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 전기의 수송 : 발전소-대부분 입지 조건상 대량 소비하는 도시에서 멀리 떨어져 위치
1) 송전 : 발전소에서 대량 소비하는 지역의 변전소까지 보내는 것
*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기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발전소 안에 있는 변압기에서 알맞은 수준의 전압으로 높여져 인근의 송정용 변전소(1차 변전소)로 보내짐 - 이곳에서 높은 전압을 사용하는 대규모 공장이나 전기 철도 등에 직접 전기를 보내주고 남은 전기를 철탑으로 연결된 송전 선로를 통해 일반 가정 근처에 있는 배전용 변전소(2차 변전소)로 보내짐.
2) 배전 : 지역 변전소에서 가정이나 공장까지 보내는 것
* 배전용 변전소(2차 변전소)에서는 다시 변압기를 통하여 배전용 저압(주로22.9kV)으로 낮추어 빌딩이나 공장 등으로 전기를 보내주거나, 배전 선로를 통해 주상 변압기로 전기를 보내게 됨. 집 근처의 전주 위에 놓인 주상 변압기에서는 다시 전압을 220~380V 로 잦추어 가정이나 학교, 상가, 빌딩, 소규모 공장 등으로 전기를 보내줌.
* 가정용 전압을 2배로 높여주면 송전 과정에서 전력 손실이 1/4로 줄어 듬. 또 가정에서 옥재 배선의 허용 전류는 일정하므로 전압을 2배로 높여주면 사용 전력을 2배로 높일 수 있음
3) 전기의 수송과정 : 발전소(수력, 원자력, 화력 등)→송전 선로→1차 변전소→송전 선로→2차 변전소 또는 대규모 공장→배전 선로, 전기 철도, 대형 빌딩→주상 변압기→소규모 공장, 학교, 상가, 주택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