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특별시 공고 제2023-1794호
2023년 청년인생설계학교 참여자 모집 공고(3기) |
서울시에서 인생전환기 청년들의 주체적인 진로 탐색을 위해 다음과 같이 『2023년 청년인생설계학교』 3기 참여자를 모집하오니 많은 지원 바랍니다.
2023년 6월 20일
서 울 특 별 시 장
Ⅰ | 모 집 개 요 |
□ 모집인원 : 200명 (라이프 80명, 커리어 80명, 리더십 40명, 스케치 30명)
□ 공고기간 : 2023. 6. 20.(화) 09:00 ~ 7. 4.(화) 17:00
□ 신청기간 : 2023. 6. 20.(화) 10:00 ~ 7. 4.(화) 17:00
□ 신청자격 : 서울시를 생활권으로 하는 만19~39세 청년
- (서울시 생활권) 서울시가 거주지, 대학 또는 직장 소재지인 경우
- (연령) 2023년 기준 만 19~39세 (1983. 1. 1.~2004. 12. 31. 출생)
- (참여제한 기준) 서울시 청년수당 등 타 사업 중복참여 제한 없음
2019~2022년 청년인생설계학교 사업 참여자 제한 없음
□ 신청방법 : 청년몽땅정보통(https://youth.seoul.go.kr)에서 온라인 신청
□ 운영내용 : 청년의 자기 이해와 진로 설정을 위한 프로그램 제공
- [라이프‧커리어‧리더십] 2023. 7. 17.(월) ~ 8. 19.(토) 기간 내 6회 과정 프로그램
- [스케치(대학 비진학)] 2023. 7. 22.(토) ~ 9. 9.(토) 기간 내 8회 과정 프로그램
Ⅱ | 공통 운영 안내 |
□ 「2023년 청년인생설계학교」 공통 운영 개요
ㅇ 2023년 4~9월 중 총 5기수 모집, 서울시 곳곳에 위치한 청년 공간
(청년활동지원센터, 청년센터 오랑)에서 각 기수당 6회차 커리큘럼 진행
※ 스케치(대학 비진학청년 대상) 코스는 총 2기수 모집(3기, 5기 모집시) 8회차 커리큘럼 진행
ㅇ 청년 참여자 자신의 진로설정 단계와 고민 유형에 따라 코스 결정
ㅇ 참여 가능한 지역/요일/시간의 반 선택하여 신청(선정 후 신청 반 변경 불가)
「2023년 청년인생설계학교」 “정답은 네 안에 있어” | ||||
청년 유형 | 진로 첫 설정 청년 | 진로 재설정 청년 | 대학 비진학 청년 | |
일 경험 유무 | 일 경험 없음 | 일 경험 있음 | 일 경험 무관 | |
시기/소속 | 대학생 또는 무업 상태 | 대학생, 사회초년생, 직장인, 또는 퇴사 후 이직 준비생 | 시기/소속 무관 (대학교 재학․졸업 제외) | |
참여 동기 | 흥미/적성/진로/자아 탐색 | 업무/관계 적응 및 진로 고민 | 리더십 및 전문 역량의 향상 | 다양한 인생 경로 탐색 |
코스명 | 나를 찾는 시작 : 라이프 코스 | 더 나은 일과 삶 : 커리어 코스 | 넓게 성장하는 리더 : 리더십 코스 | 대학 밖의 다양한 길 : 스케치 코스 |
대상 | 아직 일 경험이 없는 취업준비생/대학생 | 2년 이하 일 경험을 가진 사회초년생/이직준비생 | 3년 이상 일 경험을 가진 중간관리자/프리랜서 등 |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청년 |
주요내용 | - 맹목적인 구직 활동 지양 - 자신의 강점/적성을 찾고 진로 및 인생 설계 기반 마련 | - 이직 등 진로를 다시 고민하며 자신을 돌아보는 기회 필요 - 업무/관계 역량 향상 지원 | - 팀원에서 중간 관리자로 나아가는 시기의 역량 개발 - 커리어 능력의 고도화, 성장 | - 자기 이해와 확신 필요 - 다양한 생애 경로의 수용과 자존감/회복탄력성 향상 |
청년공간 | - 대학생 생활인구 밀집 - 광진, 동대문, 용산 등 | - 직장 밀집지, 출퇴근 경로, 지하철 환승 구간 - 마포(합정역), 성동(왕십리역), 영등포(영등포구청역) 등 | - 한강 기준 남북 2개소 - 북서(은평), 남동(서초) | |
개설 반 | 20명*4개 반*5기수 | 20명*4개 반*5기수 | 20명*2개 반*5기수 | 15명*2개 반*2기수 |
연간 총인원 | 400명 | 400명 | 200명 | 60명 |
Ⅲ | 2023-3기 코스 안내 |
1 나를 찾는 시작 : 라이프 코스
ㅇ 운영 개요 : 삶과 일의 첫 설계를 시작한 청년을 위한 강점 발견 코스
