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
1. 동기의 의미와 정의
1) 동기의 의미
2) 동기의 정의
3) 내적동기와 외적동기
4) 동기의 기능
5) 사회 행동에서 동기를 추론하기 어려운 이유
2. 동기 연구의 역사적 흐름
1) 쾌락주의
2) 본능설
3) 추동이론
4) 강화이론
5) 인지관점의 동기이론들
6) 자기관점의 동기이론들
3. 욕구이론들
1) Murray의 욕구이론
2) Maslow의 욕구 위계이론
3) Alderfer의 생존/관계/성장의 욕구이론
4. 성취동기이론
1) McClelland의 성취동기이론
2) Atkinson의 성취동기이론
3) Horner의 성취회피동기이론
5. 귀인이론(attribution theory)
1) 귀인이론의 개요
2) 귀인이론의 구성요소
3) 학습을 위한 시사점
6. 형평이론
7. 기대-가치이론(expectancy-value theory)
8. 제어이론
9. 자기조절이론
10. 교육공학과 동기이론
1) Keller의 학습동기이론
2) 집단수행과 조직 창의성의 동기이론
============================================================================
1. 동기의 의미와 정의1) 동기의 의미 : 동기란 인간행동의 에너지이고 행동의 활성을 증감시키며 행동의 방향을 정해주는 심리적 요인으로써, 자동차에 비유한다면 엔진과 핸들의 기능에 해당된다. 즉, 에너지와 방향이 동기개념의 핵심적 요소이다(Gage & Berliner, 1984).
2) 동기의 정의
의사 결정이나 어떤 행위의 직접적인 원인 혹은 계기.
일반적으로 동기의 개념은 어떤 사람이 욕구나 욕망을 충족시키기 위해 열심히 활용할 때 적용될 수 있음.
Morgan & King(1971) : 유기체 내에서 어떤 목표를 향해 행동을 일으키고 방향을 잡고 유지하는 원동력
Bandura(1983) : 주로 행동이 어떻게 활성화되고 지속되는 것에 관한 것
Atkinson(1958) : 활동의 방향, 강도 및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써 한가지 이상의 효과를 내는 활동 경향성을 촉발하는 것
Schunk(1990): 목표를 향한 행동을 유발하고 방향을 제시하는 힘
학습동기
① 학습자가 교육 목표에 동조하고 학습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심리적 특성이며 과정으로서 학습에 의하여 어떤 결과를 성취하려는 강한 욕망
② 학습의 경향성 또는 학습하고자 하는 의욕
③ 학습에 대한 의욕, 태도, 목적의식, 의지의 정도
※ 동기의 속성
- 인간의 행동을 활성화시키는 요소: 행동을 촉발시키고 활성화시키는 힘 혹은 강도. 동기의 추동(drive) 또는 흥분유발(arousal)의 차원을 의미.
- 인간의 행동 방향을 설정하거나 또는 일정한 목표를 지향하도록 통로화(channels)시키는 요소: 행동에서 어떤 목표를 지향하여 선택이 이루어지는 현상. 동기의 방향(direction) 또는 목표(goal)의 차원.
- 인간의 행동을 유지시키거나 또는 지속시키는 요소: 행동이 오랜 시간이 걸쳐서 지속해서 나타나도록 유지시키는 힘. 동기가 지니는 지속성 또는 행동의 차원.
