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말을 만들 때 모델이 된 말은 “다 가고, 이~”이다. 이 말을 현대 일본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백제 글자”와 “이두”로 써보면 아래와 같다.
た か高, い~. (이두한자에 종성이 없으므로 그대로 백제말이 된다)
다 가고, 이~. (平仮名으로 백제말을 기록했으니 백제글자이다)
명치이후 일본정부 산하 조선어 비밀연구원들이 위의 말의 띄어쓰기를 무시하며
함부로 갈라서 아래와 같은 사전적 단어를 만들어 내었다.
사실은 여기서 부터가 백제말(조선말)과 일본말? 과의 경계선이다.
たかい[高い]; 높다.
**위 단어 “たかい”의 뜻은, 이두인 “高”자를 뜻으로 해석하여, 백제말 “다 가(高),이”
라는 말이 일본말에서는 “높다”라는 뜻이 되고 말았다.
***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일본어의 단어를 만든 결과 高자를 ‘たか’라고 읽는 웃지
못할 꼴이 되었다.
이런 것을 우리는 “명치 식 읽기”라고 명명해 왔다.
*** 高자가 없었다면 ‘たかい’가 원래 무엇을 의미했던 백제말인지 영영 몰랐을
것이다.
*** 일본인들이 ‘たかい’를 어떻게 발음하든 간에 어원으로 보면 “다가이”라고
발음 되어야 한다.
*** 어원을 “다 가고, 이~”라는 말 대신에 “고다가, 이~”라는 말로 볼 수도 있다.
(고다; 뭉그러지도록 푹 삶다)
*** 어쨌든 “백제글자”와 “이두”가 한 치의 착오도 없이 걸맞아 들어가므로 일본어의
정체가 뭣인가 하는 명제를 속시원하게 밝혀주고 있다고 하겠다.
*** 모든 일본말? 은 이렇게 만들어졌다.
(앞으로, 지금까지의 총 회수를 기록하기로 했습니다.)
첫댓글 당시 상황을 엿볼수있는 단어가 있네요.背か" たか高い >배가 다가고 이~;.; たか高い 山야마 >다가고 이~ 사야마(태워다줄 배나,마차꾼을 사야한다는 말로 보임). = 키가크다라는 일본어로 변함.
다까꾸 飛 또부 > 다가고 비도부 >다가고 비었다. (높이 날다는말로 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