ㅇ 운영 방법 : 코칭/상담 전문가의 소강의 + 그룹 및 1:1 대화 형태로 진행
ㅇ 지원 내용 : 갤럽 강점 진단을 활용한 흥미/강점발견과 자존감 형성 코칭
- 6회차 프로그램 세부 커리큘럼
회차 | 주제 | 내용 |
1회차 | 강점 발견 워크숍 | 갤럽 강점 진단 보고서 및 재능과 강점의 이해 |
2회차 | 강점 분석 워크숍 | 나만의 5가지 핵심 강점 분석 |
3회차 | 강점 적용 워크숍 | 강점과 목표를 내 삶에 적용하기 |
4회차 | 회복탄력성 워크숍 | 자존감과 회복탄력성 높이기 |
5회차 | 1:1 전화 코칭 | 내 삶의 해답을 찾아가는 개별 코칭 (비대면 진행) |
6회차 | 네트워킹 파티 | 관심사 커뮤니티 형성 (커뮤니티 살롱) |
ㅇ 운영 장소 및 일정
장소 | 서울 청년 센터 광진 오랑 | 서울 청년 센터 동대문 오랑 | 서울 청년 센터 양천 오랑 | 청년활동지원센터 |
광진구 능동로 245 | 동대문구 왕산로 210 | 양천구 오목로 359 | 용산구 원효로97길 15 | |
요일 | 매주 월요일 | 매주 수요일 | 매주 목요일 | 매주 목요일 |
일자 | 7/17, 24, 31, 8/7, 14 | 7/19, 26, 8/2, 9 16 | 7/20, 27, 8/3, 10, 17 | 7/20, 27, 8/3, 10, 17 |
시간 | 19:00~21:00 | 19:00~21:00 | 13:00~15:00 | 15:00~17:00 |
정원 | 20명 | 20명 | 20명 | 20명 |
2 더 나은 일과 삶 : 커리어 코스
ㅇ 운영 개요 : 나에게 맞는 일과 조화로운 삶을 찾는 청년을 위한 커리어 설계 코스
ㅇ 운영 방법 : 버크만코리아 전속 강사진의 소강의 + 그룹 대화 형태로 진행
ㅇ 지원 내용 : 버크만 진단을 활용한 개별 욕구/행동/관계 분석 및 커리어 목표 설정
- 6회차 프로그램 세부 커리큘럼
회차 | 주제 | 내용 |
1회차 | 흥미와 동기 부여 | 버크만 프리뷰 진단의 이해와 흥미 요소 |
2회차 | 평소 행동의 강점화 | 나의 사회화된 행동과 관계 강점 |
3회차 | 욕구와 스트레스 대처 | 나의 욕구 표현과 스트레스 대처 전략 |
4회차 | 조직지향점과 업무 스타일 | 개별 업무 스타일 이해와 조직지향점 |
5회차 | 1:1 전화 코칭 | 커리어 방향을 설정하는 개별 코칭 (비대면 진행) |
6회차 | 네트워킹 파티 | 관심사 커뮤니티 형성 (커뮤니티 살롱) |
ㅇ 운영 장소 및 일정
장소 | 서울 청년 센터 동대문 오랑 | 청년활동지원센터 | 서울 청년 센터 은평 오랑 | 서울 청년 센터 영등포 오랑 |
동대문구 왕산로 210 | 용산구 원효로97길 15 | 은평구 통일로67길 9 | 영등포구 당산로 83 | |
요일 | 매주 월요일 | 매주 금요일 | 매주 토요일 | 매주 토요일 |
일자 | 7/17, 24, 31, 8/7, 14 | 7/21, 28, 8/4, 11, 18 | 7/22, 29, 8/5, 12, 19 | 7/22, 29, 8/5, 12, 19 |
시간 | 19:00~21:00 | 19:00~21:00 | 11:00~13:00 | 14:00~16:00 |
정원 | 20명 | 20명 | 20명 | 20명 |
3 넓게 성장하는 리더 : 리더십 코스
ㅇ 운영 개요 : 중간관리자로서 건강한 팀을 꾸리고 싶은 청년을 위한 리더십 강화 코스
ㅇ 운영 방법 : 데일카네기코리아 전속 강사진의 소강의 + 참여자 실습 형태로 진행
ㅇ 지원 내용 : 데일 카네기 코스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스킬 및 리더십 역량 강화
- 6회차 프로그램 세부 커리큘럼
회차 | 주제 | 내용 |
1회차 | 리더십 마인드셋 | 리더로서의 태도와 역량, 비전 설정 |
2회차 | 비즈니스 성과 증진 | 팀의 성과를 이끄는 다양성과 포용성 |
3회차 | 신뢰를 형성하는 인간관계 | 신뢰를 얻는 카네기 인간관계 원칙 |
4회차 | 성과 창출의 커뮤니케이션 | 팀원과 리더 모두를 위한 효과적인 피드백 |
5회차 ~6회차 | 갈등관리와 동기부여 | 팀원의 몰입도를 높이는 동기부여 스킬 |
네트워킹 파티 | 내 삶의 변화, 리더십 사례 공유 (커뮤니티 살롱) |
ㅇ 운영 장소 및 일정
장소 | 서울 청년 센터 마포 오랑 | 서울 청년 센터 성동 오랑 |
