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방울전.hwp
금방울전(金鈴傳)-작자 미상
● 줄거리
명나라 초엽에 장원(張源)이라는 선비가 동해 용왕의 아들을 구출해준 인연으로 부인이 잉태하였고, 열 달 뒤에 아들을 낳아 해룡(海龍)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그 뒤에 난리를 만나 피난길에 장원부부가 해룡을 버리자, 도적인 장삼(張參)이 해룡을 업고 강남고군으로 달아났다.
또, 김삼랑(金三郎)의 처 막씨(莫氏)는 효성이 지극하여 늙은 어머니를 지성으로 봉양하고 어머니가 우연히 죽자 초막을 짓고 묘소를 돌보며 살았다. 그러던 중 어느 날 꿈을 꾸어 옥황상제로부터 아이를 점지 받고, 죽은 남편의 혼과 동침해서 금방울을 낳았다.
금방울은 신출귀몰하는 재주로 어머니를 도와 온갖 어려운 일을 해냈다. 이런 소문이 퍼지자 이웃의 무손(武孫)이 금방울을 훔쳐갔는데 불이 일어나 가재도구를 모두 불태웠고, 또 고을 원님인 장원이 막씨를 가두고 금방울을 처치하려 하였으나 도리어 큰 혼만 당하고 금방울과 막씨를 풀어주었다.
하루는 장원의 부인이 병을 얻어 죽게 되었는데, 이 때 금방울이 보은초를 가지고 와 생명을 구해주었다. 이 인연으로 장원부부는 막씨와 의형제를 맺고, 그 뒤로는 금방울이 장원부인과 막씨 사이를 오가면서 사랑을 받게 되었다. 그러던 중 금방울이 장원에게 난리 중에 잃은 해룡의 모습을 그린 족자를 가져다준 뒤에 어디론가 사라졌다. 이 때 태조 고황제(太祖 高皇帝)가 난을 평정한 뒤 늙어서 금선공주(金仙公主)를 얻었다. 하루는 황후와 공주가 시비와 함께 달구경하다가 요귀에게 납치당하자, 황제는 공주를 찾아주면 천하의 반을 주겠다는 방을 써붙인다.
한편, 장삼이라는 도적의 집에서 자라던 해룡은 장삼의 아내 변씨(卞氏)의 학대가 심하여 어려운 일만 당하는데, 그때마다 금방울이 나타나 그를 도와준다. 그러나 해룡은 구박을 못 견디어 변씨집을 나와 산중으로 들어갔는데, 금색털을 가진 머리 아홉 개의 요귀를 만나 위태롭게 된다. 이 때 금방울이 나타나 요귀에게 대신 먹혔다. 해룡은 금방울을 구하려고 간신히 굴 속을 기어들어가 금선수부라 하는 곳에 이르렀다. 그 앞에서 피묻은 옷을 빠는 시녀를 만나고, 그 시녀를 따라간 해룡은 시녀가 준 보검으로 요귀를 찔러 죽인다.
그 요귀는 금터럭난 염이 돋친 짐승이었으며, 가슴을 파헤치니 거기서 금방울이 굴러 나왔다. 납치되었던 공주와 시녀들을 모두 구하여서 돌아오니 황제는 해룡을 부마로 삼았다. 그 즈음 북방의 흉노가 침범하니 대장군이 된 해룡이 나아가 싸워 크게 이기고 개선하여 좌승상이 된다.
한편, 막씨는 금방울을 잃고 장원부인과 함께 슬퍼하였는데, 어느 날 금방울이 돌아오자 기뻐한다. 하루는 꿈을 꾸었는데, 막씨와 장부인의 꿈 속에 선관이 나타나 딸과 아들을 각각 만나게 될 것이라고 일러준다. 이윽고 꿈을 깨니 금방울은 간 곳 없고 선녀가 앉아 있으니, 그 선녀는 바로 금방울의 껍질을 벗고 나온 선녀였다.
다시 나라의 변방이 어지러워지자 해룡은 순무어사(巡撫御使)가 되어 전국을 돌다가 장삼의 묘에 제사지내고 다시 변씨 모녀를 만나 위로하였다. 또, 장원이 다스리는 고을에서 묵게 되는 날 밤에, 꿈 속에 백발노인이 나타나고 족자로 인연하여 드디어 부자가 상봉한다.
이에 황제는 금방울을 황후의 양녀로 삼아서 서울로 데려오고 날을 잡아서 해룡과 결혼시켰다. 해룡은 두 부인을 거느리고 부귀공명으로 일생을 누리다가 두 부인과 함께 승천하였다.
● 핵심정리
▶연대 : 조선후기 추정
▶형식 : 전기(傳奇) 소설, 고전 소설, 영웅 소설, 도술 소설
▶성격 : 전기적, 도술적,
▶주제 : 금방울이 여러 가지 장애를 극복하고 혼사에 성공하는 과정, 고난을 극복하고 부귀공명을 누림, 남녀결합과 부귀획득
▶의의 : 많은 전래 설화가 화소(소설 따위에서, 이야기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채용됨
▶출전 : 경판본(대영박물관 소장) 금방울전
● 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중국을 배경으로 하여 여주인공 금령이 금방울모양으로 태어나서 벌이는 신기담을 흥미있게 전개해 놓은 전기소설이다. 《금령전(金鈴傳)》이라고도 한다. 1917년 세창서관(世昌書館) 간행본을 보면 제목이 ‘능견난사(能見難思)’로 되어 있다. 중국을 무대로 하였으며, 줄거리가 복잡하면서도 비교적 짜임새가 있는 낭만적인 소설이다. 이 작품의 가치관은 해룡과 금령의 ‘남녀결합’, ‘남녀결합’과 ‘부귀획득’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금방울전>을 쓴 작가의 가치관인 동시에 독자층의 행복의식을 반영한 것이다.
