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배포하는 자판을 받아 가세요.
https://cafe.daum.net/3bulsik/JMKX/260
=1월 12일(일)=
빗금(/)과 줄표(―)의 위치를 서로 바꾸었습니다.
빗금(/)과 숫자 줄의 거리가 멀어,
숫자와의 조합이 불편한 것을 고려하였습니다.
=1월 11일(토)=
숫자 대신에 기호를 기본으로 만든 자판을,
본문 맨 밑에 추가하였습니다.
=1월 10일(금)=
사용자가 필요한 기호를 추가할 수 있게,
기호 3 전환을 추가하였습니다.
――――――――――――――――――――――――――――――――――――――――――――――――――――――――
※본문은 맨 아래↓에 있습니다.
자판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이전 글을 참고하세요.
https://cafe.daum.net/3bulsik/JMKX/251
https://cafe.daum.net/3bulsik/JMKX/252
https://cafe.daum.net/3bulsik/JMKX/254
https://cafe.daum.net/3bulsik/JMKX/256
https://cafe.daum.net/3bulsik/JMKX/257
――――――――――――――――――――――――――――――――――――――――――――――――――――――――
= 신세벌식 K 자판 (숫자 기본), 겹받침 포함 =
――――――――――――――――――――――――――――――――――――――――――――――――――――――――
= 신세벌식 K-2 자판 (기호 기본), 겹받침 포함 =
――――――――――――――――――――――――――――――――――――――――――――――――――――――――
= 기호 1, 기호 2 전환 (공통) =
――――――――――――――――――――――――――――――――――――――――――――――――――――――――
――――――――――――――――――――――――――――――――――――――――――――――――――――――――
= 바뀐 내용 =
1. 기호 전환
`(억음 부호)를 기능키로 활용해서 기호를 전환하는 방식에서,
초성 조합을 통해 전환하는 방식으로 변경하였습니다.
U+J (ㄷ+ㅇ) = 기호 1
I+K (ㅁ+ㄱ) = 기호 2
O+L (ㅊ+ㅈ) = 기호 3
J+; (ㅇ+ㅂ) = 기본
※자판 그림에서는 나중에 누르는 글쇠에 표기하였습니다.
2. 받침 ㅆ, ㅂ의 단독 입력
기능키 `와 조합해서 입력하는 방식에서,
받침 ㅇ과 조합해서 입력하는 방식으로 변경하였습니다.
받침 ㅇ + 숫자 2 = 받침 ㅆ
받침 ㅇ + 숫자 3 = 받침 ㅂ
3. 조합 중단 버튼
조합 중단 버튼을 추가해서,
초성 또는 모음을 연달아서 입력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초성 조합 중단 버튼(🅧) = A (받침 ㅇ)
모음 조합 중단 버튼(🆇) = 숫자 8
※모음 다음에 띄우지 않고 바로 숫자를 입력하는 경우,
숫자 줄의 2, 3, 8, 9는 모음 조합 중단이 필요합니다.
4. 겹받침 취소
숫자 9의 겹받침 기능을 잘못 누른 경우에는,
숫자 9를 한 번 더 눌러 취소할 수 있습니다.
5. 기호 추가
기호 1, 기호 2로 나누어 기호 15개를 더 추가합니다.
아래의 기호 사용 빈도를 참고하였습니다.
https://cafe.daum.net/3bulsik/6CY8/333
6. 사용자 기호 추가
기호 3은 사용자를 위해서 비워 놓았으니,
필요한 기호를 추가해서 사용하세요.
왼손 윗글쇠에만 설정해 두었고,
기호 15개를 추가하실 수 있습니다.
왼손 윗글쇠에 있는 수식 H==3 ? 0에서,
0 뒤에 x를 붙이고 해당 기호의 유니코드를 등록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의 유니코드는 U+2606으로,
수식은 H==3 ? 0x2606이 됩니다.
H==3 ? 0
→ H==3 ? 0x2606
오른손 윗글쇠의 기호를 ‘기본’이 아닌 ‘기호 1’을 기반으로 하시려면,
윗글쇠에 있는 수식 H==1을 H==1 || H==3으로 바꿔주시면 됩니다.
H==1
→ H==1 || H==3
7. 참고
'기본'에서 왼손 새끼손가락에 할당된 기호 3개는,
기호 1 또는 기호 2 전환과 중복되는 기호니,
자주 사용하시는 기호로 바꿔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 신세벌식 K-2 자판 (기호 기본) =
숫자 대신에 기호를 기본으로 설정한 신세벌식 K 자판은,
구분을 위해 ‘신세벌식 K-2’라고 칭하겠습니다.
숫자 줄에 받침과 여러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서,
숫자 입력이 완벽하게 작동하지는 않는데요.
그래서 모음을 입력한 후에는,
가급적 한 칸을 띄우고 숫자를 입력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모음 다음에 띄우지 않고 바로 숫자를 입력하는 경우,
숫자 줄의 2, 3, 8, 9는 글자의 조합을 중단하고 눌러야 합니다.
‘모음이 포함된 글자’의 조합을 중단하시려면,
숫자 8을 누르시면 됩니다.
모음 조합 중단 버튼(🆇) = 숫자 8
계산을 하거나 숫자 입력을 길게 해야 하는 경우에는,
기호 2로 전환해서 윗글쇠의 숫자로 입력하세요.
기호 1, 기호 2는 위의 자판 그림과 구성이 동일하고,
나머지 기능 역시 똑같이 작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