마포구 월드컵로1길 14 | 성동구 왕십리로 350 | |
요일 | 매주 월요일 | 매주 수요일 |
일자 | 7/17, 24, 31, 8/7, 14 | 7/19, 26, 8/2, 9 16 |
시간 | 19:00~21:00 | 19:00~21:00 |
정원 | 20명 | 20명 |
4 대학 밖의 다양한 길 : 스케치 코스
ㅇ 운영 개요 : 대학 비진학을 결정하고 다양한 가능성을 찾는 청년들을 위한 자기 발견 코스
ㅇ 운영 방법 : 전문 강사 및 퍼실리테이터와 함께하는 프로젝트형 워크숍 진행
ㅇ 지원 내용 : 갤럽 강점 진단 ‧ 라이프 미트릭스 툴킷을 활용한 자기 탐색과 이를 바탕으로 한 레코드북 제작 및 팟캐스트 라이브 프로젝트
- 8회차 프로그램 세부 커리큘럼
회차 | 주제 | 내용 |
1회차 | 자기이해 워크숍 | 갤럽 강점 진단 보고서와 자기 이해 |
2회차 | 자원탐색 워크숍 | 나의 성취·실패 경험 회고를 통한 자원 발견 |
3회차 | 자기효능감 워크숍 | 그룹 코칭을 통한 자기 효능감 및 자존감 회복 |
4회차 | 사람책 팟캐스트 - 스토리텔링 | ME:TRIX 툴킷 기반 나의 인생경로 회고 |
5회차 | 사람책 팟캐스트 – 콘텐츠 발굴 | 나의 삶 속 콘텐츠 발굴 |
6회차 | 사람책 팟캐스트 – 내일 시나리오 | 내가 원하는 미래 시나리오 작성 |
7회차 | 사람책 팟캐스트 – ON AIR | 함께하는 팟캐스트 라이브 |
8회차 | 비진학 사람책 큐레이팅 & 네트워킹 | 비진학청년 사람책(멘토)과의 만남 및 고민 공유, 네트워킹 활동 |
ㅇ 운영 장소 및 일정
장소 | 서울 청년 센터 서초 오랑 | 서울 청년 센터 은평 오랑 |
서초구 신반포로 188 | 은평구 통일로67길 9 | |
요일 | 매주 토요일 | |
일자 | 7/22, 29, 8/5, 12, 19, 26, 9/2, 9 | |
시간 | 13:00~15:00 | 19:00~21:00 |
정원 | 15명 | 15명 |
□ 「2023년 청년인생설계학교」3기 프로그램 운영 일정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7/17 | 18 | 19 | 20 | 21 | 22 |
라이프(광진) 1회차 (19-21시) | - | 라이프(동대문) 1회차 (19-21시) | 라이프(양천) 1회차 (13-15시) | 커리어(용산) 1회차 (19-21시) | 커리어(은평) 1회차 (11-13시) |
커리어(영등포) 1회차 (14-16시) | |||||
커리어(동대문) 1회차 (19-21시) | |||||
리더십(성동) 1회차 (19-21시) | |||||
라이프(용산) 1회차 (15-17시) | 스케치(서초) 1회차 (13-15시) | ||||
리더십(마포) 1회차 (19-21시) | |||||
스케치(은평) 1회차 (19-21시) | |||||
24 | 25 | 26 | 27 | 28 | 29 |
라이프(광진) 2회차 (19-21시) | - | 라이프(동대문) 2회차 (19-21시) | 라이프(양천) 2회차 (13-15시) | 커리어(용산) 2회차 (19-21시) | 커리어(은평) 2회차 (11-13시) |
커리어(영등포) 2회차 (14-16시) | |||||
커리어(동대문) 2회차 (19-21시) | |||||
리더십(성동) 2회차 (19-21시) | |||||
라이프(용산) 2회차 (15-17시) | 스케치(서초) 2회차 (13-15시) | ||||
리더십(마포) 2회차 (19-21시) | |||||
스케치(은평) 2회차 (19-21시) | |||||
31 | 8/1 | 2 | 3 | 4 | 5 |
라이프(광진) 3회차 (19-21시) | - | 라이프(동대문) 3회차 (19-21시) | 라이프(양천) 3회차 (13-15시) | 커리어(용산) 3회차 (19-21시) | 커리어(은평) 3회차 (11-13시) |
커리어(영등포) 3회차 (14-16시) | |||||
커리어(동대문) 3회차 (19-21시) | |||||
리더십(성동) 3회차 (19-21시) | |||||
라이프(용산) 3회차 (15-17시) | 스케치(서초) 3회차 (13-15시) | ||||
리더십(마포) 3회차 (19-21시) | |||||
스케치(은평) 3회차 (19-21시) | |||||
7 | 8 | 9 | 10 | 11 | 12 |