※ 동기와 학습의 관계
- 동기는 학습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임
- 동기가 학업성취도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것은 연구에도 분명히 드러나고 있음
-> 따라서 교사가 정말 효율적으로 학생들의 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들의 학습 및 성취에 대한 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소들을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 함 - 학습자들의 동기를 효과적으로 강화하기 위해서 교사는 동기와 관련된 사실들의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어야 함
- 동기와 관련된 큰 오해 중 하나는 불안(anxiety)과 두려움을 이용하여 학습자들의 학습동기를 유발할 수 있다는 생각임
※ 동기부여(動機賦輿)의 정의
어원 : Motivation = `to move`라는 라틴어의 `movere`에서 유래
심리학
- 개인이 어떤 목표달성의 행위를 일으키고 방향 짓고 유지하는 것
- 동기유발 : Self-motivation
경영학
- 행위의 자연적인 충동과정이 아니라 조직목표와 개인목표달성을 위한 행위
와 그러한 행위를 유발·확보하기 위한 경영자의 의식적 노력이 중요한 문제
- 동기부여(動機賦輿) : 누군가가 준다
즉 모티베이션이란 `구성원들의 목표달성을 위한 경영자의 지속적 노력
경영자의 동기부여(動機賦輿) 의도 (또는 목표)
① 일을 안 하려는 사람을 열심히 일하도록 만들려는 경우
② 일을 잘 해온 사람으로 하여금 더 잘 하도록, 또는 계속 잘 하도록
만들려는 경우
③ 일을 잘 해온(또는 잘 해보려는) 사람의 의욕을 감소시키려는 경우
(역 동기부여)
④ 구습에 얽매인 사람에게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도록 원인을 제공하려는 경
우(변화수용의 동기)
⑤ 어떤 물건을 더 많이 만들기 위해서만 진력해온 사람을 보다 질 좋은 물건
을 만들도록 유도하려는 경우(동기의 기준 전이)
3) 외적동기와 내적동기
- 인간의 동기를 연구하는 학사나 이론가들은 일반적으로 동기를 외적동기와 내적동기로 구분함(Deci, 1975; Deci & Tyan, 1085; Lepper & Green, 1978; Malone & Lepper, 1987)
1) 외적동기(extrimsie motivation)
- 과제와 별 관계가 없거나 어느 정도만 관련된 결과로 인해 동기화되는 것을 의미함
- 목표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어떤 활동을 하려는 동기를 의미(pintrich & Schunk, 1996).
- 예: 의류공장 노동자에게 특별 보너스나 인센티브가 주어지면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노력할 것임. 이 경우 노동자에게 동기부여가 되는 것은 셔츠를 만드는 작업 자체가 아닌 추가 수당을 벌 수 있다는 사실이 됨
- 외적 동기 및 강화물에 비중을 두거나 의존하는 것과 관련하여 실제적, 논리적 문제, 학습의 가치 감소, 학습범위 제한 등의 비판점이 있음
2) 내적동기(intrincis motivation)
- 외적 보상이나 가치를 따지지 않고 단순히 성공적으로 해내고 싶은 내적욕구 때문에 어떤 활동을 하는 것
- 그 활동 자체를 위해 활동을 하는 것을 의미함(Pintrich & Schunk, 1996; Reeve, 1996)
- 예: 의류공장 노동자가 셔츠를 만들면서 바느질을 즐기게 되고, 그 과정에서 추가 인센티브는 주어지지 않지만 노동자 자신이 한 시간에 자신이 만들 수 있는 셔츠의 기록을 깨기 위해 스스로와의 경쟁을 한다고 가정한다면, 이 경우 그 노동자는 자신의 내적동기에 의해 활동하고 있다고할 수 있음
- 내적동기에 의해 활동, 또는 학습하는 경우 사람들은 이를 통해 이루게 되는 목표나 결과가 아니라 활동 자체에 의해 동기부여가 됨
- 연구에 따르면 내적동기부여가 된 학습자들은 단순히 외적동기에 의해 움직이는 학습자들보다 성취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남(Gottfried, 1985)
4) 동기의 기능
활성적 기능(activating function) : 행동을 유발시키고 지속시켜주며 유발시킨 행동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는 힘으로써 작용
지향적 기능(directive function) : 행동의 방향을 어느 쪽으로 결정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이 이루어지는 현상으로 동기의 방향 혹은 목표의 차원임.
조절적 기능(adjusting function) : 선택된 목표행동에 도달하기 위해 과정안에서 적절한 행동을 취하기 위해 조적적인 역할을 수행함.
강화적 기능(reinforcing function) : 행동의 결과로 어떠한 보상이 주어지느냐에 따라 동기 유발의 수준이 달라짐
⇒ 동기의 개념은 동기 유발의 기능 중 어느 곳에 초점을 두고 있느냐에 따라서 개념을 다르게 정의할 수 있음.
5) 사회 행동에서 동기를 추론하기 어려운 이유
여러 동기의 갈등이나 조화
동기를 감추거나 위장
행동표출의 개인차
상황에 따른 행동표출의 차이
동기의 문화차
동기가 충족된 이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
2. 동기 연구의 역사적 흐름 1) 쾌락주의
- 사람은 쾌락을 추구하고 고통을 회피하려는 경향이 있음.
- 쾌락주의가 행동의 원인을 다루기보다 사후 설명에 해당하고 쾌락과 행동의 관계를 설명할 대 순환 논법에 따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관점은 동기이론에 막대한 영향을 줌.
