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만에 자동차 관련 글 쓰네요...
한국에서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이미지가 그리 썩 좋은 편은 아니지만 개인적으로 하이브브리드 차량에 대해서 꽤 인식이 좋은 편입니다.
회사 업무용 차량이 YF쏘나타 하이브리드 차량인데 뭐 필요할 때 쭉 치고 나가는 힘도 있고 연비도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이해만 있다면 중형 차급에서 나올 수 없는 연비도 나와주고 말이죠.
거기에 이번에 추가로 나온 LF쏘나타 하이브리드를 좀 타봤는데 꽤 괜찮다 싶기도 했고요. 전체적으로 완성도가 LF가 YF 대비 상당히 좋아진 것 같습니다.
물론 하이브리드 차량 구매하실 분 있으시다면 전 개인적으로 쏘나타나 K5 보다는 그랜저나 K7 하이브리드를 추천하겠습니다.
일단 가격표 한 일이십분 보고 있음 가성비에서 대형차 하이브리드가 깡패 수준이라...-_-ㅋ
(암튼 현기의 중형차 하이브리드 가격 책정한 인간들은 좀 반성해야할 필요가 있을 듯)
잡설은 그만하고 진짜 하이브리드 얘길 해볼까 합니다.
전 개인적으로 현기가 하이브리드에 이렇게까지 투자하는 것을 이해를 못했던 사람 중 하나입니다.
수입차 국내산 차량 전체적으로 소비자 성향은 하이브리드 보다는 디젤 쪽으로 많이 편중되고 있다는 것이 뻔히 보이는데 말이죠.
실제로 수입차 판매량 보면 상위권 대부분이 독일산 디젤...일본 차량들 중에서도 디젤로 나온 Q50 정도나 좀 팔리지 그 외 가솔린이나 하이브리드 차량들 같은 경우 그리 판매량이 좋은 편은 아니거든요.
물론 이번 그랜저 같은 경우 디젤도 상당히 선전하고 있고 말이죠. / 의외로 그랜저 하이브리드 차량 같은 경우 꽤 선전하고 있긴 합니다만...
암튼 꽤 잘만든 디젤 엔진인 R엔진에 더 투자를 해서 디젤 쪽을 밀어주는게 낫지 않나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물론 독일디젤 차량 따라갈라면 좀 멀긴했지만 뭐 기본적인 기술력의 차이를 극복하긴 쉽진 않겠죠.
그래도 가격이라는 무기가 있으니 디젤 쪽이 훨씬 유리하지 않겠냐 싶었습니다.
그런데 지난 주 오키나와에 가서 렌트카를 빌려 3박 4일간 다닌 이 후로 하이브리드의 무서움?을 느꼈네요.
렌트카는 도요타 아쿠아라는 소형 하이브리드였고요.
진심 왜 현기가 하이브리드에 그렇게 목을 메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 정도면 훌륭한 것 아닌가 싶었던 현기의 하이브리드 기술이 일본의 그 것과 얼마나 차이나는지도 느낄 수 있었고요.
이틀동안 연료게이지가 고장난 줄 알았습니다. 시내 구간도 꽤 많이 다니고 에어컨도 키고 했는데 레알 연비가 20은 기본으로 찍더군요.
소형 차량인 것을 감안하더라도 진심 미친 연비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제가 4일타고 마지막 연비보니 26정도더라고요. -_-ㅋ
그리고 무엇보다 악셀 느낌이 확실히 현기의 하이브리드와는 다르더군요.
제가 얼핏 듣기로는 하이브리드 관련한 기술 대부분이 일본 업체들의 특허로 사용할 수 없는 부분이 많다고 하더군요. (확실한 것은 아닙니다) 아무튼 무슨 미션 관련된 부분의 일본 특허를 피해서 만들어야한다고 들은 것 같아요.
암튼 악셀 느낌이 현기차의 하이브리드는 뭔가 이질감이 상당했는데 도요타의 그 것은 가솔린 차와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아무튼 렌트카라 완전 무옵션에 가까운 차량을 타서 (파워핸들도 없고...소형차인데도 주차할 때 너무 힘들었듬) 이 차의 제대로 된 모습을 느껴보지는 못했지만 제대로 만든 하이브리드 차량이 어떤지 정도는 알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이런 일본의 소형 하이브리드 차량이 한국에 들어오면 어느 정도 가격이 책정될지는 모르겠지만 들어오면 꽤 괜찮지 않을까 싶기도 했네요. 프리우스만으로는 역부족이 아닐까 하는 마음...
아무튼 결론적으로 한국이 달구지 끌고 다닐 때 자동차 만들던 나라들의 자동차 기술은 여전히 아득하다는 것이 느껴지네요.