라이프(광진) 4회차 (19-21시) | - | 라이프(동대문) 4회차 (19-21시) | 라이프(양천) 4회차 (13-15시) | 커리어(용산) 4회차 (19-21시) | 커리어(은평) 4회차 (11-13시) |
커리어(영등포) 4회차 (14-16시) | |||||
커리어(동대문) 4회차 (19-21시) | |||||
리더십(성동) 4회차 (19-21시) | |||||
라이프(용산) 4회차 (15-17시) | 스케치(서초) 4회차 (13-15시) | ||||
리더십(마포) 4회차 (19-21시) | |||||
스케치(은평) 4회차 (19-21시) | |||||
14 | 15 | 16 | 17 | 18 | 19 |
라이프(광진) 6회차 (19-21시) | 광복절 | 라이프(동대문) 6회차 (19-21시) | 라이프(양천) 6회차 (13-15시) | 커리어(용산) 6회차 (19-21시) | 커리어(은평) 6회차 (11-13시) |
커리어(영등포) 6회차 (14-16시) | |||||
커리어(동대문) 6회차 (19-21시) | |||||
리더십(성동) 5~6회차 (19-22시) | |||||
라이프(용산) 6회차 (15-17시) | 스케치(서초) 5회차 (13-15시) | ||||
리더십(마포) 5~6회차 (19-22시) | |||||
스케치(은평) 5회차 (19-21시) | |||||
21 | 22 | 23 | 24 | 25 | 26 |
- | 스케치(서초) 6회차 (13-15시) | ||||
스케치(은평) 6회차 (19-21시) | |||||
28 | 29 | 30 | 31 | 9/1 | 2 |
- | 스케치(서초) 7회차 (13-15시) | ||||
스케치(은평) 7회차 (19-21시) | |||||
4 | 5 | 6 | 7 | 8 | 9 |
- | 스케치(서초) 8회차 (13-15시) | ||||
스케치(은평) 8회차 (19-21시) |
※ 라이프 코스 & 커리어 코스의 5회차(1:1 코칭)는 비대면으로 진행함
Ⅳ | 신 청 방 법 |
< 신청 방법 개요 > | ||
▪ 신청기간 : 2023. 6. 20.(화) 10:00 ~ 7. 4.(화) 17:00 ▪ 신청방법 : 청년몽땅정보통(https://youth.seoul.go.kr)에서 온라인 신청 ▪ 라이프 ‧ 커리어 ‧ 리더십 코스 - ❶의 신청자격 및 모집구분(일반선정, 우선선정) 확인하여 본인이 원하는 코스 및 반에 본인이 해당하는 모집구분으로 신청 ▪ 스케치(대학 비진학청년) 코스 - ❷의 신청자격 확인하고 본인이 원하는 반에 신청(모집구분 없음) |
1 | 라이프 ‧ 커리어 ‧ 리더십 코스 |
□ 신청자격 및 모집구분
ㅇ 신청자격 : 서울시를 생활권으로 하는 만 19~39세 청년
- (서울시 생활권) 서울시가 거주지, 대학 또는 직장 소재지인 경우
- (연령) 2023년 기준 만 19~39세 (1983. 1. 1.~2004. 12. 31. 출생)
- (참여제한 기준) 서울시 청년수당 등 타 사업 중복참여 제한 없음
2019~2022년 청년인생설계학교 사업 참여자 제한 없음
※ ‘2023년’ 청년인생설계학교는 모든 코스와 반을 통틀어 연간 1회만 참여 가능
ㅇ 모집구분
- 일반선정(50%) : 제출서류 없음
- 우선선정(50%) : 아래 13가지 요건 중 1개 해당자로서 증빙자료 제출자
※ 각 부문별 우선순위 없음, 중복 가점 없음 | |||
1 |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 1인 가구는 기준 중위소득 120%까지 가능 | 7 | 가족 돌봄 청년 |
8 | 자립 준비 청년(보호 종료 아동) | ||
2 |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 : 본인 또는 자녀 | 9 | 서울시정 기여자 : 자원봉사 우수자, 시정공로 수상자, 서울런 멘토단 |
3 | 차상위계층 : 본인 또는 자녀 | ||
4 | 한부모가족 | 10 | 3자녀 이상의 가정 |
5 | |||
다문화가정 | 11 | 북한이탈주민 | |
6 | 장애인복지법에 따른 등록장애인 : 본인 또는 가족 | 12 | 청년부상제대군인 |
13 | 국가보훈 관계법령에 따른 국가보훈대상자 |
□ 우선선정 신청자 제출 서류 : 2023. 4. 6.(2023년 1기 모집 공고일)
이후 발급한 서류로 제출하세요.
