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코트에서의 페러글라이딩은 절경을 보지 못한 아쉬움이 있지만 처음 시도를 했다는 것에 의의를 더 두기로 했다.
혹시 포카라에 가서 페러글라이딩을 하려는 사람이 있다면 구름이 없는 날 아침 시간에 해야 좋은 경치를 감상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 두는 것이 좋을 것이다.
포카라에 다른 볼거리도 가 볼 곳도 있지만 페와호수는 포카라 시내 바로 옆에 있어서 언제라도 들러볼 수 있는 곳이다.
포카라가 그리 넓지 않고 사람들이 갈 수 있는 곳이 한정되다가 보니 길거리에서 일행들을 만나게 된다.
포카라 호수 가는 길에 있는 만남의 광장 같은 곳는
이 담장은 네팔왕궁의 포카라 별장이었다고...
페와 호(Phewa Tal 탈은 네팔어로 호수라는 뜻)는 네팔포카라 남쪽에 위치한 호수로 면적은 약 4.4km²에 이르고 있어 네팔에서도 두 번째로 큰 호수라고 하며 해발 800m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데 네팔이 산악국가다보니 해발 800m의 포카라는 분지인 셈이다. 이 호수는 안나푸르나 등 히말라야의 설산에서 녹아내린 물이 녹아 형성된 것으로 호수 동쪽 기슭은 레이크 사이드(Lakeside) 또는 바이담(Baidam)이라고 불리는데, 호텔, 식당, 상점 등의 편의시설이 몰려 있어 관광객들이 이곳에 몰려 있게 된다.
인터넷에 있는 포카라와 호수에 비치는 설산...원래는 이런 광경을 볼 수 있어야 정상이다.
이 호수가 물결이 없고 하늘에 구름이 없으면 히말라야의 설산들의 그림자가 호수에 비친다고 한다.
바라히 사원은 호숫가에서 가까운 조그만 섬에 있어서 보트가 뱃삭을 받고 섬까지 실어다 주고 구경을 한 사람들은 다시 보트를 타고 나오는데 우리가 호수에 갔을 때는 그리 많지는 않지만 비가 와서 어떻게 할까 하다가 겨울에 오는 비는 지나가는 비라고 하여 보트를 타고
주그만 섬에 있는 바라히 사원으로 가서 구경을 하고 다시 보트를 타고 나왔다.
이 사원은 힌두교 사원(寺院)으로 "혼인(婚姻)의 사원"이라고도 불리운다고 하며 시바신의 부인 화신(化身)을 모시고 있는 이 사원에 닭이나 오리, 양(羊) 등을 공양한 후, 사원을 한 바퀴돌면 자신의 연인과 사랑을 이룰 수 있다고 믿고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네팔 왕실사람들까지 이 곳에 와서 혼인 서약을 한다고 한다.
사원은 탑모양의 방 하나로 이루어져 있는데 관광객도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기 때문에 의식을 볼 수 있다고 한다.
바라히 사원
이 사원이 만들어지게 된 데에는 걸인의 전설이 있는데 먼 옛날 시바신이 거지로 변장하여 마을을 찾아 여러 집을 돌아다니며 구걸을 하였다고 한다. 그 거지가 시바신임을 알리없는 마을 사람이 전부 거절하며 쫓아내었는데 농사를 지으며 가난하게 살던 노부부만이 그를 맞이하여 정성스럽게 대접하였다고 한다. 식사를 마친 시바신은 큰 재앙이 닥칠 테니 빨리 마을을 떠나라고 노부부에게 알려주고는 홀연히 사라졌다고 한다.
노부부는 서둘러 집을 떠나 산등성이에 올랐는데, 언덕을 반쯤 오른 후에 마을을 돌아보니 마을은 큰 호수에 잠기고 커다란 호수만이 보였다. 이에 노부부는 자신들이 대접한 거지가 시바신임을 깨닫고 호수 한 가운데에 있는 섬에 그를 받드는 사원을 세우니, 그것이 바로 바라히 사원이라고...
배를 타고 들어가는데 하늘이 흐려지더니 비가 오기 시작한다.
밖으로 나가기 위해서 섬으로 들어오는 보트를 기다리는 사람들
건너편 모습...이곳이 관광객들이 가장 많이 모이는 곳이다....구름이 없으면 설산이 보여야 한다.
보트놀이를 하는 사람들
우리를 태워준 사공총각
호수의 이런 저런 모습
날씨가 좋지 않아서 페와호수에서 설산과 설산의 그림자를 보지 못해서 아쉽다.
저녁은 포카라에서 마지막이라서 같이 저녁을 먹고 가이드가 우리들을 데리고 티베트인이 운영하는 술집에를 데리고 간다고 한다.
특별한 술을 맞보여 주겠다고 하면서 ‘뚱바’라는 술을 시켜 준다.
이 술은 피같기도 하고 조 같기도 한 ‘꼬도’ 라는 곡식을 발효시켜서 통에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서 빨대로 빨아먹는데 다 빨아 먹으면 다시 뜨거운 물을 부어서 먹는다.