특히, 여주인공의 적극적인 활동과 남녀의 결합은 여성독자의 의식을 반영한 것이요, 특권획득과 신분상승은 권력에서 소외된 피지배계층에 속하는 독자층의 의식을 반영한 것이라 하겠다. 따라서, 금령의 초월적인 힘은 미천하게 태어나 고달픈 삶을 살고 있는 많은 독자에게 정신적 위안을 주고 고통을 덜어줄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금방울전> 의 주인공 해룡과 <김원전(金圓傳)>의 김원이 똑같이 요귀를 죽이고 공주를 구출한다는 구성을 하고 있다. 또한 김원의 큰아들의 이름이 해룡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점에서 본다면 이 작품의 작가가 <김원전>을 모방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작품에 들어가 있는 머리 아홉 개 달리 요괴를 퇴치하는(구두적 퇴치)삽화는 서구의 민담인 <용퇴치자>.<곰의 아들>.<지하국대적퇴치설화>와 내용에 있어 유사성을 지니고 있으며, 또한 소설작품으로는 중국의 <보강총백원전>.<진순검매령실처기>.<신양동기>와 우리나라의 <최고운전>.<홍길동전>.<김원전> 등과의 비교연구가 요망되는 작품이라고 하겠다. 금방울의 변신모티브는 <박씨전>에서의 박씨부인의 변신과도 연관지어 볼 수 있다. 삽화는 서구의 민담인 〈용퇴치자(勇退治者)〉<곰의 아들>〈지하국대적퇴치설화〉 와 내용이 유사하다.
■ <금방울전>의 영웅적 구조
가. 해룡과 금령의 출생
<동해용왕의 용자가 장원의 아들 해룡으로 출생한다.>
① 동해용왕의 아들이 남해 용녀와 결혼하고 친영(親迎)하다가 동해 호상의 남섬진주 요괴의 침범을 받아 용녀는 죽고 용자는 도망한다.
② 용자는 붉은 기운이 되어 장부인의 입 속으로 들어가 요괴의 추격을 피한다. 그 후 장공 부부의 아들 해룡으로 출생한다.
<남해 용녀가 과부 막씨에게서 금방울로 태어난다.>
① 남해 용녀가 동해 용자와 결혼하고 친영(親適)하다가 동해 호상의 남섬 진주 요괴의 침범을 받아 죽음을 당한다.
② 용녀는 다섯 선관들로부터 기이한 선물을 받고, 효부로 이름난 과부 막씨의 몸에서 금방울로 태어난다.
나. 해룡과 금령의 시련
<해룡이 부모를 잃고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는다.>
① 해룡이 난중!亂中)에 부모를 잃는다.
② 해룡은 장삼의 구함을 받고, 그의 양육을 받는다.
③ 장삼이 죽자 그의 처는 해룡을 몹시 학대하고 죽이려 하여 해룡은 여러 차례 죽을 고비에 이른다.
④ 해룡은 금방울의 도움으로 수차의 죽을 고비를 넘기고, 장삼의 집을 떠난다
<금방울로 태어난 금령이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는다.>
① 방울을 낳은 막씨는 이를 버리고, 깨뜨리고, 물에 넣고, 불에 넣어 없애려 한다.
② 금령은 막씨에게 음식물을 물어다 주고, 방을 따뜻하게 하고, 밝게 해주어 막씨의 사랑을 받는다.
③ 금령은 묵손의 참소로 막씨와 함께 잡혀가 지현(장원)에게 수난을 당한다.
④ 금령은 장부인의 병을 고쳐주어 장부인과 막씨가 의형제를 맺게 하고, 이들의 사랑을 받는다.
⑤ 금령이 장원에게 족자를 갖다주고는 행방을 감춘다.
다. 해룡이 금령의 도움으로 지하계의 요괴를 퇴치한다.
① 금선공주가 요괴에게 피납되자, 황제는 공주를 찾는 자에게 천하를 반분하겠다고 한다.
② 해룡이 금령의 인도로 산 속 절벽 사이에 이르렀을 때 요괴가 나타나 금령을 삼켜 버린다.
③ 해룡은 빨리 금령을 구하라는 하늘의 소리를 듣고 금령을 구하기 위해 지하계로 간다.
④ 해룡은 피를 토하고 있는 요괴를 죽이고 공주를 구한다.
라. 해룡과 금령이 결혼하고 부귀영화를 누린다.
① 해룡은 금선공주와 결혼하고, 금령은 황후와 공주의 사랑을 받는다.
② 해룡이 출정하여 외적과 싸우다가 위급한 지정에 이른다.
③ 해룡은 금령의 도움으로 목숨을 구하고, 적을 물리쳐 큰 공을 세우고 개선한다.
④ 금령은 황후에게 족자를 갖다 놓고 자취를 감춘다.
⑤ 막씨에게 돌아온 금령이 탈각하고 예쁜 처녀가 된다.
⑥ 해룡은 순무도찰어사가 되어 지방에 갔다가 현몽지사와 족자에 힘입어 부모를 만난다.
⑦ 황제는 금령을 양녀로 삼과 금령공주라 한다.
⑧ 해룡은 금령공주와 결혼하여 금선공주와 더불어 부귀영화를 누린다.
마. (해룡과 두 공주의 백일 승천) - 필사본과 활자본에만 나타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