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오장환 <여수(旅愁)>
◆이해와 감상
방랑의 시간에서 체험한 절망의 순간과 그때마다 솟아오르는 추억과 향수를 통해 내면을 형상화하고 있는 작품이다. 화자는 새로운 미래를 만날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고향을 떠나지만 여수(旅愁)에 잠길 때면 마음이 흔들린다. 앞날에 대한 희망이 모두 사라지고 때묻은 추억만이 곁에 있기 때문이다. 화자는 자신이 현실을 모르며 아는 것처럼 믿고 있었을 뿐이라는 점을 깨닫고, 앞으로의 길이 막막해 공허함과 괴로움을 느낀다. 그리고 그 속에서 선명하게 추억을 떠올리며 향수를 느낀다.
◆핵심 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감상적, 회상적, 회환적, 판적
주제 : 암울한 현실로 인한 절망과 이상 세계에 대한 소망
특징
․비유적 표현을 다양하게 사용함.
․방랑의 모티프를 활용하여 화자의 정서를 표출함.
․‘달팽이’라는 객관적 상관물을 내세워 화자의 소망을 노래함.
(나) 백석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 _ 백석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가난하고 쓸쓸한 화자가 연인 나타샤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노래한 시이다. 화자의 사랑은 현실에서 이루어지기 어려운 것처럼 보이는데, 화자는 비현실적인 공간인 산골로 감으로써 그의 사랑을 실현하려고 노력한다. ‘세상 같은 건 더러워서 버리는 것이다.’라는 시구를 통해 화자의 결벽성과 능동성적 의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런 성격은 ‘눈’, ‘흰 당나귀’ 등의 이국적이고 순수한 이미지들을 통해 더욱 아름답게 미화되고 있다.
◆핵심 정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환상적, 읭지적
주제 : 임에 대한 그리움과 순수한 사랑의 실현 의지(소망)
특징
․유사한 시구를 반복하고 변용하여 낭만적인 분위기를 환기함.
․음성 상징어와 토속어 등 다채로운 언어를 사용함.
․다양한 감각적 이미지를 동원하여 시적 상황을 구체적으로 형상화함.
작품 연구실 : 이국적 이미지에 담긴 시적 정조
‘나타샤, 당나귀’ 등과 같은 이국적인 이미지를 통해 사랑의 환상을 아름답게 그리고 있다. 가나한 시적 화자는 나타샤를 사랑하지만 현실에서는 그 사랑을 이루지 못하기 때문에 흰 당나귀를 타고 현실을 떠나 나타샤와 함께 깊은 산골로 가고 싶어 한다. 그러나 그것은 현실이 아닌 시적화자의 환상이자, 현실적인 한계와 절망을 넘어서기 위한 꿈이기 때문에 이 시에는 시적 화자의 고독하고 슬픈 정조가 짙게 배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