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임상심리학회 산하 개업전문가협의회 & 한국명상학회 인천∙경기서부지회 공동주최 월례회>
안내 : 명상의 임상적 적용을 촉진하기 위해 공동 주최하는 행사입니다.
참석대상 : 최근 국내외적으로 임상 적용 범위가 날로 확대되고 있는 명상 프로그램 (K-MBSR 명상치유 프로그램, MBCT)의 적용 실제를 체험실습하여, 자신의 치료역량을 높이고, 소진(burn-out)을 방지하며, 임상 장면에 활용하기를 기대하는 전문가 및 수련생.
일시 : 2023년 9월 21(목) 오전10시-12시
비대면 실시 : 등록 후 접속용 링크 전송
주제 : 명상의 임상적 적용 ; 우울증에 대한 MBCT 실습.(MBCT ; 명상 기반의 우울증 치료)
- 간략강의 후 실습위주 - (특징: 동양의 수행원리 + 서양의 체계적 방법 결합)
■실습지도의 초점 : 우선, 심리치료자 스스로 명상을 통해 고요하고 가라앉은 마음상태에 들어갈 수 있어야 된다. 소위 적적성성(寂寂醒醒) 상태로 들어감으로써 마음의 중심이 잡히고 의연한 마음이 생기며 거리두기가 용이해진다. 이 체험을 기반으로 심리치료자는 우울한 내담자를 지도하고 우울감을 줄여주는 명상상태로 이끌어갈 수 있게 된다. 고전적인 몸풀기 조신(調身)법과 호흡을 고르게 하는 조식(調息)법은 우울한 내담자를 위한 행동활성화 기법 및 호흡공간의 구축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심리치료실 내에서 우울한 내담자를 대상으로 간단한 몸풀기 및 이완요령을 지도하고 호흡을 고르는 요령을 터득하게해서 주의력을 집중시키고 조절하는 능력을 배양시킨다.
[실습1] 몸풀기 조신법 몇 가지의 실습 /[실습2] 호흡고르기 조식법 /[실습3] 탈중심화 및 거리두기 /[실습4] 호흡 및 신체감각에 기반을 두고 강렬한 감정상태를 조절하기
강의 및 실습지도 : 이봉건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명예교수/현재 경인심리건강센터장(신중동역) /(전) 임상심리학회장 /(전)한국명상학회 초대 회장 /(사)한국명상학회 R급 전문가 /임상심리전문가 /인지행동치료전문가] [‘정신치료의 궁극은 道 수행’ (이동식 한국정신치료학회 명예회장). 도 수행 중 핵심이 명상수련법]
강의 진행 방식 : 질문은 궁금한 것을 실시간으로 채팅 창에 등록 / 강의 후반부에 실시간으로 마이크를 써서 질문하고 답변듣기
신청방법 : 사전 등록할 주소 -> https://forms.gle/oZmuQnKZbVdjKDMZ8 (접속하여 입력한 후 입금)
참가비 - 사전등록: 20,000원
입금계좌 : 농협 313-12-001211 (예금주 : 이봉건)
사전 등록 기간 : 2023년 9월 20일(수) 18:00시까지
문의 및 환불신청 : clinpsy@chol.com
* 자료집 파일 – 사전등록자에게는 하루 전에 전자우편으로 발송함.
[참고: 이봉건 교수가 지도하는 힐링명상 K-MBSR 안내]
①이번 강의에서의 실습은 시간관계상 명상체험 맛보기 밖에 안 됩니다. 심화된 강의와 명상실습을 원하시는 분은 이봉건 교수가 지도하는 (비대면) 명상수련회 <수련생/전문가를 위한 온라인 정례수련회 제14차에 참가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심리학회 집단심리치료 수련시간으로 인정)> 23년 9월 9일 (토) - 10월 21일 (토) 6주간 24시간 (부분 신청 가능). 온라인 등록 주소 : https://forms.gle/GSKRFh3T8yTKc2cS6
<상세한 내용>
■ 필자의 2021년과 2022년도의 특강은 우울감의 해소와 기분안정에 도움이 되는 명상기법의 원리와 실제를 소개하였다. 금번에는 명상의 임상 적용 중 우울증에 대한 MBCT 기법의 실습 (MBCT ; 명상 기반의 우울증 치료) 에 초점을 맞춘다. 기법의 원리를 간략하게 해설한 후 각종 기법에 대해 실습지도하고 피드백을 제공한다.
