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로는 은은한 듯 화려하고, 때로는 강렬한 듯 고고한 칠기. 갈고 칠하고 기다리고, 고르고 바르고 기다리고, 그리고 칠하고 닦고…. 사람과 자연과 시간이 함께 빚은 칠기는 건강과 스타일을 동시에 만족시켜주는 천연 식기이다. 게다가 요즘 들어 칠기가 더욱 다양하고 스타일리시해졌다. 칠기가 주방 안으로 한 발짝 더 가까이 들어온 이유다.
‘칠기’라고 하면 조개껍질로 화려하게 장식된 나전칠기를 떠올리는 이가 많지만, 칠기란 옻나무 수액을 칠한 그릇을 통칭한다. 물푸레나무, 괴목 등 나뭇결이 아름답고 재질이 단단한 나무를 그릇 모양으로 깎아 6개월 정도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건조시킨다. 그중 틀어지고 갈라진 것은 버리고 상태가 좋은 그릇만 골라 생옻을 9~10번 정도 칠하고 갈고 말리는 과정을 반복한다. 많은 이들이 옻칠한 목기로 제기나 발우만 알고 있는데, 최근의 칠기는 디자인이나 컬러가 심플하고 모던해져서 도자기나 유리 제품과 매치해도 잘 어울려 다양한 스타일로 연출할 수 있다.
1 먹빛유 1인 죽그릇은 12만 9천 원, 광주요 제품. 2 주요리나 샐러드에 어울리는 원형 큰 접시는 예맥 제품. 3 날렵한 라인과 나뭇결이 자연스러운 접시 세트는 최종관 채화칠기 제품. 4, 11 뚜껑 있는 찻잔은 서울무형문화재 제품. 5 검은색에서 붉은색까지 세련된 그러데이션을 이루는 발우 세트는 최종관 채화칠기 제품. 80만 원. 6, 9 찻잔은 최종관 채화칠기 제품. 7 검정 발우 세트는 예맥 제품. 8, 10, 12 작은 찬기는 모두 서울무형문화재 제품.
옻칠의 두 얼굴, 생칠과 정제칠 옻칠은 크게 생옻과 정제옻으로 구분된다. 생옻은 7~8년 자란 옻나무에서 채취한 ‘생칠’에서 불순물만 제거한 상태다. 정제옻은 생옻을 가공해 기능을 보강한 것으로 투명도와 광택의 정도에 따라 몇 가지 종류가 있고, 정제옻에 자연 안료를 혼합해 잘 개면 다채로운 ‘색칠’이 된다. 생옻은 처음에는 노랗다가 마르면서 약간 거무스름해진다. 생옻을 묽게 쓰면 목기의 색깔이 그대로 나오고, 생옻을 몇 번 덧칠하느냐에 따라 톤이 다른 색을 만들어낼 수 있는 것. “본래 옻칠의 기본은 생칠이야. 특이한 것은 건조되는 과정에는 반드시 70~80%의 습도가 필요하다는 거지. 습기가 없으면 절대로 마르지 않아. 옻 색깔이 제대로 피려면 몇 년 걸려. 정제옻에 안료를 넣어 개면 색깔을 낼 수 있는데, 옛날 임금님이 쓰던 것은 모두 주칠(붉은색)이었지.” 서울시무형문화재 1호 생옻칠장 신중현 씨의 설명이다.
다양한 컬러의 정제옻, 즉 ‘색칠’로 화려하게 색깔을 입히거나 그림을 그린 것이 ‘채화칠기’, 흑칠을 한 뒤에 표면을 자개로 장식한 것이 바로 ‘나전칠기’다. 전통 옻과 거의 비슷한 도료로 ‘캐슈cashew’라는 것이 있는데, 옻칠과 성분이 닮아 칠한 모습이 옻칠과 거의 같다. 하지만 전통 옻칠과는 엄연한 차이가 있다. 옻칠은 마를 때 습도가 필요하지만 캐슈는 자연 상태에서 잘 마르고 가격이 저렴하며 물·산·알칼리·약품·열 등에 강해 옻칠 대용으로 많이 이용한다. 그런데 문제는 캐슈가 옻칠로 둔갑해 판매된다는 점. 캐슈는 포르말린 냄새가 강하게 나는 데 비해 전통 옻칠에서는 역한 냄새가 나지 않으므로 꼼꼼히 살펴보고 선택해야 한다.
(왼쪽) 간결해서 돋보이는 옻칠의 멋 식탁 위가 아니더라도 거실 테이블 위에 놓아두면 멋을 더해줄 자개 장식 화병과 채화칠기 함. 붉은 옻칠 위에 자개로 장식한 호리병 모양의 화병에는 송이가 큰 꽃 한두 송이만 꽂는 것이 포인트다. 회화적인 기법으로 나무와 새를 그려 넣은 채화칠기 함에서는 섬세한 장인의 손길이 느껴진다. 보석 대신 예쁜 사탕을 몇 개 넣어 테이블 위에 올려두면 좋을 듯. 이태원 코리아나 앤틱에서 판매하는 화병은 국내 장인이 만든 가치 높은 작품은 아니지만 장식품으로 사용하기에는 손색이 없다. 동그란 채화칠기 함은 옻나무 갤러리 제품이며 20만 원.
(오른쪽) 눈과 손이 먼저 행복해지는 옻칠 반상기 물푸레나무의 자연스러운 나뭇결이 돋보이는 반상기와 물잔의 감촉은 혀끝보다 눈과 손이 먼저 알아본다. 반상기 세트는 최종관 채화칠기 제품으로 80만 원. 잔잔한 꽃무늬가 그려진 과기는 채화칠장 김환경 작품으로 서울무형문화재 전시판매장에서 14만 원에 구입할 수 있다. 뚜껑 달린 옥색, 붉은색 찻잔은 옻나무 갤러리 제품으로 개당 6만 원. 다관은 6조 다기 세트의 일부로, 나전장 정명채의 작품이며 1백만 원. 서울무형문화재 전시판매장에서 판매한다. 프랑수아즈 티포트와 장미·국화 조각 간장병은 갤러리 아리아케 제품. 줄무의 주병과 잔은 광주요 제품. 술잔과 앤티크 찻잔을 옻칠 받침과 매치해도 잘 어울린다. 빨간 옻칠 화병은 코리아나 앤틱 제품이며 2만 5천 원.
첫댓글 좋은정보네요 :) 감사드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