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하역사소설^태종•이방원:⤵
📚 태종•이방원 제177편: 마음을 비우는 임금
부왕으로서 세자를 포기하고 싶다.
세자 양녕의 상서를 받아 쥔 태종의 손이 부들부들 떨렸다. 글을 다 읽어 내려간 태종의 얼굴이 창백해졌다. 그러나 태종 이방원은 냉철했다. 격정으로 끓어오르는 분노를 억누르
며 평정심을 되찾았다. 육대언(六代言)과 변계량을 불러들였다.
“이 말은 모두 나를 욕하는 것이다. ‘아버지가 올바르게 하지 못한다’는 말인데 내가 만약 부끄러움이 있다면 어찌 이 글을 너희들에게 보이겠느냐? 모두 망령된 일을 가지고 말을 하니 내가 변명하고자 한다. 빈객은 답서를 준비하도록 하라.”
태종 이방원은 손에 들고 있던 양녕의 상서를 변계량에게 건네주었다. “이 일은 모두 망령된 것인데 어찌 답하여 줄 것이 있겠습니까? 정승대신으로 하여금 의(義)를 들어 꾸짖는 것이 가(可)합니다.” “꾸지람은 꾸지람이고 답서는 답서다. 빈객은 어서 답서를 짓도록 하라.” “어리를 양녕에게 돌려주고 싶다”
빈객 변계량으로 하여금 답서를 작성하도록 한 태종은 내관 최한을 한양에 보내어 좌의정 박은,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 유창, 찬성(贊成) 이원, 예조판서 김여지를 개성으로 속히 오라 명했다. 경덕궁에서 개성과 한양에 흩어져 있던 신하들을 한데 모아 긴급 대책회의가 열렸다.
“내가 세자의 글을 보니 온 몸이 송연(竦然)하여 가르치기가 어렵겠다. 경 등은 이미 사부(師傅)의 직임을 겸(兼)하였으니 함께 의논하여 잘 가르치도록 하라. 나는 관용을 베풀어 그 여자를 돌려주려는데 어떠하겠는가?” “어찌 어리를 돌려 줄 수가 있겠습니까? 일찍이 그 여자를 제거하여 유혹을 끊어 버리는 것만 못합니다.” 박은이 반대했다. 아예 화근을 없애 버리자는 것이다. “세자가 어리에 대하여 끔찍이 사랑하다가 질고(疾苦)를 이루었다면 염려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먼 지방에 내쳐서 비밀히 통(通)하지 못하게 하여야 할 것입니다. 지난번에 이와 같이 하였다면 반드시 이러한 일은 없었을 것 입니다.”
변계량이 계책을 내놓았다. “이 아이는 비록 마음을 고친다고 하더라도 그 언사의 기세를 본다면 정치를 하게 되는 날 사람에 대한 화복(禍福)을 예측하기가 어렵다. 관용을 베풀어 그 여자를 돌려주고 서연관(書筵官)으로 하여금 잘 가르치고 키워야 마땅할 것 같다. 이와 같이 하여도 마음을 고치지 않는다면 고례(古禮)에 의하여 이를 처리하겠다.”-<태종실록>
‘고치지 않는다면’이라는 단서가 붙어 있긴 하지만 예정된 복안이 숨어 있었다. 변계량이 작성한 답서를 내관 최한으로 하여금 한양에 있는 세자에게 전하라 명한 태종은 좌정한 신하들을 바라보며 굳은 표정으로 말했다. “청성부원군과 빈객은 남고 경들은 모두 물러가라. 긴히 할 얘기가 있다.” 모두들 물러갔다. 청성부원군(淸城府院君) 정탁과 변계량이 남았다. 이들은 하륜 이후 태종 조를 떠받치고 있는 논객이었다. “예전에 통감강목 (通鑑綱目)을 보았는데 시정(時政)의 득실(得失)을 자세히 말하지 아니한 까닭에 십팔사(十八史)를 보았으나 역시 자세하지 못하였다. 이 사서(史書) 이외의 상밀(詳密)한 역사책은 무슨 책인가?”
정탁과 변계량은 서로의 얼굴을 쳐다볼 뿐 말이 없었다. 임금의 의중을 아직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태종의 시선이 곁에 있던 주서(注書) 유관에게 머무르자 유관이 머뭇거리며 말했다.
“한서(漢書)와 당서(唐書) 그리고 사마천의 사기(史記)가 있습니다.” “그전에 진산부원군이 대학연의(大學衍義)를 강독할 때 ‘환관(宦官) 진홍지가 청니역(靑尼驛)에 이르러 봉장살(封杖殺)하였다’는 글귀에 이르러 부원군이 말하기를, ‘봉은 봉검(封劍)의 봉(封)과 같은 것으로 봉장(封杖)으로 죽이는 것입니다’고 하였다. 빈객은 세자를 가르침에 무슨 뜻으로 말하였소?”
예민한 문제였다. 임금과 신하 사이에 살얼음판이었다.
앗차 실수하면 설화(舌禍)를 불러올 심각한 상황이었다. 변계량은 머리만 조아릴 뿐 아무 말이 없었다.
“내가 진산군에게 수강한 이래로 항상 마음에 맞지 않게 여겼더니 지금 운회(韻會)를 보니 봉(封)자를 주석(註釋)하기를 ‘봉(封)은 계(界)이며, 강(彊)이다’하였으므로 이것을 보고서야 나의 의문이 풀렸소. 이것은 반드시 청니봉(靑尼封)에 이르러 장살(杖殺)하였다는 것일거요.”
태종의 기억력은 놀라웠다. 방석이 세자로 책봉되던 암울한 시절, 맹자에 심취해 있던 야인 이방원을 불쑥 찾아온 하륜이 남기고 간 책 대학연의(大學衍義). 시름을 삭이며 책장이 헤지도록 독파했다. 등극 후, 시간이 날 때면 하륜을 불러 강독했던 대학연의. 십 수 년이 흘렀건만 태종의 뇌리에서 지워지지 않았다. 대학연의는 역대 조선 왕들의 제왕학(帝王學) 교과서였다.
매사에 신중한 변계량은 침묵을 지키고 있었으나 정탁이 ‘예예(唯唯)’하고 주억거렸다. 태종의 해석이 맞다는 뜻이다. 청니봉(靑尼封)을 인용한 태종의 해석은 의미심장한 발언이다. 세상이 뒤집어지는 사건을 예비하고 있었다.
태종•이방원^다음 제178편~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