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퇴행성 관절염은 엉덩이나 무릎, 손가락, 척추관절에 발병하는 일반적인 만성질환으로 노화나 사고와 관련이 깊습니다.
-증상: 통증이 첫 번째로 나타나며 운동을 하면 심해지고 휴식 시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치료: 젖은 핫팩, 파라핀 치료, 무릎보호대 등을 착용합니다.
1. 치료 방법
1) 영양제로는 글루코사민 황산염 1,500mg, 콘드로이친 황산염 800-1,200 mg을 매일 복용합니다.
2) 캡사이신(capsaicin)의 사용: 통증이 있는 관절에 0.025 to 0.075%의 캡사이신 들어있는 연고나 크림을 하루에 3-4회 통증관절에 바릅니다.
3) 항산화제 복용: 과일이나 야채의 섭취를 늘리고 비타민 E를 하루에 400- 1,600 IU 정도 섭취합니다.
4) 운동: 통증을 감소와 관절의 기능증진을 위해 걷거나 근력강화 운동을 합니다.
2. 골 관절염에 관하여.
골관절염은 관절의 만성적인 질환으로 특히 무게가 실리는 관절의 관절면과 뼈의 손상을 유발해 통증과 관절의 기능 운동성을 떨어뜨립니다. 이러한 골관절염은 일차적으로 노화, 상해와 관련이 있고 이차적으로는 많은 조건이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원인이 불분명합니다.
3. 골관절염에 도움이 되는 영양보조식품과 허브.
★★★: 콘드로이친황산염(Chondroitin sulfate), 글루코사민황산염(Glucosamine sulfate), SAMe(S-adenosylmethionine), 비타민 B3 (niacinamide)
★★: 연골(Cartilage), Cetyl myristoleate, 콜라겐(Collagen), DMSO (topical), 녹색잎 홍합(Green-lippedmussel), 비타민 E(Vitamin E)
★: 붕소(Boron), 소의 연골(Bovine cartilage), D-phenylalanine (DPA). 생선기름(Fish oil (EPA/ DHA)), 글루코사민 염산염(Glucosamine hydrochloride), Methylsulfonylmethane (MSM)
★★★: 과학적으로 효과가 많이 입증된 제품
★★: 효과가 있기는 하나 아직까지 논란이 있는 제품
★:민간요법 등으로 사용되나 아직까지 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은 제품
4. 골관절염의 증상
골관절염의 발병은 점진적으로 일어나며 주로 힙이나 무릎, 손가락, 척추에 많이 일어나지만 다른 관절에서도 발병됩니다. 통증이 주요 증상이며 운동을 하면 증가하고 휴식 시 감소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침에 일어나면 경직이나 뻣뻣한 증상이 나타나며 움직임을 감소시킵니다. 골관절염이 진행됨에 따라 관절의 움직임이 줄고 압통과 삐걱거리는 감각이 증가합니다. 척추에 있어서 골관절염은 다리까지 통증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5. 약물치료
아스피린(Bayer, Ecotrin, Bufferin)이나 이부프로펜(Motrin, Advil), 나프록겐(Aleve), 에이스타미노펜(Tylenol) 등의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치료제(NSAIDs)는 경증인 경우, 통증감소에 도움을 줍니다. 캡사이신(Zostrix) 크림도 통증부분을 이완시키는 데 도움을 줍니다.
6. 식생활 습관의 변화 또한 도움을 줍니다.
1)고기나 가금류, 유제품, 화학식품, 설탕이나 계란, 가공식품 등은 류마티스 관절염이나 퇴행성 관절염이 있는 사람들에게 좋은 식품이 아닙니다.
2) 솔라닌(Solanine)이 들어있는 음식의 섭취금지- 가지과의 식물 예를 들어 토마토나 흰 감자, 검은 후추를 제외한 나머지 후추, 가지 등은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7.생활습관의 변화 또한 도움을 줍니다.
1) 비만은 퇴행성 관절염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2) 영양제 또한 도움을 줍니다.
(1) 글루코사민 황산염(Glucosamine sulfate):
-글루코사민 500 mg을 하루에 3번씩 나누어 먹는 것이 1500mg을 한번에 먹는 것보다 효과가 좋습니다. 글루코사민 황산염은 약이 아니라 영양제입니다.
-부작용이 없습니다.
-글루코사민 염산염(glucosamine hydrochloride)은 약간의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지고 있습니다.
(2) 콘드로이친 황산염(Chondroitin sulfate):
-관절을 구성하는 주성분. 퇴행성관절염에 의해 관절연골이 상하는 것을 감소시켜주며 관절을 회복시켜주는 작용을 합니다. .
-초기 발표에는 먹는 것이 효과가 없다고 발표되어 주사처방을 하였습니다.
-통증의 감소와 관절의 움직임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게서 X-ray 변화를 가져올 만큼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대부분의 연구는 하루에 두 번에서 세 번씩 400 mg을 복용하였습니다.
-어느 연구에서는 한번에1,200 mg를 먹는 것이 400 mg씩 3번 나누어 먹는 것보다 효과가 좋다고 보고되기도 하였습니다.
-하지만 약이 아니기 때문에 통증을 줄이기 위해서는 몇 개월이 걸립니다.