ㅇ 증빙서류 : 신청 마감 시간까지 미보완 시 일반선정으로 자동 전환
※ 우선선정 신청자격은 증빙서류 발급 가능 여부에 따라 본인 스스로 판단하여 선택함
연번 | 대상 | 증빙자료 (발급처: 동 주민센터, 정부24 등) | |||
1 |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 본 공고문 16~17쪽, ‘붙임1’의 가구 구성 기준 확인 본인이 해당하는 항목의 증빙자료와 소득기준표 확인 | |||
2 | 국민기초생활수급권자 | 본인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주민센터, 정부24) | ||
자녀 | 부모의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증명서 본인의 가족관계증명서(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 ||||
3 | 차상위 계층 | 차상위 자활근로 참가자 | 차상위자활책정통지서(주민센터, 정부24) | ||
차상위 본인부담 경감대상자 | 차상위본인부담경감대상자 증명서(국민건강보험공단) | ||||
차상위 장애인수당 수급자 | 차상위장애인증명서(주민센터, 정부24) | ||||
차상위계층 확인서 | 차상위계층 확인서(주민센터, 정부24) | ||||
자녀 | 상기 4개 서류 중 해당 항목 하나 + 본인의 가족관계증명서(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 ||||
4 | 한부모가족 | 한부모가족증명서(주민센터, 정부24) | |||
5 | 다문화가정 | 주민등록 등재시 | 주민등록등본(주민센터, 정부24) ※ 부모가 ‘결혼이민자’ 또는 ‘귀화자’ | ||
주민등록 미등재시 | 가족관계증명서 + 부모의 외국인등록증 사본 또는 여권 사본 | ||||
6 | 등록장애인 | 본인 | 장애인증명서(주민센터, 정부24) 또는 장애인등록증 사본 | ||
가족 | 가족의 장애인증명서 또는 장애인등록증 사본 본인의 가족관계증명서(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 ||||
7 | 가족 돌봄 청년 | 중앙정부 ․ 지자체 ․ 공공 ․ 민간단체의 가족돌봄청년 대상 사업 참여확인서 또는 가족돌봄청년 유형 우선선정 신청서 서식과 관련 증빙서류 ※ 본 공고문 18~20쪽 ‘붙임2’의 ‘서식1’ 또는 ‘서식2와 증빙서류’ 제출 | |||
8 | 자립 준비 청년 (보호 종료 아동) | 보호종료확인서(퇴소사실증명서, 종료사실증명서)(보호시설) 보호종료아동 자립수당 수급자 확인서(주민센터) 中 택 1 ※ 시설 퇴소 확인일 또는 자립수당 지급 결정일의 서류로 제출 가능 | |||
9 | 서울시정 기여자 | 자원봉사 우수자 (100시간 이상) | 1365자원봉사포털 및 사회복지자원봉사인증관리(VMS) 인증의 정부관리시스템 봉사실적 확인서 (2020. 1. 1. 이후 봉사 실적만 인정) | ||
시정공로 수상자 | 본인이 수상한 서울시장표창(시정공로 ․ 기여 관련) 또는 서울시 시민상(어린이 및 청소년상) 사본 | ||||
서울런 멘토단 | 서울런 멘토단 활동인증서 | ||||
10 | 3자녀 이상의 가정 | 3자녀 확인 가능한 주민등록등본(주민센터, 정부24) ※ 등본으로 3자녀 확인 가능할 경우 등본만 제출 가능하며 가족관계증명서 제출 시 자녀가 본인포함 3명 이상 기재되어 있어야 함 (자녀 미성년 여부 무관) | |||
11 | 북한이탈주민 | 북한이탈주민등록확인서(주민센터, 정부24) | |||
12 | 청년부상제대군인 | 군의관발병경위서, 의사진단서 등 증빙 자료 | |||
13 | 국가보훈대상자 | 국가보훈대상자 확인원(다음 페이지 별도 표 참고) |
□ 국가보훈 관계법령에 따른 국가보훈대상자 증빙자료
연번 | 대 상 | 증빙자료 (발급처 : 보훈기관) |
1 | 국가유공자 유가족 | 국가유공자(유족 또는 가족) 확인서 |
2 | 독립유공자 유가족 | 독립유공자(유족 또는 가족) 확인서 |