P.S 예전 동경에 갔을 때도 비슷하게 느꼈지만 길거리 돌아다니는 차만 보면 한국보다 일본이 더 못사는 나라 같아요. ㅋ
한국은 소형차보다 중형/대형이 더 많이 돌아다니는데 일본은 뭐 가끔 보이는 대형차 빼면 대부분이 박스카, 소형 하이브리드카라능...
@[부정선거]청순가련 네 알겠습니다. 일반적이라는 범주가 워낙 애매모호해서 저도 뭐라 얘길 못하겠네요.
위에서도 말씀 드렸지만 전 같은 조건에서 가솔린차 대비 하이브리드차가 연비가 훨씬 잘 나왔고 제 주위 실제 타시는 분들도 연비 부분에서는 상당히 만족하고 타고 있어서요.
뭐 본문에서도 적었지만 일본 하이브리드의 성능에는 한참 못미치는 수준은 맞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파사트와의 모터그래프에서 실험을 어떻게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파사트도 연비 쩌는 차 중 하나입니다. 제가 말씀드리는 비교 대상은 같은 차종인 쏘나타 가솔린과의 비교지 파사트와의 비교는 아니었습니다.
@[부정선거]청순가련 개선되었나보죠..전 복합연비12넘어가보질못해서 그하연비는 별로였습니다..그리고 하브차를 얼마나타보셨는진 모르겠지만 그하부터 이에스300h까지 1년넘게 타보았으니 어줍잖은 지식은아닐겁니다..
@Dr. ms 전 일본 하이브리드 차의 대단함을 느껴서 글을 썼는데 대부분의 댓글은 또 현기차네요...ㅠ_ㅠ
저 이번에 오키나와 갔을 때 4일 중 2일 동안은 갑자기 들이닥친 일 때문에 와이파이 기계 들고 다니면서 핸드폰으로 내내 일만했습니다 ㅋㅋ 더군다나 그 치고 들어온 일 역시 H사의 시승차 관련 이었네요. ㅋㅋㅋ
@killmesoft 괜히 킬미소프트님한테 한소리 한것처럼 되어버렸네요. 단지 '연비'에 대해서 너무 괴리가 있어서 말씀 드렸습니다.
그리고 모터그래프 실험은 200킬로 돌려서 한것인데 두차의 비교가 아니라 표시된 연비와 실제연비의 비교였습니다. 파사트는 공인연비보다 오히려 더 나왔고
쏘하는 고속도로든 시내구간이든 공인연비를 찍지 못했던걸로 기억합니다.
@민지사랑 저도 기아차 타는데 현기차에 대한 불신이 있는것 같네요;
가격차가 나는데도 일본하이브리드를 많이 타는 이유가 있을듯합니다.근데 300h도 공영주차장 반값 할인 되나요?ㅎ
@[부정선거]청순가련 뭐라 하시긴요. 서로 다른 경험과 지식으로 견해가 다를 수 있는게 사람인데요. 그리고 제가 본 게 그분이 리셋하시고 고속도로운행하신 연비일수도 있고 제가 잘못알수도 있는 확률이 적지않다고 봐요. 다만 앞댓글과 같이 동급동차량끼리 비교했을때 유의한 연비차는 있다고 볼 뿐이지요. ^^
@[부정선거]청순가련 광안대교는 공짭니다ㅋㅋ아주신나요ㅋㅋ여친퇴근시킬때달리면 속이시원ㅋㅋ
@[부정선거]청순가련 아니에요, 뭐 하이브리드 차야 워낙 논란이 많다보니 얘기하다보면 결국 비슷하게 흐르더라고요.
위에서 계속 말씀 드리지만 연비라는건 워낙 조건이나 상황에 따라 차이가 크다보니 서로 경험한 것이나 접한 것이 다를 수 있죠.
실제로 전 쏘하 타면서 공인연비 수준은 꾸준하게 나와주고 같이 타던 K5 가솔린 대비 상당히 연비가 잘 나왔거든요.
암튼 그렇습니다. ㅋ 일본차의 쩌는 연비는 이번에 아쿠아 박에 경험해보질 못한지라...중형 이상의 일본 하이브리드도 한 번 타보고 싶네요...
@Dr. ms 예 말씀하신대로 가격차이도 크기도 하구요. 2천차이면 뭐; 음 하이브리드 만들어주는거 자체에 감사해야할지도 ㅎ
@민지사랑 톨비나 세금도 깍아준다니 ㅎ
그래서 여친이 있으시다...
@[부정선거]청순가련 북으북으ㅎㅎ
@killmesoft 일본차조차도 10년 20만킬로였나요? 그렇게 길게 보증하는게 아직은 기술적으로 뭔가 있구나 싶기도 해요.
하여간 하이브리드하면 연비부터 생각나서리 ㅎ
@[부정선거]청순가련 쏘하도 첨에 나온 것은 10년 20만 워런티 아니지 않았나요? 안팔려서 워런티 올린 것으로 기억하는데 정확하진 않습니다.