(3) 황산 아데노실 메디오닌(S-adenosyl methionine ( SAMe))- 항염증작용과 통증감소, 관절을 보호하면서 조직의 치료작용을 합니다.
-20,000의 퇴행성 관절질환를 대상으로 SAMe를 복용한 결과 71%에서 아주 좋거나 좋다는 답을 얻었습니다.
-이부프로펜이나 나프록센(ibuprofen, naproxen)과 같은 약보다 SAMe(하루에1,200 mg)복용이 통증을 줄여주고 뻣뻣함과 부종의 감소 효과가 큰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4) 항산화제- 항산화제 음식은 무릎과 같은 관절의 퇴행이 천천히 진행되게 만듭니다.
-Vitamin E 만이 실험이 되었는데 증상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험에서는 하루에 400 에서 1,600 IU가 사용되었고 몇 주후에 효과가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다른 결과에서는 6개월 간 하루에 500 IU를 복용하였지만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하였습니다.
(5) 나이아신 아미드(비타민 B3형)(niacinamide(a form of vitamin B3))
- 관절의 운동성을 증가시켜주고 근력의 향상, 퇴행성 환자의 피로를 덜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루에 4회정도 250에서 500 mg의 나이아신 아미드를 처방했을 때 증상이 감소되었습니다.
-그러나 나이아신 아미드의 메카니즘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6) 뉴질랜드산 녹색잎 홍합- 지방을 뽑아내거나(하루에 210 mg ) 동결 건조시킨 녹색잎 홍합 파우더(하루에 1,150 mg)는 관절의 통증을 줄이고 아침에 일어났을 때 뻣뻣함을 감소시킨 다는 연구가 있습니다.
-3개월간 하루에 350mg을 3번씩 복용한 경우에 실험자의 45%에서 통증과 뻣뻣함이 감소되었습니다.
-6개월간 하루에 2,100mg을 복용한 무릎 관절염으로 통증을 가지고 있는 실험군에서는 탁원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부작용으로는 위의 복통, 피부의 발진, 어떤 케이스에서는 간염 등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7) 디메틸설폭사이드(DMSO(dimethylsulfoxide))-아직까지 안정성 부분에서 논란이 많으나 희석한 DMSO를 환부에 바르면 항염증작용과 통증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DMSO는 통증이 있는 관절부위를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신경학적으로 통증이 뇌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통증이 감소되는 것처럼 느껴지는 것입니다.
-DMSO는 강도와 순수도가 다르기 때문에 사용에 주의를 해야 합니다. 그러한 이유로 의사의 반드시 관리 하에 사용해야 합니다.
(8) 케틸 마이리스토레이트(Cetyl myristoleate (CMO))- 관절을 미끄럽게 해주며 항염증 작용을 합니다.
-비스테로이스성 항염증제의 사용에 실패한 관절염환자에게 CMO (하루에 540 mg씩 한달)를 사용한 결과 63.5%에서 의미 있는 결과를 보였다.
(9) 붕소(Boron) -칼슘대사에 관여하며 붕소결핍 관절염에 효과가 있습니다.
-퇴행성 관절염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뼈에 낮은 미네랄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붕소의 결핍을 많이 보이고 있습니다.
-붕소를 하루에 6 mg씩 2개월간 복용한 환자 10명중 5명에서 증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10) 생선기름에 있는 오메가 3-항염증작용이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연구에 의하면 10ml 대구기름이 별 효과가 없었다고 보고되기도 하였습니다.
(11) 디-페닐알라닌(D-phenylalanine (DPA), 여러 가지 단백질 합성물질, L-phenylalanine (LPA))- 하루에 4회씩 250mg를 5주동안 복용한 결과 만성적인 통증을 줄여준다고 보고되었습니다.
-DPA는 엔돌핀과 비슷한 엔케팔린(enkephalins)이라는 몸에 있는 통증을 감소시켜주는 효소가 억제되는 것은 막아줍니다. 그럼으로 이러한 효소가 활성화 되면 통증이 줄어들게 됩니다.
-페닐알라닌은 식사를 하면서 먹는 것이 좋습니다.
8. 기타연구
침에 관한 몇몇의 연구도 있었습니다. 실험에서는 8주 동안 주 2회의 침치료가 위약군과 비교했을 때 무릎의 통증과 불편감을 줄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카이로프랙틱 수기(manual)치료와 물리치료 등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운동도 걷는 거리를 증가시키고 통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첫댓글 개인차가 있지만 전에 스쿼트시 관절통증으로 무브프리를 먹다가 이제 운동시작을 위해서 오늘 글루코사민과msm성분이 함유된것을 샀는데 글루코사민의 종류가 달라서 찾아보다가 퍼왔습니다.염을 붙이는 이유는 흡수율과 안정성을 위해서고 황산염의 황성분자체도 우리몸의 골격/인대/연골강화도 조금이나마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허나 중요한것은 꾸준히 섭취하는거겠죠..
그리고 고혈압이나 심혈관질환이 있으신분은 글루코사민 염산염이 대사과정에서 심혈관에 무리를 줄수 있으니 글루코사민 황산염이 낫다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