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200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Ⅲ(국어, 도덕, 사회) , 교육과학기술부.
【6-말-(4)】연극에서 반언어적ㆍ비언어적 표현의 특성을 살려 실감나게 연기한다.
【내용 요소의 예】
◦ 반언어적ㆍ비언어적 표현의 유형과 기능 이해하기
◦ 인물의 성격에 맞는 표현 탐색하기
◦ 감정을 이입하여 실감나게 표현하기
◦ 무대의 특성을 고려하여 말하고 행동하기
이 성취 기준은 연극에서 인물의 역할 수행을 통하여 반언어적·비언어적 표현의 기능을 이해하고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정하였다. 반언어적·비언어적 표현은 의사소통의 과정에서 언어적 표현을 보완하거나 독자적으로 의미를 표현하는 기능을 한다. 연극에서는 관객과의 의사소통을 위하여 반언어적·비언어적 표현을 생산적으로 활용하므로 연극을 통하여 이를 학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연극에서 인물의 역할을 정하여 반언어적·비언어적 표현을 살려 실감나게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둔다.
연극은 배우가 무대 장치와 조명·음악 등의 도움을 받아 극본에 따라 연기하여 관객에게 보이는 종합 행위 예술이다. 여기에서는 연극을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 인물의 대사와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반언어적·비언어적 표현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음성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에서 화자는 낱말, 어구, 문장과 같은 언어 표현뿐만 아니라 발음, 조음, 고저, 어조, 속도, 크기 등 반언어적(半言語的) 표현을 통해서도 화자의 목적과 정서 등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그리고 자세, 손동작이나 몸동작, 얼굴 표정, 눈 맞춤 등 언어 표현과 직접 관련되지 않는 비언어적(非言語的) 표현을 통해서도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연극에서 배우가 인물의 성격과 작가의 의도를 관객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언어적 표현뿐만 아니라 반언어적·비언어적 표현을 적절히 사용하여야 한다. 학생들이 인물의 성격에 맞는 표현을 탐색하고 감정을 이입하여 실감나게 표현해 봄으로써 반언어적·비언어적 표현의 기능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무대 위에서 이루어지는 배우의 말과 행동은 관객과의 소통을 위한 것임을 고려하여 연기하도록 지도한다. 이 성취 기준의 내용 요소 중 ‘반언어적ㆍ비언어적 표현의 유형과 기능 이해하기’는 6학년 듣기 영역의 성취 기준 ‘(4) 드라마를 보거나 듣고 이어질 내용을 예측한다.’, 6학년 문학 영역의 성취 기준 ‘(4) 문학 작품에 나타나는 인물 간의 갈등을 이해한다.’와 연계하여 지도할 수 있다.
【담화의 수준과 범위】학교생활 경험이나 시사적 소재를 바탕으로 한 즉흥극
이 성취 기준은 연극의 요소를 전반적으로 학습하기보다는 연극을 활용하여 반언어적․비언어적 표현을 학습하는 데 중점이 있기 때문에 연극의 작품성보다는 연극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자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교생활 경험이나 시사적 소재를 활용하여 연극을 즉흥적으로 꾸며보게 하거나 희곡 작품의 일부를 상황에 맞게 즉흥적으로 변형하여 연기해 보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