3 | 보훈보상대상자 유가족 | 보훈보상대상자(유족 또는 가족) 확인서 |
4 | 국가유공자에 준하는 군경 유가족 | 국가유공자에 준하는 군경 등(유족 또는 가족) 확인서 |
5 | 5.18민주유공자 유가족 | 5.18민주유공자(유족 또는 가족) 확인서 |
6 | 특수임무유공자 유가족 | 특수임무유공자(유족 또는 가족) 확인서 |
7 | 본인만 해당하는 보훈대상 | 참전유공자(국가유공자) 확인서, 고엽제후유(의)증환자 등 확인서 |
□ 서류 발급 공통 안내
ㅇ 2023년 1기 모집 공고일(2023. 4. 6.) 이후 발급한 서류로 제출
ㅇ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증빙 시, 제출한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상 가장 최근 월의, 장기요양보험료를 제외한 건강보험료 고지금액을 기준으로 함
ㅇ 모든 서류 발급 시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는 ‘미포함’으로 체크 또는 수정 테이프, 수정액 등으로 가려서 제출
ㅇ 주민등록등본 발급 시 ‘발생일/신고일’, ‘교부대상자 외 세대주, 세대원, 외국인 등의 이름’, ‘세대원과 세대주와의 관계’는 ‘포함’으로 체크
ㅇ 가족관계증명서 발급 시 ‘일반증명서’, ‘주민번호 전부 비공개’로 체크
ㅇ 증빙자료 발급처는 동주민센터, 정부24(www.gov.kr), 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efamily.scourt.go.kr), 국민건강보험공단(www.nhis.or.kr) 사회복지자원봉사인증관리(www.vms.or.kr) 등이며 개별 서류 발급처는 10쪽 표에서 확인
ㅇ 출력 서류는 스캔하여 업로드
2 | 스케치 코스 (※대학 비진학청년만 신청 가능합니다.) |
□ 신청자격 : 서울시를 생활권으로 하는 만 19~29세 대학 비진학청년
ㅇ (서울시 생활권) 서울시가 거주지 또는 직장 소재지인 경우
ㅇ (연령) 2023년 기준 만 19~29세 (1993. 1. 1.~2004. 12. 31. 출생)
ㅇ (대학 비진학청년) 자발 ‧ 비자발적으로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청년
※ 스케치 코스는 2~4년제 대학 재학·휴학·졸업 청년은 참여하실 수 없습니다. 해당 청년은 본인의 고민 유형에 맞는 다른 코스(라이프 ․ 커리어 ․ 리더십)로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스케치 코스 참여 제한 기준(서울시 생활권 ․ 연령 기준 외)> | |||
참여 가능 | 참여 불가 | ||
1 | 2~4년제 대학(교) 자퇴·제적 청년 | 1 | 2~4년제 대학(교․원) 재학·휴학·졸업 청년 |
2 | 원격대학(방송통신대·사이버대) 및 평생교육기관(평생교육원·직업전문학교) 재학·휴학·자퇴·제적·졸업 청년은 본 사업 특성을 고려하여 참여 가능 | ||
3 | 서울시 청년수당 등 타 사업 참여자 | 2 | 2023년 청년인생설계학교 사업 1~2기 참여자 |
4 | ’19~’22년 청년인생설계학교 사업 참여자 |
Ⅴ | 참여자 선정 및 결과 발표 |
< 선정 및 결과발표 개요 > | ||
❶ 라이프 ‧ 커리어 ‧ 리더십 코스 ① 신청서 문항 작성의 성실성 및 증빙서류(우선선정 대상자) 심사 ② 신청서 및 서류 심사 통과자를 대상으로 반별 ‧ 유형별 무작위 전산 추첨 ③ 선정자 결과 발표 : 7. 7.(금) 17:00 청년몽땅정보통 공지사항에서 확인 ❷ 스케치(대학 비진학청년) 코스 ① 신청서 문항 작성내용 심사 및 인터뷰 대상자 발표 : 7. 7.(금) 17:00 공지 ② 최종 선정 인원(30명)의 1.5배수 대면 인터뷰 진행 : 7. 11.(화) 예정 ③ 선정자 결과 발표 : 7. 14.(금) 17:00 청년몽땅정보통 공지사항에서 확인 |
1 | 라이프 ‧ 커리어 ‧ 리더십 코스 : 신청서(+서류) 심사 후 추첨 |