①교육실습목표 : 우선, 심리치료자 스스로 명상을 통해 고요하고 가라앉은 마음상태에 들어갈 수 있어야 된다. 소위 적적성성(寂寂醒醒) 상태로 들어감으로써 마음의 중심이 잡히고 의연한 마음이 생기며 거리두기가 용이해진다. 이 체험을 기반으로 심리치료자는 우울한 내담자를 지도하고 우울감을 줄여주는 명상상태로 이끌어갈 수 있게 된다. 고전적인 몸풀기 조신(調身)법과 호흡을 고르게 하는 조식(調息)법은 우울한 내담자를 위한 행동활성화 기법 및 호흡공간의 구축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심리치료실 내에서 우울한 내담자를 대상으로 간단한 몸풀기 및 이완요령을 지도하고 호흡을 고르는 요령을 터득하게해서 주의력을 집중시키고 조절하는 능력을 배양시킨다.
[실습1] 몸풀기 조신법 몇 가지의 실습 : 이완효과를 체험하고 행동활성화 기법으로 내담자에게 적용할 가능성을 깨닫게 된다. 호흡을 아랫배 깊숙이 들어쉬면서 정신을 집중해서 몸풀기 자세를 취한 후 내쉬면서 풀어주면, 기혈순환이 촉진되고 심신이 이완되고 조절되어 몸과 마음에 좋은 효과를 가져다준다.
[실습2] 호흡고르기 조식법 : 마음을 가라앉히고 아랫배 단전자리로 숨을 들이쉬고 내쉬는 요령을 터득한다. 이렇게 아랫배로 주의를 일점(一點) 집중시키고 아랫배의 움직이는 부위를 확인한다. 이는 마음이 산란하고 방황할 때 다시 되돌아올 기준점(anchor point)가 된다. 호흡조절법은 주의력을 집중시키고 조절하는 능력을 배양시킨다.
[실습3] 탈중심화 및 거리두기 : 실습2를 통해서 고요하고 가라앉은 마음상태에 들어가는 맛을 볼 수 있게 된다. 소위 적적성성(寂寂醒醒) 상태로 들어감으로써 마음의 중심이 잡히고 의연한 마음이 생기며 심리적으로 거리두기가 용이해진다.이렇게 흥분이 가라앉고 시비판단이 가라앉은 마음상태에서 각종 감정이나 생각을 마음의 파문으로 여기고 가라앉을 때까지 물끄러미 지켜본다 (정좌명상 상태). 시간이 지나고 에너지가 줄어들면 가라앉기 마련이다.
[실습4] 호흡 및 신체감각에 기반을 두고 강렬한 감정상태를 조절하기 : 강렬한 감정이 솟구쳐서 마음이 휘둘리게 되면, 앞선 실습에서 닦아놓은 일점(一點) 호흡의 중심으로 주의를 다시 돌리고 아랫배 호흡을 몇 번 해본다. 불쾌한 기분을 알아차리게 될 때마다 이와 같이 몇분간이라도 호흡수련으로 대처하면 그 감정이 경감되고 덜 휘둘리게 됨. 특정한 신체감각이 기억에 자리를 잡게 되면, 여기로 주의를 돌려도 된다.
<참고동영상①> (BTN 방송 동영상)행복을 여는 열쇠 명상 (9회)_이봉건 교수의 힐링명상 강의 및 실습지도_첫번째_CBT 및 조신조식조심법,20-01-08(수)방영
https://youtu.be/dVhBTHNLfd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