- Vroom(1964)에 따르면 쾌락주의 이후 심리학자들에 의해서 다루어진 동기의 연구는 대부분 쾌락주의에서 설명하지 못한 쾌락의 유발요인들을 알아내는 데 초점. 따라서 쾌락주의 학설이 지니는 결점을 보완하려는 노력으로 몇몇 동기이론이 나타남. 이 이론들은 행동의 예언에 사용될 수 있는 변인들 상호간의 관계를 이론으로 제안하고 실증연구를 통해 입증.
- 쾌락주의가 지니는 한계점을 해결하려는 경향을 잘 보여주는 이론들
①
행동주의 관점: 학습현상을 밝히기 위한 심리학자들의 노력에서 얻은 동기이론으로 Thorndike, Hull, Spence, Miller,Dollard등의 학자들이 있음.
②
인지이론 관점: 인지이론가들은 행동주의자들이 쾌락주의에 근거를 두고 주장하는 효과의 법칙은 인정을 하지만, 자극-반응-강화의 연결관계를 주장하는 이론만으로 인간의 복잡한 동기과정을 설명할 수 없다고 비판. Tolman(1932)과 Lewin(1938)이 대표적 학자이며, 동기과정의 학습이란 자극과 반응, 또는 반응과 강화의 변화가 아니라 신념들간의 변화라고 봄. 즉, 학습이란 자극-자극, 또는 자극-반응-자극의 연결관계에 관한 신념이 변화되었음을 의미.
2) 본능설
- 본능이라는 개념은 태어날 때부터 지니면서 모든 종류의 행동을 일으키는 생래적인 에너지의 출처를 의미.
- 본능설도 여러가지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어서 본능의 내용에 대한 견해만을 살펴보더라도 지배적인 하나의 동기가 행동을 결정짓는다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다양한 본능의 목록을 정리하고자 하는 입장도 있음.
* 본능설에 대한 비판
- 인간행동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본능의 목록을 작성하면 거의 6,000개에 달해, 본능에 의해서 인간행동의 동기를 체계있고 짜임새 있게 설명할 수 없도록 만듦.
- 인간의 동기적 힘 또는 강도에 개인차가 크다는 생각이 광범하게 인정됨. 동인한 자극에 대해서 모든 인간이 동일한 본능행동을 보인다는 가정이 연구에서 지지되지 못함.
- 어떤 경우에는 동기의 강도와 행동 사이에 일관성 있은 상관관계가 없다는 연구결과도 발표.
- Freud가 말하는 무의식적 동기들이 참으로 본능인지 아니면 학습된 행동인지 의문이 제기. 이 비판을 토대로 추동이론이 성립됨.
3) 추동이론
- 자극에 대해 일정한 행동이 형성되고, 형성된 행동이 계속 유지되는 기제에 대해서 기계론적으로 설명할 수 있음.
- 추동(drive)란 유기체가 일정한 방식으로 행동하게 만드는 에너지의 보급처라는 뜻으로 Woodworth(1918)가 처음으로 소개. 다른 학자들은 일정한 목표를 지향하거나 회피하도록 하는 특수한 활성화요인들을 나타내는 용어로 수정.
- 동기이론에서 추동의 개념이 소개되면서 이전과 달리 심리학자들이 인간이 추구하는 목표뿐만 아니라 목표지향의 동기 강도를 실험하고 조작하고 행동의 예측도 가능하게 됨.
4)
강화이론 - Skinner 학파는 행동의 동기의 측면에서 강화이론이 추동이론과 구별되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Skinner의 주장은 엄격한 의미에서 동기이론으로 보기 어려운 면이 있다. 왜냐하면 Skinner 이론에는 동기의 3가지 속성으로 활성화, 지향성, 지속성의 요소들 가운데 행동을 일으키는 추동 요소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개인 내부의 활성화 요인을 다루지 않기 때문이다.
- 즉, 추동이론에서는 유기체 내부의 활성화 요인으로 추동(drive)를 가정하지만 Skinner의 강화원리에서는 유기체의 내부 상태를 문제삼지 않는다.
- Skinner가 주장하는 행동의 결과에 의해서 형성되는 학습은 조작적 행동을 다룬다는 의미에서 조작적 조건형성(operant conditioning)이라고도 한다. 그런데 조작적 행동은 행동 후에 좋은 결과가 발생되는 빈도에 따라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조작적 행동의 강도는 이 행도으이 발생빈도와 정비례하므로 좋은 결과가 자주 발생하는 조작적 행동은 강도가 높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강화이론에서는 여러 조작적 행동들의 발생확률을 변화시키는 법칙을 찾으려고 한다.
