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 #1> 명상의 개념과 분류 (교재 4~11쪽 내용)
이파리(안정)
2023년 9월 14일
2-1. 명상의 기원과 용어 해설
ㆍ빨리어로 jhana(자나). 중국어로 ‘禪那’로 전해진다.
ㆍ중국에서 정착되면서 禪 또는 定이라 부르며, 합하여 禪定(마음을 고요히 하여 진리를 직관하는 일), 靜慮라고도 부른다. 參禪, 坐禪이란 준말로 사용하기도 한다.
(禪 중국 발음 Chan, 일본 Zen)
ㆍ冥, 暝, 瞑와 想의 합성어로 瞑想은 ‘눈을 감고 그윽하게 생각한다.’ 는 의미이다.
ㆍ명상 수행 입장에서 '명상은 생각을 하는 것이 아니라, 생각을 알아차리고, 지켜보는 것이며, 생각 없는 고요한 마음 무심에 도달하는 것이다.'
ㆍ영어로 meditation, 'medical'의 의미가 있으며, 현대인들은 명상을 심신치유의 입장에서 많이 받아들이고 있다.
요가<yoga>
ㆍ몸을 푸는 '하타 요가'
마음을 이완하여 고요하게 하는 '라자 요가'
ㆍ요가<Yoga> 본래 뜻 몸과 마음을 하나로 묶다.
명상은 의도적으로 눈을 감거나 또는 반개한 상태에서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한 다음, 지금 여기에서 현재의 순간을 있는 그대로 몸의 감각이나 마음을 그윽하게, 주의 집중하여 바라보는 것.
2-2. 명상 수행 방법에 따른 분류
명상은 인도에서 종교적, 철학적 정신 수양의 목적으로 생겨났다.
수행 방법에 따라
집중명상(concentrative meditation), 알아차림명상(mindfulness meditation)으로 분류한다.
1. 초월명상
ㆍ초월적 존재, 즉 신이나 어떤 자비로운 존재에게 마음을 열고 내 맡기는 명상법이다.
ㆍ眞言: 힌두교와 불교에서 신비하고 영적인 능력을 가진다고 생각되는 신성한 말
ㆍ옴<oum, 새 생명이 주는 가장 단순한 음>, 만트라(mantra)를 사용한다.
2. 집중명상
ㆍ단일 대상에 주의를 집중시켜 의식의 대상을 그 한 가지에만 제한 한다.(예-호흡, 화두, 염불, 진언 등)
ㆍ다른 모든 자극을 철저히 무시하고 명상의 대상에만 온 정신을 집중한다.
ㆍ삼매(samadhi): 인간이 육체에 얽매여 있는 동안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정신집중 상태. 최고의 실재와 하나가 된 경지 내지 합일에 들어가기 위한 수행이다.
ㆍ正定(마음을 고요히 안정시킴)은 팔정도에서 8번째로 定도 삼매에서 따온 말이다.
3. 알아차림(마음 챙김) 명상(sati 念, mindfulness meditation)
ㆍ지금 현재에 일어나는 외부 환경과 내면의 모든 자극을 억제하거나 회피하지 않고, 비판단적으로 주의 집중시키려고 노력하면서도 어느 특정 자극에만 집중하지 않는 명상법이다.
ㆍ비판단적으로 주의 집중한다.
ㆍ正念은 팔정도에서 7번째, 지금의 마음을 바로 알아차리는 sati(마음 챙김, 알아차림, 주의 집중)
ㆍ安般守意經<안은 들숨, 반은 날숨, 수의는 숨을 쉬고 있을 때 일어나는 생각을 지켜본다. 수의는 sati>
ㆍ현재의 몸 감각이나 마음 상태를 있는 그대로 알아차리고 온전히 깨어 있게 하는데 중점을 둔다.
4. 사마타(samatha, 止)
ㆍ마음에서 일어나는 산란함을 멈추게 하는 데 있다.
ㆍ마음의 들뜸을 가라앉히기 위한 수행이며, 고요한 마음을 유지함으로써 바른 통찰 즉 무명을 제거함을 목적으로 한다.
ㆍ止와 觀을 함께 수행함으로써 더 높은 깨달음에 도달할 수 있다.
5. 위빠사나(vipassana, 觀)
ㆍsati와 samatha의 연장선에서 초기불교 수행의 핵심이다.
ㆍvi 분리하다 + passana 통찰하다.
ㆍ일어나는 생각을 거리를 두고 지켜보며, 있는 그대로 통찰할 수 있게 하는 수행법이다.
ㆍ모든 존재는 끝없이 변화하며(無常), 고정되어 있지 않고 변화하므로 괴로우며(苦), 나라고 하는 실체가 없다(無我)고 하는 것을 통찰한다.
ㆍ大念處經에서 전해주고 있다. 초기불교의 수행법. 身, 受, 心, 法의 네 가지 주제(四念處)를 하나하나 해체해서 그 존재를 낱낱이 바로 보게 하는 것을 집대성한 경이다.
ㆍ미얀마 마하시 국제 선 센터에서 세계로 전파되고 있다.
6. 조사선과 간화선
-조사선 : 중국에서 달마대사 이후에 정착된 깨달음의 수행법이다.
ㆍ문자에 의한 사유를 넘어 부처님의 깨달음의 본래 정신을 회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看話禪: 화두를 오직 참구하여 견성 즉 본래성품을 바로 보고자 한다.
ㆍ문자에 의지하지 않고, 문자를 떠나 전해오는 것, 마음을 바로 보아, 성불하는데 있으며, 조사들이 밝힌바 오직 화두를 참구하는 수행이다.
7. 동작 명상
ㆍ몸을 움직이면서 몸의 동작을 주의 깊게 관찰하는 명상으로, ‘걷기명상, 요가, 춤 명상, 쿤달리니 명상‘ 등 최근 몸의 이완과 치유를 위해 활용되고 있다.
첫댓글 이파리님, 과제 #1 정리한다고 수고 했습니다.
명상 수행에 앞서 명상과 그 개념, 의미와 분류를 대략적으로 정리하여 장차 수행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수고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