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에서
3상 반파나 전파 정류회로시 출력전압이 나오면
공식을 이용해서 마지막에 cos세타를 곱하는지
(1+cos세타)/2 를 곱하는지 구분이 안갑니다.
저항부하일 경우 (1+cos세타)/2
인덕턴스 성분일경우 cos세타로 알고있는데
부하에대한 아무 언급이 안되어있는 문제는 그냥 cos세타를 곱해주네요..
정확한 구분방법이 있나요? 제가 알고있는 것이 맞는건가요?
첫댓글 헷갈려하시는 문제를 같이 질문해주셔야 정확한 답변이 됩니다.RL 부하의 출력은 완전한 평활회로가 아니며 리플성분을 갖게 되는데,L값에 따라 평활정도가 달라지며 L이 크면 클수록 (L=∞) 평활해집니다. (순저항 부하 리플이 가장 큼)즉, L이 클수록 완전한 직류회로에 가까워지며, 부하전류가 연속하다고 합니다.문제에서 L값이 굉장히 커서 출력 전류의 리플 성분이 거의 무시된다고 가정한다는 별도의 언급이 없다면 유도성 부하는 저항 부하와 같은 출력값을 갖는 것으로 풀이하시면 됩니다.
첫댓글 헷갈려하시는 문제를 같이 질문해주셔야 정확한 답변이 됩니다.
RL 부하의 출력은 완전한 평활회로가 아니며 리플성분을 갖게 되는데,
L값에 따라 평활정도가 달라지며 L이 크면 클수록 (L=∞) 평활해집니다. (순저항 부하 리플이 가장 큼)
즉, L이 클수록 완전한 직류회로에 가까워지며, 부하전류가 연속하다고 합니다.
문제에서 L값이 굉장히 커서 출력 전류의 리플 성분이 거의 무시된다고 가정한다는 별도의 언급이 없다면 유도성 부하는 저항 부하와 같은 출력값을 갖는 것으로 풀이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