그리고 일본차는 저도 이번에 렌트카 타본게 다라 워런티까지는 잘 모르겠네요 ㅋ
@[부정선거]청순가련 렉서스도 작년연말인가 배터리만 10년20만입니다..일반보증은 5년10만이고요..요즘은 모르겠네요..
@killmesoft 우리나라에선 다 10년 20만 보증아닌가요? 쏘하가 미국에선 평생보증;;
하이브리드 기술력 좋다는 일본차도 오래 보증해준다고 하니 하이브리드에 대해 불안감이 많은가보다 싶어서요. 미국에서 있다온 10년 후배도 미국에선 분위기 어떤냐 물었더니 하이브리드는 아직이지 않냐식으로 얘기하더라구요.
@민지사랑 일반보증은 5년이었나요? 4년이 아니라? 제가 잘못 알고 있었나보네요.
@[부정선거]청순가련 4년인것같네요..헷갈리네요..
@[부정선거]청순가련 미국은 다른 나라에서 다 잘나가는 유럽 디젤 차도 죽 쓰고 있지 않나요? 현기도 거기 차 팔 때 차급 대비 고배기량으로 파는거 보면 확실히 다른 시장 같긴 해요. 미국이래봤자 가본데는 괌이 전부라...ㅋㅋ
진짜 길거리 다니는데 한국에서 쉽게 들을 수 없는 8-12기통 차들 배기음에 귀는 호강하고 왔습니다 ㅋㅋ
같은 차라도 운전습관에 따른 연비차이가 30% 이상 차이납니다 시내냐 고속도로냐 고속도로에서도 밟느냐 안 밟느냐에 따라 다르죠 그냥 각자 자기 생각이 답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제 yf하이브리드 경우 아 추가로 16인치입니다 구로에서 강남으로 출퇴근 봄여름엔 14-16정도 겨울엔 12-14정도 나오더군요 고속도로에선 정속하면 22 좀 밟으면 17-18 나오구요 17인치는 좀 덜 나오겠죠 타이어 업그레이드하면 또 줄어들고요 3년 10만km 타면서 꽤 만족합니다 공영주차장 50%할인 남산터널 무료도 꽤 유용하고요 도요타는 직병렬 혼합에 CVT이고 모터가 2개입니다 특허를 독점중이고 현대는 병렬에 일반 AT고 모터가 1개죠
연비를 떠나서 구로에서 강남 출퇴근을 자차로 하신다는 부분에서 존경을 보내고 싶습니다. 남부순환도로로 다니실 것 같은데 그 헬게이트를 매일 들어가시다니...덜덜
@killmesoft 서부간선 88로 다닙니다 집에서 7시전에 출발해서 8시 좀 넘어서 회사 도착하죠 늦으면 지하철 탑니다 ㅎㅎㅎ
@래리존슨 서부간선에 88로 다니시는 것도 대단하시네요. 전 그 상황이면 절대 운전 생각 못할 것 같습니다 ㅠ_ㅠ
@killmesoft 우리회사 직원은 광명에서 강남으로 출퇴근하는데....
도요타가 현대에 비해 좀 더 전기차에 가깝다고 보시면 됩니다 하이브리드도 마일드 하이브리드냐 풀 하이브리드냐에 따라 차이가 있고 직렬식은 연비개선이 거의 없죠 쏘하도 2013년식부터 모터가 업그레이드 되면서 연비도 조금 더 개선되었습니다 전 2012년식이구요
솔직히 차에는 별 관심이 없는데 일본 출장때 도쿄의 오다이바의 도요타전시장에 갔더니 모든 차량이 하이브리드더군요
그런데 가격을 보니 현기차 동급차량과 별 차이가 없더라구요
제가 동경 모터쇼 갔을 때가 2011년으로 기억하는데 당시만해도 하이브리드가 그렇게까지 주는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오다이바인지는 모르겠지만 쇼핑몰이랑 붙어있는 큰 도요타 전시장도 갔었는데 당시에는 새로 돌아온 86이 돌풍이었던지라 ㅋ
딴 얘기지만 그런면에서 독일 디젤 기술력은 대단하네요. 얼마전 뉴씨클 220 블루텍으로 차를 바꿨는데 시내주행에 17-18은 쉽게나오니...
전 하이브리드는 운전해본적이 없어서 몰랐는데 댓글보니 일본 하이브리드에 필적하는 수준이군요.
가끔 알럽 차 고수분들이 해주시는 이야기 너무 재밌게보고있습니다
독일 디젤이야 뭐 더 얘기하면 입아픈 수준이죠. 본문에도 살짝 언급한 현기 R엔진도 진짜 이 정도면 훌륭하다라고 얘기하긴 하지만 독일 디젤 따라가려면 아직도 한참 남았거든요...
독일산들은 일단 미션부터 사기적인 가성비가 나와주니...덜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