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소) 청빈한 삶의 발자취 ❤️
한경직 목사님
성철 스님
김수환 추기경님
세 분은
각기 다른 종교를
떠받치는 기둥이었다.
그분들을
한데 묶는 공통 단어는
청빈(淸貧)이다.
한국
대형 교회의 원조인
영락교회를 일으킨
한경직 목사님이 남긴
유품은 달랑 세 가지였다.
휠체어 지팡이 그리고
겨울 털모자다.
그리고 집도 통장도
남기지 않았다.
성철 스님은
기우고 기워 누더기가 된
두 벌 가사(袈娑)를
세상에 두고 떠났다.
김수한 추기경님이
세상을 다녀간
물질적인 흔적은
신부복과 묵주뿐이었다
얼마 전 추기경님의
또 다른 유품은,
기증한 각막을 이식받고 시력을 되찾은
어느 시골 양반이
용달차를 모는 사진이다.
알고 보면 세분은
모두 가난한 부자들이었다.
아니 어마어마한
유산을 물려준
엄청 재산가였다고나 할까.
한경직 목사님이 작고한 이후
개신교는 또 한 차례의
중흥기를 맞아, 신도 수가 크게 늘었다.
성철 스님 열반한 뒤에
스님의 삶이 알려지면서
불교를 바라보는
세상의 눈길이 달라졌다.
김수한 추기경님이
천주교를 이끌던 시절,
신도 수가 가파르게 증가했다.
세 분은
예수님의 말씀과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하던 분이 아니라.
그분들의 삶을
그대로 살아보고자 했던 분이었다.
그리고 온몸으로 보여 주었다.
세상을 떠난 다음
세 분의 향기는
신도의 울타리를 넘어
일반 국민들 사이로
깊고 멀리 번져나갔다.
한경직 목사님은
설교 중에 몇 번이고
신도들을 울리고 웃기는 능변과는 거리가 멀었다.
그런데도 전설적인 목회자로
존경받는 것은 그의 삶이 설교의 빈 구석을
채우고도 남기 때문이다.
한신도가
한경직 목사님이
추운 겨울 기도를 하다,
감기에 걸릴 걸 염려해서, 오리털 잠바를 선물했다.
얼마 후였다. 영락교회에서
백병원쪽으로
굽어지는 길목에서,
바로 그 잠바를 입은
시각장애인이 구걸하고 있었다.
목사님 아들도 같이
목회자의
길을 걷고 있지만
후계자라는 말은
흘러나온 적이 없다.
성철 스님은
늘 신도들의
시주(施主)를 받는 걸
화살을 맞는 것 만큼
아프고 두렵게 여기라고 가르쳤다.
쌀 씻다 쌀이 한 톨이라도
수채 구멍으로
흘러간 흔적이 보이면,
다시 주워 밥솥에 넣으라고 불호령을 내렸다.
불교계의 큰 어른인
종정(宗正)직을 오래 맡았지만
중 벼슬은 닭 벼슬만도 못하다며 항상 종정 자리를 벗어날 틈을 찾기도 했다.
김수한 추기경님이 남긴 인생덕목에
'노점상'이란 항목이 있다 '
'노점상에게 물건 살 때
값을 깎지 마라.
그냥 주면 게으름을 키우지만
부르는 값을 주면
희망을 선물한다는 것이다''.
말씀대로 추기경님은
명동의 노점상 앞에
가끔 걸음을 멈추고 묵주를 샀다.
''짐이 무거워 불편하다면
욕심이 과한 것이다.
덥석 물건부터 집지 말고
시장 안을 둘러봐라.
한 번 사버리고 나면
바로 헌 것이 되니 물릴 수 없다.
내가 가지려 하는 것부터 남에게 주어라.
준비가 부족한 사람은
어려운 세월을 보낸다.
남루한 노인이 운영하는
작고 초라한 가게를 찾아서, 물건을 고르고
고마운 마음으로
돈을 내밀어라.''
세 분은 일편단심으로 자신이 믿는
종교의 가르침을
널리 펴고 실천하면서도
다른 종교에 대해
이렇다 저렇다 말씀한 적이 없다.
한경직 목사님은
교파의 경계를 넘어서는
교회 일치운동을 하셨고,
성철 스님은
여러 종교의 경전에도
두루 관심을 보였다.
김수한 추기경님은
성철 스님의 부음을 접하고 누구보다 먼저 조전(弔電)을 보냈다.
그러니 한국 종교계야 말로
복(福)이 많은 것이다.
오늘의 문제를 풀기 위해
멀리 밖에 나가 배울 필요가 없다.
고개를 들면
스승의 얼굴이 보이고,
고개를 숙이면
그분들의 생애가 펼쳐져 있다.
세상을 비추던
세 분의 발자취를 따라가 보면,
종교가 세상을 걱정하던 시절로
돌아가는 문이 활짝 열려 있다.
무욕 청빈 솔선수범 관용의 정답이 거기에 담겨있다.
오늘도 당신은 좋은일만 있을겁니다.
- 좋은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