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해(押海)는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면을 중심으로 한 지방이며, 통일신라 때 압해군이라고도 하였다. 백제 때의 아차산군이 삼국통일 후에 압해군으로 개칭되었다.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정씨(丁氏)는 나주(羅州) . 창원(昌原) . 영광(靈光) . 의성(義城)의 4본이 있으나 모두 도시조(都始祖)인 정덕성(丁德盛)의 후손으로 전하며,[정씨대동종안보]에는 이들 모든 정씨를 압해 정씨로 통일하고 있다.
덕성(德盛)은 원래 중국 당나라 사람으로 당의 문종때 대승상(大丞相)을 지냈고 무종때 대양군에 봉해졌으며, 853년 군국사로 직간을 하다가 압해도에 유배되어 온 것이 우리나라 정씨(丁氏)의 시초라고 한다. 그러므로 압해는 곧 우리나라 정씨의 발상지가 되며 앞의 4본은 모두 동원으로 그 중에서 나주 정씨(羅州丁氏)가 전체 정씨의 절대 다수를 차지한다. 가문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자급(子伋)이 교리(校理)를 지냈고, 그의 아들인 수강(壽崗)은 중종때 형, 병, 예조판서를 거쳐 좌참찬(左參贊)에 오름으로서 조선조에서 가문의 중흥이 일기 시작했다. 응두(應斗)는 수강의 손자로 명종때 팔도의 관찰사를 지냈고 병조판서를 거쳐 좌참찬을 역임했으며, 응두(應斗)의 아들인 윤희(胤禧)는 이퇴계에게 글을 배워 명종때 알성문과와 문과중시에 장원으로 급제한 수재로 당대의 명문장으로 이름을 떨쳤고, 사륙문(四六文)에 뛰어나 한때 도성 안의 관각(官閣)에 그의 글이 아닌것이 없었다고 전한다. 윤희(胤禧)의 동생 윤복(胤福)은 대사성, 도승지, 병조참판 등을 지냈으며, 슬하의 여섯 아들 중 넷째 호관(好寬)과 다섯째 호선(好善)이 뛰어났다. 숙종때 병조참의를 지낸 시윤(時潤)은 호선의 손자이고, 언황(彦璜)은 인조때 삼사의 벼슬을 거쳐 서장관(書狀官)으로 심양에 다녀와 지방수령 으로 나가 선정을 베풀어 많은 송덕비가 세워졌다. 우리나라 실학의 거두로 일컬어진 다산(茶山) 약용(若鏞)은 나주정씨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1762년 광주(廣州)에서 진주목사 재원(載遠)의 넷째 아들로 태어나 어려서 아버지에게 경사(經史)를 배워 나이 일곱 살 때 벌써 시(詩)를 지어 어른들을 놀라게 했다
약용은 검열(檢閱)을 시작으로 벼슬길에 나가 여러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천주교 신봉과 관련한 무고로 두차례나 유배 생활을 하고 끝내는 1801년 전남 강진에 세번째 유배되어 19년 간의 길고 긴 귀양살이를 하게 되었다. 1818년 귀양에서 풀려나와 만년에는 고향에서 저술을 계속하여 방대한 학문의 체계를 완성했다. 특히 그는 [목민심서(牧民心書)], [경세유표(經世遺表)], [흠흠신서(欽欽新書)]등을 저술하여 우리나라 문화사상 불후의 명저(名著)로 알려졌다. 한편 창원파에서는 환(煥)과 황(璜)의 형제가 다같이 학문으로 이름이 높았다. 특히 황은 병조 및 형조의 정랑을 지냈으며, 춘(春)은 임진왜란 때 혁혁한 공을세워 명문의 대를 이었다. 영광파에서는 국학문학사상 최초의 가사(歌辭) 작가인 극인(克仁)이 유명했다. 세조때 과거에 오른 그는 태학진사를 거쳐 전주부 교수를 지냈고 사간원 정언에 이르렀는데 수양대군이 왕위를 찬탈하자 벼슬을 사직하고 고향인 태인으로 돌아와 후진양성에 전념하였다. 의성군파에서는 자위(子威)가 판예빈시사를 역임했고, 맹위(孟威)는 봉승낭장을, 숙위(淑威)는 부사를 지냈으며, 현(炫)은 판서를 역임하여 명망높은 가문을 빛냈다.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압해정씨(押海丁氏)는 남한에 총 38,721가구, 165,381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