□ 선정방법 : ① 신청서 문항 및 증빙서류 심사 적격자를 대상으로
② 반별 모집유형(우선/일반)내에서 무작위 전산 추첨
① 신청서 및 증빙서류 검토
- 신청서 P/F 검토 : 검토위원 3인 중 2인 이상의 통과 (Pass)
※ 프로그램 중도이탈 방지를 위한 최소한의 확인 절차로서 무성의한 신청서(완성된 문장이
아닌 단어 나열식 단답, 신청 코스의 취지에 적절하지 않은 내용 등)는 부적격 처리 (Fail)
- (우선선정 대상자) 증빙서류 검토 : 우선선정 대상 유형별 증빙서류 확인
② 무작위 전산 추첨 : 7. 6.(목) 13:00 예정
- 1차 : 우선선정 대상자 가운데 추첨하여 우선선정자 순위 명단 확정
(50%, 반별 10순위까지)
※ 반별 우선선정자 순위 명단에서 11~15순위는 참여 포기자를 대비한 예비자 명단
- 2차 : 우선선정 탈락자와 일반선정 대상자 가운데 추첨하여
일반선정자 순위 명단 확정 (50%, 반별 10순위까지)
※ 반별 일반선정자 순위 명단에서 11~15순위는 참여 포기자를 대비한 예비자 명단
□ 선정자 결과발표 : 7. 7.(금) 17:00 청년몽땅정보통에 공지 예정
- 개별 안내 및 [청년몽땅정보통 > 마이페이지 > 청년인생설계학교(라이프/커리어/리더십)]에서도 확인 가능
< 라이프 ‧ 커리어 ‧ 리더십 코스 참여자 선정 과정 > | ||||||||
신청서 및 증빙서류 검토 | ⇨ | 우선선정 신청자 순위 명단 추첨 | ⇨ | 우선선정자 확정 (50%, 반별 10명) | ⇨ | 우선선정 탈락자 및 일반선정 신청자 순위 명단 추첨 | ⇨ | 일반선정자 확정 (50%, 반별 10명) |
2 | 스케치 코스 : 신청서 심사 후 대면 인터뷰 |
□ 선정방법 : ① 신청서 문항 심사 통과자를 대상으로
② 최종 선정 인원 1.5배수 내에서 대면 인터뷰 진행
① 신청서 심사* : 인터뷰 대상자 7. 7.(금) 17:00 발표
- 신청서 문항 작성내용 심사 : 심사위원 3인의 선정위원회 구성 ․ 심사 진행
- 인터뷰 대상자 발표 : 7. 7.(금) 17:00 청년몽땅정보통에 공지 예정
- 개별 안내 및 [청년몽땅정보통 > 마이페이지 > 청년인생설계학교(스케치)]에서도 확인 가능
② 대면 인터뷰 심사⁑ : 7. 11.(화) 14:00~20:00 진행
- 일시 : 7. 11.(화) 14:00~20:00 중, 신청서 심사 통과자 개별 안내
- 장소 : 서울시 청년활동지원센터 (용산구 원효로97길 15, 용산원효루미니 2층)
- 방법 : 최종 선정 인원(30명)의 1.5배수 내 신청서 심사 통과자를 대상으로 심사위원 3인의 선정위원회와 집단 인터뷰 진행
*⁑ (신청서 ․ 인터뷰 심사 공통) 지원 동기의 적합성 ․ 사업 취지에 대한 이해도 ․ 사업 참여 의지 및 소통능력 순으로 심사.
□ 최종 선정자 결과발표 : 7. 14.(금) 17:00 예정
- 개별 안내 및 [청년몽땅정보통 > 마이페이지 > 청년인생설계학교(스케치)]에서도 확인 가능
< 스케치(대학 비진학청년) 코스 참여자 선정 과정 > | ||||||
신청서 문항 작성 내용 심사 | ⇨ | 인터뷰 대상자 발표 7. 7.(금) 17:00 | ⇨ | 대면 인터뷰 심사 7. 11.(화) 14~20시 | ⇨ | 최종 선정자 발표 7. 14.(금) 17:00 |
Ⅵ | 기타(유의) 사항 |
ㅇ 본인이 작성 ․ 제출한 정보가 부정확하거나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 참여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신청서를 정확하게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ㅇ 선발 확정 이후에는 반 변경이 불가하오니, 반드시 공고문의 코스별 ․ 반별 운영 계획 및 내용을 숙지하고 신중한 신청 해주시기를 당부 드립니다.
ㅇ 선발 확정 이후에 사업 참여 포기를 원하실 경우 반드시 청년인생설계학교 운영 사무국 ☎ 010-5695-3056 으로 전화 또는 문자해 주시기 바랍니다.
