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종목 | 이슈요약 |
일성건설 (013360) 1,787원 (+10.99%) | 260.48억원 규모 공급계약 체결에 급등 |
▷삼성전자 주식회사와 260.48억원(최근 매출액대비 5.63%) 규모 공급계약(평택 사무복합동 6층 남측 인테리어 공사) 체결(계약기간:2023-02-16~2023-12-31) 공시. |
한미약품 (128940) 311,500원 (+7.41%) | 3분기 실적 컨센서스 상회 전망 등에 강세 |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연결 기준 3Q23 매출액 3,636억원(+6.3% YoY, +6.1% QoQ), 영업이익 538억원(+14.8% YoY, +62.1% QoQ, OPM 14.8%)으로 컨센서스 매출액 3,743억원, 영업이익 516억을 소폭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특히, 별도 기준으로 동사는 생산 원가 절감 과 전분기에 일시적으로 증가했던 판관비 정상화로 전년 대비 20% 이상의 영업이익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 ▷또한, 임상 2a상을 종료하고 7월부터 임상 2b상 환자 등록을 시작한 Dual agonist의 마일스톤(100억원 이상으로 추정)을 4분기에 수령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힘. ▷아울러 R&D 부분에서 새롭게 주목할 부분은 비만 파이프라인이라며, 동사는 7월28일자로 Efpeglenatide의 비만 적응증 국내 임상 3상 임상시험 계획 승인을 신청했으며 4분기 임상 개시가 기대된다고 설명. 이 외에도 기존의 Triple Agonist와 구성이 다른 GLP-1/GIP/Glucacon agonist, 경구 GLP-1 agonist 등을 비만 파이프라인으로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힘. ▷투자의견 : BUY[ 유지], 목표주가 : 360,000원 -> 370,000원[상향] |
동아에스티/녹십자 | 동아에스티-녹십자, 면역질환 신약개발 공동연구 소식에 상승 |
▷동아에스티는 언론을 통해GC녹십자와 면역질환 신약개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힘. 양사는 면역질환 중 만성 염증성질환을 표적할 수 있는 새로운 약물타겟을공동으로 선정하고 신규 모달리티(Modality)로 치료제 개발 공동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언급. 계약에 따라 GC녹십자는 선정된 타깃에 작용할 수 있는 물질을 제작하고 특정 장기에 전달 가능하도록 최적화 과정을 수행하며, 동아에스티는 GC녹십자가 제작한 물질에 대해 세포 수준에서 작용기전을 확인하고 동물모델에서 유효성을 평가할 계획이라고 밝힘. 또한, 공동연구로 도출될 물질의 다음 단계의 개발 과정에서도 양사가 협력을 계속해서 이어갈 계획이며 도출될 결과의 권리는 공동으로 소유한다고 설명. ▷이와 관련, 박재홍 동아에스티 사장은 “양사가 보유한 역량과 재원을 최대한 활용해 혁신적인 면역질환 신약개발의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으며, 정재욱 GC녹십자 R&D 부문장은 "양사 협력이 환자 삶에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 수 있길 기대한다며, 미충족 의료 수요가 높은 분야를 중심으로 앞으로도다양한 형태의 협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언급. [종목]: 동아에스티, 녹십자 |
체시스 (033250) 1,423원 (+3.34%) | 자동차 부품의 모듈공급 사업 진출 기대감에 상승 |
▷전일 장 마감 후 AMS-Chasys Automotive Components Private Limited의 인수를 통하여 자동차 부품의 모듈공급 사업에 진출 목적으로 AMS-CHASYS AUTOMOTIVE INDIA PRIVATE LIMITED 주식 1,952,260 주를 32.63억원에 신규로 취득하기로 결정(취득후지분율:99.99%, 취득예정일:2023-12-05) 공시. |
신풍제약 (019170) 14,650원 (+1.45%) | 골관절염 주사요법제 SP5M002주의 임상 3상 시험변경계획승인에 소폭 상승 |
▷전일 장 마감 후 골관절염 주사요법제 SP5M002주의 임상 3상 시험변경계획승인 공시. 이번 임상시험은 경증 및 중등증의 슬 골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SP5M002주와 시노비안주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비교·평가하기 위한 다기관, 무작위배정, 이중눈가림, 활성대조, 제 3상 임상시험이며, 임상시험임. |
SK바이오사이언스 (302440) 66,700원 (+1.37%) | 3분기 흑자전환 전망 등에 소폭 상승 |