안주는 염소고기 볶은 것과 ‘딴뚝’이라는 수제비 같은 것을 먹었는데 술은 독하지 않고 뜨거운 정종 맛이 난다.
막걸리와 정종의 중간인 테베트의 술인 뚱바
한 통씩 빨아 먹는다.
뚱바를 만드는 원료인 꼬도 라는 곡식...안나푸르나 등반을 하다가 보면 많이 볼 수 있다.
똥바통
딴뚝이라고 불리는 티베트 수제비
만두와 염소고기...염소고기는 말린 것을 요리해서 먹기가 어렵다.
우리가 묵었던 숙소는 4층이었는데 엘리베이트는 없는 곳이다. 그리고 전기사정도 별로 좋지 않고 이곳은 아열대지역이기 때문에 집을 지을 때 난방은 고려하지 않는다. 그래서 저녁에 잘 때는 춥다고 느껴지게 된다.
그래서 인도에서나 네팔에서나 잠은 항상 침낭에서 잤다.
오늘은 고락푸르에서부터 룸비니를 거처 포카라에 올 때 타고 왔던 봉고로 여덟 시간을 타고 카트만두로 가는 날이다.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옥상을 올라갔더니 아침 햇살에 비치는 안나푸르나와 마차후차레가 손아 잡힐 듯이 보인다.
이런 광경을 처음 보는 관광객에게는 감격스러운 장면이겠지만 이곳에 사는 사람들에게는 아무런 감동도 줄 수 없는 일상일 것이다.
숙소의 옥상에서 보이는 안나푸르나
마차후차레...안나푸르나 등반을 하면 5일 등반을 하는 동안 계속 이 산을 보면서 올라갔다가 내려온다.
버스를 타고 가는 길에 보이는 마차후차레...금빛이 가시고 눈부신 백색이다.
포카라에서 카드만두까지는 국내선 경비행기를 타면 30여분이면 오지만 버스로는 8시간 정도가 걸리는데 도로사정도 좋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도 버스를 타는 것도 좋은 것이 지나가면서 주변의 경치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포카라에서 카드만두로 가는 길은 대부분이 분지(盆地)를 끼고 가는 길이어서 강을 따라서 간다.
골짜기가 깊기 때문에 가면서 왼쪽의 히말라야의 산들은 보이지 않는다.
가는 도중에 학생들이 가방을 메고 학교에 가는데 일요일인데 학교를 간다.
그리고 이곳은 학교가 멀기 때문에 등교 시간도 늦고 하교 시간도 빠르다고 한다.
그래도 이곳은 오지는 아니기 때문에 TV에서 나오는 그렇게 어려운 길로 학교는 가지 않는 셈이다.
세티 간다키라는 강으로 카드만드 가까이 이어져 있는 강이다.
일요일인데 등교하는 학생들
길가에 있는 식당겸 휴게소
짜이를 한 잔씩 시켜 먹기로 해서 준비를 하고 있는데 둘러본 부억
운전기사가 식사를 하지 못했다고 해서 아침을 먹고 있는데 반찬을 집어서 밥과 손으로 주물주물해서 손으로 먹는다.
가는 도중에 식당이 있는 휴게소에서 쉬는데 점심식사는 아침에 운전수가 먹었던 달밧이라는 음식을 시켜 먹었는데 쟁반에 밥과 반찬을 담아 준다. 그 사람들은 인도처럼 손으로 먹지만 우리에게는 숟가락을 준다.
가는 길에는 직접 농사를 지은 오렌지를 가지고 나와서 길에서 파는 사람들도 만나고 계단식 밭에 노랗게 핀 유채꽃도 볼 수 있으며 강 건너 마을과 마을 사이 출렁다리 같은 것 하나로 왕래를 하는 마을도 볼 수 있다.
농사지은 오렌지를 파는 사람들...가이드는 오렌지가 맛있는 곳을 알고 이곳에서 사라고 권한다.
달밧 이라는 메뉴...고기가 없어서 금방 배가 고파진다.
식당 주변의 모습
마을과 마을을 이어주는 유일한 다리
카드만두 근처의 고개를 올라가기 시작하면 보이기 시작하는 히말라야의 산들
이런 고갯길을 올라오는데...우리나라 관광객이 탄 차가 굴러서 10여명 정도의 사람이 죽었던 곳이다.
포카라에서 카드만두를 가기 위해서는 해발 1,400m가 되는 고개를 넘어야 하는데 이 고개를 올라가기 시작하면 왼편에 히말라야 설산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이 고개를 넘으면 곧바로 눈앞에 카드만두가 보이는데 카드만두 검은 매연이 보이는데 상공에는 매연이 카드만두는 해발 1.300m의 분지에 있는 도시라서 매연이 제대로 날아가지 않기기도 하고 매연규제를 하지 않기 때문에 낡은 자동차나 오토바이들이 뿜어내는 매연이 인도와 다름이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