(※ 참여 포기 시에는 2023년도 청년인생설계학교에 재신청하실 수 없습니다.)
ㅇ 2023년 청년인생설계학교의 모든 코스와 반을 통틀어 연 1회만 참여 가능합니다. (※ 2023년에 이미 참여하신 분은 다시 신청하셔도 취소 처리됩니다.)
ㅇ 청년몽땅정보통(https://youth.seoul.go.kr) > 교육‧문화 > 청년인생설계학교 FAQ에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을 올려놓았으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ㅇ 전 과정은 무료로 진행됩니다. 총 6회차 커리큘럼 중 4회 이상 출석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서울시장 명의의 수료증을 발급해 드립니다.
ㅇ 기타 궁금하신 사항은 아래 연락처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청년인생설계학교 운영사무국) ☎ 010-5695-3056 (문자 메시지 가능)
✉ youthschoolseoul@gmail.com
- (서울특별시청 미래청년기획단) ☎ 02-2133-4309
붙임 1 |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증빙자료 및 2023년 기준 |
□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증빙 시 가구 구성 기준
ㅇ 가구원의 범위는 주민등록등본에 같이 등재된 사람을 기준으로 함
- 등본 상 동일한 주소지에 살면서 세대만 분리된 경우는 동일 가구원으로 간주
- ‘동거인’으로 표시되는 구성원은 가구원수에서 제외함
ㅇ 다만, 신청자가 건강보험료를 본인이 납부하지 않는(피부양자) 1인 가구인 경우 부양자의 건강보험 자격확인(통보)서에 나타난 부양자와 피부양자를 가구원 수로 산정함(1인 가구로 인정하지 않고 가구원 수를 산정해 소득기준 적용)
□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대상별 증빙자료
건강보험료 본인 납부 여부 | 주민등록등본 상 세대 구성원 구분 | 해당 증빙자료 |
건강보험료를 본인이 납부하는 경우 | 주민등록등본 상 세대 구성원 1인 가구 | ․ 주민등록등본 ․ 본인의 건강보험 자격확인(통보)서 ․ 본인의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
주민등록등본 상 세대 구성원 2인 이상 가구 | ․ 주민등록등본 ․ 본인의 건강보험 자격확인(통보)서 ․ 본인의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 건강보험료를 따로 납부하고 있는 세대 구성원 각각의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본인이 주민등록등본 상 세대 구성원 모두의 건강보험료를 납부하고 있을 시 제출하지 않아도 됨) | |
건강보험료를 본인이 납부하지 않는 경우 (피부양자) | 주민등록등본 상 세대 구성원 1인 가구 | ․ 주민등록등본 ․ 부양자의 건강보험 자격확인(통보)서 ․ 부양자의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
주민등록등본 상 세대 구성원 2인 이상 가구 | ․ 주민등록등본 ․ 부양자의 건강보험 자격확인(통보)서 ․ 부양자의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 건강보험료를 따로 납부하고 있는 세대 구성원 각각의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부양자가 주민등록등본 상 세대 구성원 모두의 건강보험료를 납부하고 있을 시 제출하지 않아도 됨) |
※ 증빙자료 발급처
- 주민등록등본 : 동 주민센터, 정부24
- 건강보험 자격확인(통보)서,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 국민건강보험공단(https://www.nhis.or.kr)
□ 2023년 기준 중위소득 100%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단위 : 원)
가구원수 | 소득기준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가구 | ||
1인 | 2,494,000 | 88,753 | 26,673 | |
2인 | 3,457,000 | 123,511 | 68,365 | 124,093 |
3인 | 4,435,000 | 157,684 | 121,134 | 159,423 |
4인 | 5,401,000 | 191,845 | 151,504 | 194,564 |
5인 | 6,331,000 | 226,361 | 191,639 | 230,142 |
6인 | 7,228,000 | 261,015 | 235,637 | 266,386 |
7인 | 8,108,000 | 291,898 | 273,699 | 299,947 |
8인 | 8,988,000 | 320,126 | 305,817 | 332,208 |
9인 | 9,867,000 | 359,887 | 354,030 | 379,133 |
10인 | 10,747,000 | 403,785 | 402,840 | 434,962 |
※ 노인장기요양보험료를 제외한 금액
※ 혼합가구란 가구 내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가 모두 있는 경우
※ 1인가구의 소득기준은 기준 중위소득 120%의 소득기준액이며, 건강보험료는 1인가구 130% 소득기준액 대비 건강보험료 산정비율(직장 3.6%, 지역 1.07%)을 120% 소득기준액에 적용하여 산출함)
※ 가구원수가 10인을 초과하는 경우는 10인 가구 기준을 적용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