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천박문(順天朴門) 취금헌(醉琴軒) 박팽년(朴彭年)
박팽년(朴彭年 1417(태종 17)∼1456(세조 2). 조선 전기의 문신. 사육신의 한 사람이다.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인수(仁叟),호는 취금헌(醉琴軒).회덕(懷德) 출신.원상(元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안생(安生)이고, 아버지는 중림(仲林)이며, 어머니는 김익생(金益生)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32년(세종 14) 사마시에 합격해 생원이 되고, 1434년(세종 16) 알성 문과(謁聖文科)에 을과로 급제
1438년 삼각산 진관사(津寬寺)에서 사가독서(賜暇讀書 : 문흥을 위해 유능한 젊은 관료들에게 독서에 전념케 하던 휴가 제도)를 하였다.
1447년에 문과 중시에 을과로 다시 급제하였다.1453년(단종 1) 우승지를 거쳐 이듬해 형조참판이 되었다.
그 뒤 1455년(세조 1) 충청도관찰사를 거쳐 다음 해에 다시 형조참판이 되었다.
세종 때 신숙주(申叔舟)·최항(崔恒)·유성원(柳誠源)·이개(李塏)·하위지(河緯地) 등 당대의 유망한 젊은 학자들과 함께 집현전의 관원이 되었다. 이들은 모두 당대 이름높은 선비들이었는데, 그 가운데서도 그는 경술(經術)과 문장·필법이 뛰어나 집대성(集大成)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특히 필법에 뛰어나 남북조시대의 종유(鍾繇)와 왕희지(王羲之)에 버금간다 하였다.
1455년 수양대군이 어린 조카인 단종의 왕위를 빼앗자 울분을 참지 못해 경회루(慶會樓) 연못에 뛰어들어 자살하려 하였다. 그러나 성삼문(成三問)이 함께 후일을 도모하자고 만류해 단념했으며, 이 때부터 죽음을 각오하고 단종 복위 운동을 펴기 시작하였다.
이듬해 내직인 형조참판으로 다시 들어온 뒤 성삼문·하위지·이개·유성원·유응부(兪應孚)·김질(金礩) 등과 함께 은밀히 단종 복위 운동을 추진하였다. 그 해 6월 1일에 세조가 상왕인 단종을 모시고 명나라 사신들을 위한 만찬회를 창덕궁(昌德宮)에서 열기로 하자 이날을 거사일로 정하였다.
즉, 왕의 호위역인 운검(雲劍)으로 성승(成勝)·유응부·박쟁(朴崝)을 세워 일제히 세조와 추종자들을 처치하고 그 자리에서 단종을 복위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그 날 아침에 세조는 연회 장소가 좁다는 이유로
갑자기 운검들의 시위를 폐지하였다. 이에 유응부 등은 거사를 그대로 밀고 나가자고 했으나, 대부분은 훗날을 기약하며 거사일을 미루자고 해 뒷날
관가(觀稼 : 곡식 씨를 뿌릴 때 왕이 친히 관람하면서 위로하는 권농 의식) 때로 다시 정하였다.
이렇게 되자 함께 모의한 김질이 세조에게 밀고해 성삼문 등 다른 모의자들과 함께 체포되어 혹독한 국문을 받았다.
그는 이미 성삼문이 잡혀가 모의 사실이 드러났음을 알고 떳떳하게 시인하였다.
그러나 세조가 그의 재주를 사랑해 자신에게 귀부해 모의 사실을 숨기기만 하면 살려주겠다고 은밀히 유시하였다.
그런데도 그는 이미 죽음을 각오한지라 웃음만 지을 뿐 대답을 하지 않았다.
그는 세조를 가리켜 나으리[進賜]라 하고 상감(上監 : 왕을 높여 부르는 말)이라 부르지 않았다.
세조가 노해 “그대가 나에게 이미 ‘신’이라고 칭했는데 지금 와서 비록 그렇게 부르지 않는다고 해서 무슨 소용이 있느냐?”고 하자, 그는 “나는 상왕(上王 : 단종)의 신하이지 나으리의 신하는 아니므로 충청감사로 있을 때에 한번도 ‘신’자를 쓴 일이 없다.”고 대답하였다.
세조는 그가 충청감사 때 올린 장계를 실제로 살펴보고 과연 ‘신’자가 하나도 없자 더욱 노기를 띠어 심한 고문을 가하면서 함께 모의한 자들을 대라고 하였다.
그는 서슴없이 성삼문·하위지·유성원·이개·김문기(金文起)·성승·박쟁·유응부·권자신(權自愼)·송석동(宋石同) 윤영손(尹令孫)·이휘(李徽)와 자신의 아버지 중림이라 대답하였다.
그는 심한 고문으로 그 달 7일에 옥중에서 죽었으며, 다음 날에는 다른 모의자들도 능지처사(凌遲處死)당하였다.
그의 아버지도 능지처사되고, 동생 대년(大年)과 아들 헌(憲)·순(珣)·분(奮)이 모두 처형되어 삼대가 참화를 입었다.
