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금강에서 생산하는 EPS블럭은 도로공사에서의 연약지반, 터널상부의 성토재료나 뒷채움, 및교량, 옹벽의 뒷채움 등 각종 토목공법에 사용하는 신기술 시공 방법으로 원가절감, 공기단축 등 획기적인 토목 재료입니다. |
|
▒▒ EPS공법의 특성 ▒▒ |
▶ 경량성 - 스티로폼의 밀도는 토사나 콘크리트 밀도보다 약 100/1이나 가볍고, 연약지반의 침하, 지지력 부족, 구조물과 주변지반의 부등침하등의 문제해결이 가능 ▶ 자립성 - EPS블럭은 자립성이 있기 때문에 벽면구조간 이화가 가능하다. 또한 교대옹벽등의 뒷채움으로 서 이용한다면 기초지반의 침하 등 측압의저감을 가능하게 합니다. ▶ 시공성 - EPS블럭을 설치하는데는 대형건설기계가 필요없이 인력만으로도 가능하며, 연약지반, 급경사, 협소한 장소 등 기계의 사용이 어려운 공간에서도 인력으로 시공이 가능하여 굉음 및 진동을 없애주어 주위의 환경에 피해를 없애는 방법으로 어떠한 지형에도 시공이 가능합니다. ▶ 경제성 - EPS의 재료특성을 고려하면, 시공조건, 지반조건, 용지문제, 공기의 단축, 주변환경 대책 등을 개선할 수 있으며 위사항을 종합하여 보면 종래공법과 비교하여 훨씬 경제적입니다. |
▒▒ EPS공법의 주용도 ▒▒
|
용 도 |
모 형 도 |
공법의 장점 |
용 도 |
모 형 도 |
공법의 장점 |
연약지반상의 성토 |
 |
- 침하의 경감 - 지반대책의 저감 - 유지관리의 저감 |
자립벽 |
 |
- 초소한의 용지확보 - 벽면구조의 간소화 |
구조물의 복원 |
 |
- 상재하중, 토압의 저감 - 구조물 부재단면 의 저감 - 부등침하의 방지 |
성토, 조성지의 확장 |
 |
- 기설 구조물에의 영향완화 - 침하방지 - 용지의 감소 |
교량,옹벽의 뒤채움 |
 |
- 교량배면 측압의 경감 - 측방유동압의 경감 - 단차의 방지 |
사태지의 두부성토 |
 |
- 사태안전율의 향상 - 하중경감에 의한 억지력의 저감 |
가설도로 |
 |
- 시공성의 향상 (공기단축) - 지반처리의 저감 - 철거, 복구의 간소화 |
재해복구 성토 |
 |
- 성토의 조기복구 |
급경사지의 성토 |
 |
- 사태안전율의 확보 - 사태 대택공사의 저감 - 용지의 감소 |
매설관 기초, 낙석대책 |
 |
- 매설관 부등침하 - 기설 구조물에의 하중경감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