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긋한 여름휴가를 즐기기 좋은 성주 포천계곡
참외가 노랗게 익어가는 6월이다. 이 무렵 성주에 가면 농장에서 갓 딴 참외를 판매하는데, 한 봉지만 사도 차 안이 온통 달큼한 냄새로 가득하다. 옛 골목이 아름다운 한개마을을 천천히 걷다가 시원한 포천계곡에 앉아 아삭한 참외를 한입 베어 물면, 그보다 여유롭고 느긋한 휴가가 또 있을까 싶다.
영취산에 둘러싸인 한개마을 전경
성주 한개마을은 안동 하회마을, 경주 양동마을과 더불어 주민들이 살며 옛 모습을 지켜가는 전통 마을이다. 뒤쪽으로 영취산이 포근히 감싸고, 앞으로 두 하천이 만나서 흘러가는 전형적인 배산임수 길지다. 한개는 ‘큰 개울’ ‘큰 나루’를 뜻하는 순우리말인데, 과거 마을에 큰 개울이나 나루가 있던 데서 유래한 이름이라고 한다.
응와종택(북비고택) 내부 풍경
한개마을은 성산 이씨 집성촌이다. 조선 세종 때 진주목사를 지낸 이우가 들어와 개척한 마을로, 오랜 역사만큼이나 수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사도세자의 호위 무관으로, 뒷날 정조가 되는 세손을 업고 몸싸움 끝에 입궐해 영조에게 아비를 살려달라 청할 수 있도록 도운 돈재 이석문이 한개마을 출신이다. 그는 이 사건으로 관직을 빼앗기고 낙향해 평생 은거했는데, 사도세자를 추모하는 뜻에서 여닫이문을 북쪽으로 냈다는 북비고택(응와종택, 경북민속문화재)이 바로 돈재가 머물던 곳이다.
대감댁으로 불리는 응와종택
돈재의 증손자이자 조선 유림을 대표하는 문장가 응와 이원조도 이 마을에서 나고 자랐다. 일찍이 벼슬길에 올라 병조참판을 지냈는가 하면, 1866년 병인양요가 발발하자 75세 노구에도 의병을 모집해 나라를 지키는 데 앞장섰다. 이 같은 업적 덕분에 응와종택은 대감댁으로 불린다.
이진상·이승희 부자의 숨결이 남은 한주종택
조선 후기 대학자로 꼽히는 한주 이진상과 그의 아들이자 독립운동가 대계 이승희도 한개마을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한주는 ‘심즉리설’을 내세워 당대와 현대 철학자들에게 주목받았다. 대계는 을사오적을 참수하고 조약을 파기하라는 상소를 올렸다가 대구감옥소에 투옥되고,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만국평화회의에 일제 침략을 폭로하는 서한을 보내기도 했다. 이들 부자의 숨결이 남아 있는 대산동 한주종택(경북민속문화재)은 국가보훈처에서 현충 시설로 지정했다.
우아한 곡선미를 자랑하는 교리댁 사랑채 툇보
한때 100여 채에 이르던 집은 현재 70여 채 남았다. 대부분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반에 지은 집으로, 그 원형을 잘 간직해 지역의 건축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대산동 교리댁(경북민속문화재)은 멋스러운 사랑채와 잘 가꾼 정원이 아름답다. 현재 보수공사 중이라 온전한 모습을 감상하기 어렵지만, 우아한 곡선미를 자랑하는 사랑채 툇보에서 경북 한옥의 미를 조금이나마 느껴볼 수 있다.
‘튼 ㅁ’ 자형 배치가 두드러진 도동댁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튼 ㅁ’ 자형 배치가 두드러진 대산리 하회댁과 도동댁, 대산동 월곡댁 등도 경북민속문화재로 지정돼 눈여겨볼 만하다. 후손이 거주하는 공간이다 보니 문이 닫힌 경우, 외부 관람만 가능하다. 그렇다고 아쉬워할 필요는 없다. 흙과 돌을 섞어 쌓은 정겨운 담장이 고택을 이어 골목이 호젓하다. 초여름의 싱그러운 초록빛과 알록달록 피어난 꽃이 어우러져 느긋하게 산책하기 좋다.
곳곳에 너럭바위가 있어 물놀이하기 좋은 포천계곡
한개마을에서 자동차로 20여 분 거리에 포천계곡이 있다. 가야산이 빚어낸 그림 같은 계곡으로, 반석의 짙푸른 무늬가 베[布]를 널어놓은 것 같다고 포천이란 이름이 붙었다. 7km에 이르는 물줄기를 따라 곳곳에 너럭바위와 작은 폭포가 펼쳐져, 주민들이 즐겨 찾는 피서지이자 물놀이 명소다.
이원조가 만년을 보낸 만귀정
포천계곡에 처음 간다면 상류에 자리한 성주 만귀정(경북문화재자료)을 목적지로 추천한다. 한개마을 출신 이원조가 만년에 후학을 양성하고 자연을 벗 삼아 독서하던 곳이다. 포천계곡의 아름다운 풍광을 꼽은 포천구곡 가운데 9곡에 속하는 홍개동 근처라 풍광이 빼어나다. 물빛이 맑고 크고 작은 바위 사이로 계단처럼 이어진 폭포가 한낮의 무더위를 시원스레 날린다.