이와 함께 그의 어머니·처·제수(弟嫂) 등도 대역부도(大逆不道 : 도에 어긋나는 큰 역적)의 가족이라 해 공신들의 노비로 끌려갔다.단종 복위 운동이 있을 당시 나이가 어렸던 남효온(南孝溫)은 성장한 뒤에 이 사건의 많은 피화자 중 충절과 인품이 뛰어난 성삼문·박팽년·하위지·이개·유성원·유응부 등 여섯 사람을 골라 행적을 소상히 적어 후세에 남겼다. 이것이 ≪추강집 秋江集≫의 사육신전(死六臣傳)이다.
그 뒤 사육신은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충신으로 꼽혀왔으며, 그들의 신원(伸寃 : 억울하게 입은 죄를 풀어 줌)을
위해 많은 사람들이 노력해오다가 마침내 1691년(숙종 17) 이들의 관작이 회복되게 되었다.
그 뒤 1758년(영조 34) 다시 자헌대부(資憲大夫)의 품계를 받아 이조판서에 증직되었으며, 1791년(정조 15) 단종에 대한 충신들의 어정배식록(御定配食錄)에 올랐다.
그러나 삼대가 화를 입은 멸문(滅門 : 가문이 없어짐)이어서 그에 대한 자세한 행장이나 문집(文集) 등이 오늘날 전하지 않고 있다. 다만 ≪추강집≫의 사육신전이나 다른 글에 간헐적인 기록이 남아 있을 뿐이다.
그는 집현전 학사로서 세종과 문종의 깊은 총애를 받았을 뿐 아니라,
집대성’이라는 칭호를 받았다는 기록으로 보아 경국제세(經國濟世)의 명문(名文)이 많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므로 문집이 전하지 않음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는 단종이 왕위를 잃게 되자,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는 대의를 위해 눈앞에 기약된 영화와 세조의 회유책을 감연히 거절하고 죽음과 멸문의 길을 서슴없이 걸어왔으니, 이와 같은 높은 절의는 오늘날까지 온 국민의 숭앙의 대상이 되고 있다.묘는 서울 노량진 사육신 묘역에 있다.
그의 묘에는 그저 박씨지묘(朴氏之墓)라는 글만 표석(表石)에 새겨져 있다.
그 이유에 대해 허적(許積)은 “성삼문 등 육신이 죽은 뒤에 한 의사(義士)가 그들의 시신을 거둬 이곳 강남(노량진) 기슭에 묻었으며, 무덤 앞에 돌을 세우되 감히 이름을 쓰지 못하고 그저 ‘아무개 성의 묘’라고만 새겨놓았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 묘역은 1978년 사육신공원으로 단장되었으며, 장릉(莊陵)충신단(忠臣壇)에 배향되었다.
또한 영월 창절서원(彰節書院) 등 여러 곳에 제향되었다.
그의 절의를 기려 소이열(宋時烈)이 지은 <회덕박선생유허비 懷德朴先生遺墟碑>가 있다.
시호는 충정(忠正)이다.
●저서
《취금헌 천자문》
●가족 관계증조부 : 박원상(朴元象)
할아버지 : 박안생(安生)
숙부 : 박종림(朴終林)
사촌 : 박사제(朴斯梯, 경북 경주 기장으로 귀양을 갔다.)
아버지 : 박중림(朴仲林, ? - 1456년, 호조 참판, 공조참판, 사헌부대사헌:1453년7월28일)
어머니 : 김익생의 딸
형님 : 박대년(朴大年, 성균관박사, ? - 1456년)
형수 : 윤정수(尹貞守)
동생 : 박인년(朴引年, 집현전교리(校理), ? - 1456년)
제수 : 내은비(內隱非)
동생 : 박기년(朴耆年, 집현전수찬(修撰), ? - 1456년)
제수 : 무작지(無作只)
누이 : 박씨
매부 : 봉여해(奉汝諧)
부인 : 옥금(玉今)
장남 : 박순(朴珣, ? - 1456년, 연자죄로 사형됨.)
자부 : 이씨(李氏, ? - ?)
손자 : 박일산(1457년 - ?)
장녀 : 박씨
사위 : 김자무(金自茂)
차녀 : 군부인 박씨
사위 : 영풍군, 세종의 서자, 혜빈 양씨의 셋째 아들.
삼녀 : 평성(平城)박씨 1440~1524. 슬하에 8명의 아들을 두었으나 3명만 생존하였다.
사위 : 이공린 (李公麟, 1437-1509.
외손자 : 오(李鼇.호조좌랑). 구( 李龜.예조좌랑). 원 [李黿. 재사당. 박사.호조좌랑.
●기타
왕조실록에 의하면 그의 형 박대년(朴大年)의 아내 윤씨(尹氏)는 해평(海平)의 거족이었다.
형수 윤씨는 진무부위(進武副尉) 윤연령(尹延齡)과 고성박씨(지합천군사를 지낸 박취신(朴就新)의 딸)의
딸로윤근수, 윤두수의 증대고모가 된다.또한 중종 반정을 일으킨 박원종의 조부 박기소는 그와 8촌간이었다. [출처] 순천박문(順天朴門) 취금헌(醉琴軒) 박팽년(朴彭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