나란한 바위섬 두 개는 낚시꾼들이 즐겨 찾는 형제도였다.
강변 산책로 고니나루 쉼터에서 가져간 김밥으로 요기를 했다. 나루에서 바라보인 너른 강은 바다라고 해도 될 듯했다. 강물이 끝나는 곳에 바닷물이 마중 나왔다. 비가 그친 하늘은 공기가 무척 깨끗했다. 덥지도 춥지도 않은 날씨였다. 다대포 해수욕장이 가까워지자 물때가 알맞은 날인지 낚시꾼들이 더러 보였다. 무엇이 잘 잡히느냐고 물었더니 이맘때는 보리굴비가 낚인다고 했다.
다대포에 이르러 동선을 정해야 했다. 몰운대로 들려 솔숲을 더 걸을 것인지 여부였다. 몰운대와 화손대 산책로는 몇 차례 걸었다. 산책은 이만큼으로 끝내고 지하철을 탔다. 다대포는 1호선 지하철 종점이었다. 거기서 하단까지는 몇 구간 되지 않았다. 하단에서 용원으로 가는 버스를 탔더니 아침에 지나온 명지지구 아파트와 녹산공단을 거쳤다. 아직 점심나절 밖에 되질 않았다.
용원에 닿아 어시장으로 가 보았다. 용원어시장은 겨울 한 철은 대구 산지로 유명하다. 그 밖의 다른 계절에도 각종 어패류와 생선들이 많이 나왔다. 노점에는 이름을 알 수 없는 까만 게들도 손님을 기다렸다. 나는 이제 숨을 헐떡이다 갓 배를 드러누운 조기를 몇 마리 샀다. 아주머니는 익숙한 솜씨로 비늘을 쳐 다듬어 비닐봉지에 얼음을 채워 주었다. 757번 버스는 곧 출발했다. 18.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