성주의 옛 모습을 재현한 성주역사테마공원
한개마을에서 포천계곡으로 향하는 길에 성주역사테마공원도 들러보자. 성주의 옛 모습을 재현한 공원으로, 기록으로 남은 성주읍성을 비롯해 객사 연못에 세웠다는 쌍도정과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한 성주사고 등이 볼거리를 더한다. 특히 성주사고는 조선 전기 4대 사고 중 하나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실록각 2층에 관련 전시 공간을 마련해 방문객의 이해를 돕는다.
왕버들과 보랏빛 맥문동 꽃이 어우러진 경산리 성밖숲의 여름
성주8경의 하나로 꼽히는 경산리 성밖숲(천연기념물)도 빼놓을 수 없다. 수령 300~500년에 이르는 왕버들 50여 그루가 자라는 이 숲은 마을의 풍수지리와 역사, 문화, 신앙이 엿보이는 공간이다. 높이가 평균 12.7m에 이르는 노거수들이 그림자를 드리워 서늘한 그늘을 만든다. 최근에 왕버들 주변으로 맥문동을 심어 보랏빛 맥문동 꽃이 흐드러진 여름 풍경도 유명하다.
참외를 테마로 꾸민 성주참외체험형테마공원 내 전시 공간
성밖숲 근처에 성주 특산물 참외를 테마로 꾸민 놀이 공간이 있다. 성주군 농업기술센터가 운영하는 성주참외체험형테마공원이다. 이곳에선 참외의 역사를 비롯해 성주 지역이 전국 참외 재배 면적의 약 75%를 차지하는 최대 참외 생산지가 된 까닭을 알기 쉽게 설명한다. 예약제로 운영하는 실내놀이터와 이국적인 식물을 관찰할 수 있는 원예힐링관도 운영해 가족 여행객에게 추천할 만하다.
〈당일 여행 코스〉
한개마을→성주 경산리 성밖숲→성주 만귀정→포천계곡
〈1박 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 한개마을→성주역사테마공원→성주참외체험형테마공원→성주 경산리 성밖숲
둘째 날 / 회연서원→봉비암→성주 만귀정→포천계곡
여행 정보
○ 관련 웹 사이트 주소
- 성주문화관광
- 한개마을
○ 문의 전화
- 성주군청 관광진흥과 054)930-8371~4
- 한개마을 054)933-4227
- 성주참외체험형테마공원 054)930-8002
○ 대중교통 정보
[버스] 서울-성주, 서울남부터미널에서 하루 2회(07:50, 17:00) 운행, 약 3시간 10분 소요(종전 정류장 폐업으로 현재 임시성주버스정류장 하차).
임시성주버스정류장에서 한개·선남·문방 방면 농어촌버스 이용, 한개마을 정류장 하차.
임시성주버스정류장에서 창천·용사 방면 농어촌버스 이용, 신계리·교동 정류장 하차, 포천계곡 만귀정까지 도보 약 18분.
* 문의 : 서울남부터미널 1688-0540 시외버스통합예매시스템 성주군청 기업경제과 054)930-8351
○ 자가운전 정보
한개마을 / 제2중부고속도로→영동고속도로→중부내륙고속도로→성주 IC에서 왜관·성주 방면 좌회전→성주교차로에서 구미·왜관 방면 우회전→안포교차로에서 월항·성주일반산업단지 방면 우회전→3.5km 직진, 우회전→한개마을 방면 좌회전→한개마을
포천계곡 / 제2중부고속도로→영동고속도로→중부내륙고속도로→성주 IC에서 합천·고령 방면 우회전→수성2교차로에서 수성1리 방면 우회전→신계리·용사리 방면 좌회전→동신로 방면 좌회전→1km 직진, 우회전→만귀정 방면 좌회전→포천계곡 만귀정
○ 숙박 정보
- 가야호텔 : 수륜면 가야산식물원길, 054)931-3500
- 앤의정원 : 수륜면 덕운로, 054)932-1126
- 독용산성자연휴양림 : 금수면 사더래길, 054)930-8401
○ 식당 정보
- 촌두부집 : 촌두부·칼국수, 월항면 지산로, 054)933-7636
- 새불고기식당 : 한우불고기·한우육회, 초전면 대고로, 054)932-9955
- 산마루식당 : 오리불고기·산채비빔밥, 수륜면 성주가야산로, 054)932-5777
○ 주변 볼거리
성주 세종대왕자 태실, 가야산야생화식물원
※ 위 정보는 2022년 05월에 작성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이 기사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한국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기사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글 : 권다현 (여행작가)
사진 : 권다현 (사진작가)
수정일 : 2022.05.26
첫댓글 내 고향 성주를 자세하게
올려주셨네요
참외로 유명한 성주
옛날에 휴일이면
참외씻으라 하면
왜 그렇게 하기 싫든지 ㅎㅎ
성박숲 맥문동꽃 으로 유명해서
진사님들이 새벽부터 줄을선대요
참외축제때 고 송해선생님
전국노래자랑 성박숲 에서 몇번을 하셨어요
포천계곡에 발담그고 있으면
너무시원 해요 ㅎㅎ
좋은 곳을 고향으로 두신 연꽃사랑님!
고향에 대한 추억은 평생 잊지 못하고 살아가는게 우리들인것 같아요. ^^
성주하면 제일 먼저 떠 오르는게 아마도 참외이겠지요.
그렇게 되기까지는 수많은 사람들의 노력이 있었을거예요.
성주가 맥문동이 이렇게 유명한줄은 미처몰랐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