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두절
유두(流頭)
정의; 음력 유월 보름날. 소두(梳頭), 수두(水頭)라고도 한다. 소두란 머리를 감는다는 의미이며, 수두란 물마리(마리는 머리의 옛말), 곧 물맞이라는 뜻인데, 이는 모두 유두날의 행사와 관련이 있다.
어원; 유두는 동류수두목욕(東流水頭沐浴)의 약자로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한다는 뜻이다. 동류수를 선택하는 까닭은 동방이 청(靑)을 상징하며, 양기가 왕성한 방향이기 때문이다. 한편 유두라는 글자가 신라 때의 이두(吏讀)식 표기라고 보는 견해도 있다.
유래; 유두는 신라 때부터 있어 온 명절로 알려져 있다. 고려 명종 때의 학자 김극기(金克己)의 문집에는 “경주 풍속에, 6월 보름에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아 불길한 것을 씻어 버린다. 그리고 계음(禊飮)을 유두연(流頭宴)이라 한다.”라는 내용이 있다. 『고려사(高麗史)』에는 유두음(流頭飮)에 대해 “명종 15년 6월 계축일(癸丑日)에 왕이 봉은사에 행차하였다. 병인일에 시어사(侍御史) 두 사람이 환관 최동수(崔東秀)와 함께 광진사에 모여서 유두음을 하였다.
당시 우리나라 풍속에는 6월 15일에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음으로써 좋지 못한 일을 제거한다고 했으며, 이로 인해 모여서 술을 마셨는데 이것을 유두음이라고 하였다.”라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 정동유(鄭東愈)는 『주영편(晝永編)』에서 우리나라 명절 중에 오직 유두만이 고유의 풍속이고, 그 밖의 것은 다 중국에서 절일이라고 일컫는 날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