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월대보름이란
음력 1월15일로 가장 많은 세시풍속이 전하는 명절의 하나로 상원(上元)이라고도한다. 정월은 한 해를 처음 시작하는 달로서 그 해를 설계하고, 일년의 운세를 점 쳐보는 달입니다. 음양사상에 의하면 태양을 양(陽)이라하여 남성으로 인격화되고, 이에 반하여 달은 음(陰) 이라하여 여성으로 인격화됩니다. 옛선조들은 우리나라 9대 명절의 하나로 성대하게 치루었다.
2. 보름 음식
1) 오곡밥: 쌀, 콩, 보리, 수수, 조 ...몸이 건강하고 오장육부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보름날 다섯 가지 이상의 곡식을 섞어 잡곡밥을 지어 이웃끼리 서로 나누어 먹는다. 삼성반(三性飯)이라 하여 보름날 세집밥을 먹으면 그해 운이 좋다 고 하고,백가반(百家飯)이라하여 백집밥을 먹으면 한 해 운이 좋다고 한다. 2) 나물 : 9가지...고사리, 호박고지, 말린가지, 버섯, 박고지, 고비, 도라지, 시래기,고구마 3) 귀밝이술(耳明酒): 이명주는 보름날 청주를 마시면 정신이 맑아지고 귀가 밝아진다고 함. 4) 복쌈(복리,福裏): 보름날에는 밥을 김이나 취나물에 싸서 먹는데 이를 복쌈이라 한다. 5) 진채식(陣菜食); 보름날에 호박고지,무말랭이,박고지,가지,고사리,버섯,시래기,아주까리잎등 여름에 말려둔 나물을 삶아서 무쳐 먹는데 이를 진채식이라 한다. 오곡밥과 묵은나물을 함께 먹으면 여름에 더위를 타지 않고 건강하게 지낼 수 있다고 전한다. 6) 부럼(작절,嚼癤) : 껍질이 굳은 과실인 생률,호도,은행,잣,땅콩,강정 등을 깨무는 것을 부럼이라 한다. 이는 한 해 동안 종기나 부스럼이 나지 않고 이가 단단해 진다고 한다. 7) 약밥(藥飯): 약밥은 찹쌀을 쪄서 대추,밤,참기름,꿀,간장,잣 등을 함께 버무린 것으로 제사상에도 올린다. 신라(新羅) 때 부터 전해 내려오는 풍속으로 그래서 우리나라 풍속에 보름날에 약밥을 만들어 까마귀를 제사하는 날로 정해 제사 함으로써 그 은혜에 보답하는 것 이라고 한다.
3. 보름날 놀이
1) 쥐불놀이 : 정월 첫 쥐날(上子日)에 쥐를 쫓는 뜻으로 논밭둑에 불을 놓는 풍습. 논 밭둑을 태워 병충해 제거 2) 달맞이 : 정월 대보름날 저녁에 하던 점풍(占豊) 의례풍습으로 이날 초저녁에 동산에 올라가 달이 떠오르는 것을 보고 절을 하는 풍속이다. 짚으로 만든 집에다 불을 붙이는 달집태우기도 하며, 쥐불놀이와 불놀이도 함께 행한다. 3) 달집태우기: 보름달이 떠오르기 전에 나무로 틀을 엮고 짚을 씌운 달집을 마을 동산의 적당한 기슭에 만들어 둔다. 달이 솟아오르는 것을 처음 본 사람이 불을 당기고 달을 향해 절을 한다. 대보름의 만월을 바라보며 풍농(豊農)과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점풍(占豊)의 의미를 지녔다. 4) 더위팔기 : 아침에 일어나 더위를 팔아 한 해의 더위를 모면해보자는 속신으로 매서(賣暑)라고도 부른다. 될 수 있으면 해가 뜨기 전에 일어나서 이웃 친구를 찾아가 이름을 부르며, "내 더위 사가라" 또는 "내 더위, 내 더위, 먼디 더위" 하면 곱절로 두 사람 몫의 더위를 먹게 된다는 속신이다. 5) 부럼깨물기 ; 음력 정월 대보름날 새벽에깨물어먹는딱딱한열매류인 땅콩, 호두, 잣, 밤, 은행따위를 통틀어 이르는말. 이런 것을 깨물면한해동안부스럼이생기지않는다고한다. 6) 지신밟기 : 동네 사람들이 농악대를 조직하여 집집마다 다니며 땅을 다스리는 신에게 인사를 드리고 못된 귀신을 물리쳐 한 해 동안 좋은 일만 생기고 풍년을 기원하였다. 집 주인은 음식을 마련하여 농악대에게 대접하였다. 7) 복조리 걸어 두기: 대보름날 아침에 복조리를 사서 걸어 둔다. 이것은 복조리를 걸어두면 복이 온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8) 줄다리기 ; 짚 또는 칡으로 큰 줄을 수십 발이나 되게 길게 꼬고 줄 양 머리에는 수많은 작은 줄을 매달아 몇몇 마을을 둘로 편을 갈라 줄을 서로 잡아당겨 승부를 가린다. 9) 횃불 싸움 ; 마을의 청년들이 가족 수대로 싸리나 짚으로 횃불 막대를 만들어 농악을 울리며 산 위로 올라가서 서로 마주보고 선다. 달이 떠오를 때 달려 나가 싸우는 경기이다. 진 편은 그 해 흉년이 들고, 이긴편은 풍년이 든다고 생각했다.
. 우리의 달 (12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