▷키움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매출액은 1,886억원(YoY +107%, QoQ +612%), 영업이익 824억원(YoY +286%, QoQ 흑전, OPM 44%)으로 시장 예상수준(매출액 991억원, 이익 112억원) 대비 대폭 상회할 것으로 전망. 특히, 노바백스와 CMO 사업 종료에 따른 정산금액 유입이 포함되면서 호실적이 전망된다며, 지난 8/9일 노바백스와의 계약 종료를 알렸고, 노바백스가 동사에 미정산 금액을 지불하고 자사 주식을 매각한다고 공시한 바 있다고 설명. ▷한편, 3분기 일회성 요인으로 인하여 올해 BEP 수준의 실적이 전망되며, ‘23년 매출액은 2,740억원(YoY -40%), 영업이익 -28억원(YoY 적전)이 예상. ‘24년부터는 스카이셀블루의 독감 백신 생산이 온기 반영되며 매출에 기여할 것으로 보이나, 기존과 같은 대규모 CDMO 생산 부재로 ‘24년 실적 턴어라운드가 쉽지 않겠다고 분석. ▷다만, 지속 적자가 예상되는 만큼, 목표주가 산정에 영업가치를 제외하면서 동사에 대한 목표주가를 하향 조정. ▷투자의견 : Marketperform[유지], 목표주가 : 70,000원 -> 60,000원[하향] |
LG생활건강 (051900) 425,000원 (-2.19%) | 3분기 실적 컨센서스 하회 전망 등에 소폭 하락 |
▷삼성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3E 매출액은 1.82조원 (-3% y-y, 이하 y-y), 영업이익은 1,495억원 (-21%)으로 영업이익 기준, 시장 컨센서스를 6% 하회할 것으로 전망. 화장품 및 데일리뷰티 부문이 중국 소비자에 어필하고 있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의 대안이 되어야할 일본, 미국에서도 뚜렷한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고 있지 못한 상황이라고 설명. 2023년 말까지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두 자릿수 감소하는 추세가 이어질것으로 전망. ▷아울러 뾰족한 턴어라운드 방안이 제시되고 있지 않아 보수적 실적 전망이 불가피하며, 올해와 내년의 이익 전망을 하향조정한다고 언급. ▷투자의견 : HOLD[유지], 목표주가 : 520,000원 -> 480,000원[하향] |
CJ제일제당 (097950) 284,500원 (-2.23%) | 3분기 실적 컨센서스 하회 전망 등에 소폭 하락 |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3E 영업이익은CJ대한통운 제외 기준 2,707억원, CJ대한통운 포함 3,721억원으로 컨센서스 4,131억원을 하회할 것으로 전망. 가공식품 부진은 점차 완화되지만 해외바이오/사료 부문의 래깅 타임과 소재 부문의 원재료 부담 고려 시 본격적인 실적 회복은 4분기로 예상. |
LG이노텍 (011070) 230,000원 (-2.95%) | 3분기 실적 부진 전망 등에 소폭 하락 |
▷메리츠증권은 동사에 대해 3Q23 매출액은 4.6조(+17.6% QoQ, -14.7% YoY), 영업이익은 1,572억원(+756.2% QoQ, -64.7% YOY)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이와 관련, 고환율에도 물동량 감소에 따라 광학솔루션과 기판소재 사업부 수익성 부진이 예상된다고 밝힘. ▷아울러 생산 초기의 수율 문제, 고정비 및 원재료비 상승을 반영해 올해 영업이익 추정치를 16.9% 하향 조정하고 이에 따라 목표주가도 하향 조정한다고 언급. ▷투자의견 : BUY[유지], 목표주가: 390,000원 -> 340,000원[하향] |
LG디스플레이 (034220) 11,590원 (-6.08%) | 3분기 실적 컨센선스 하회 전망 등에 약세 |
▷한국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3분기 추정 실적은 매출액 5.3조원(+12% QoQ, -22% YoY), 영업적자 7,492억원( 적자지속 QoQ, YoY)으로 적자 규모가 예상보다 커지면서 컨센서스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 이는 회복하지 못한 OLED TV패널 수요와 아이폰 신모델향 패널 출하 차질 때문이며, 고가의 프리미엄 제품인 OLED TV는 수요 약세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 삼성전자의 OLED TV 신제품(삼성디스플레이의 QD-OLED 패널을 탑재) 출시로 LG디스플레이의 점유율이 하락했다고 설명. 아울러 아이폰용 OLED 패널 출하는 4분기부터 정상화 되나, 3분기 공급차질이 흑자전환 시점을 늦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 ▷투자의견 : 매수[유지], 목표주가 : 17,500원 -> 16,000원[ 하향] |
대유에이텍 (002880) 255원 (-14.14%) | 종속회사 위니아 부도 발생에 급락 |
▷전일 장 마감 후 종속회사 위니아 부도 발생 공시. 부도금액은 36.25억원임. ▷피보증(담보제공 포함) 법인(㈜위니아)의 회생절차 및 파산절차 관련 사실 등 발생 공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