- 조작적 행동의 발생확률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강화이다. Skinner는 강화란 일정한 조작적 행동의 발생빈도를 증가시키는 요인이라고 정의한다. 그러므로 강화이론이란 조작적 행동의 발생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강화요인들을 밝히려는 이론이다.
5) 인지관점의 동기이론들
- 동기의 인지적 요소를 강조하는 입장에서 접근한 이론으로는 동기란 개인의 목표 도달에 대한 기대와 가치의 산물이라는 기대-가치이론(expectancy-value theory)
- 인간은 일정한 심리적 대상에 대해서 여러 가지 인지를 지니고 있는데 이러한 인지들의 일관성을 찾으려고 동기화 된다는 인지적 일관성이론(cognitive consistency theory)
- 인간은 환경 내에서 일어난 사건의 인과적 구조를 알아내려는 동기를 지니며 자극을 지각하는 유기체내의 매개적 인지과정을 거쳐 나타나는 반응이 인간행동이라고 해석하는 귀인이론(attribution theory)
- 모든 인간은 자신이 유능하며 자기 생활에서 일어나는 중요한 사건들을 스스로 통제하고 싶어한다는 가정 하에 근거하여 인간이 지니고 있는 유능감과 자기결정감의 상호 관련된 두 가지 욕구를 충족시키게 되면 어떤 행동에 대해서 내적으로 동기화 된다는 인지적 평가이론(cognitive evaluation theory)
- 동기를 자기효능성에 대한 인지적 신념으로 정의하고 앞으로 일어날 결과를 사고로 표상하는 능력과 목표설정 및 자기통제력 강화의 매개적 영향을 동기의 인지적 원천으로 본 자기효능감이론(self-efficacy theory)
- 성취행동은 능력에 대한 높은 자아상을 유지하기 위한 바램에 의해서 유발된다는 자기가치이론(self-worth theory) 등이 있음(정종진, 1996).
이와 같은 인지적 입장의 동기이론들은 강조하는 신념들에 있어서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인간을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환경에 적응하는 존재로 보며, 사람들이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사건들을 어떻게 해석하며 정보를 어떻게 처리하는가 하는 인지적 매개과정을 가장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고 있음.
6) 자기관점의 동기이론들 : 자기를 중심으로 동기를 설명하고자 하는 이론들
- 자기 자신에 대해서 지니고 있는 여러 유형의 도식이나 기준들이 동기를 유발하는 근원이라고 가정.
- Markus(1977): 자기에 관한 도식(shema) 가운데 장래 실현될 가능한 자기(possible self)의 모습에 대한 심상에 따라서 현재 동기가 달라진다고 주장. 즉, 장래 자기를 좋은 모습으로 생각하게 되면 현재 생활에서 이 상태를 추구하기 위한 행동의 동기 수준을 높인다고 봄.
- 자기주의이론(self attention theory): 환경보다 자기에 주의가 집중되면 자신이 추구하는 기준에 도달하려는 동기가 높아진다고 주장.
- 자기차이이론(self-discerpancy theory): 자기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아지면 자신이 추구하는 목표와 현재 자기 상태의 차이가 인식되기 때문에 이 차이를 줄여서 자신의 목표에 가까워지려는 동기가 유발된다고 주장.
- 조절초점이론(regulatory focus theory): Higgins(1994) 등은 자기차이이론을 확장하여 제안. 인간의 동기를 자기가 바라는 바를 추구하려는 향상초점(promotion focus)의 동기와 자신이 피하고 싶은 상태를 회피하려는 예방초점(prevention focus)의 두종류로 구분. Higgins는 개인차나 사회상황의 영향에 의해서 이 두 조절초점들 가운데 하나가 우세해지면 동기는 물론이고 정서경험, 문제해결, 선택행동, 창의성 등도 달라진다고 주장.
- 제어이론(control theory)
- 자기차이이론을 도입하여 이론을 확장. 제어이론은 원래 자동 온도조절 기계의 작동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동제어 과정을 설명하는 관
점으로 제안됨.
- 인간도 기계와 마찬가지로 일정하게 정해 놓은 기준이 있기 때문에 현재 상태에 관한 정보를 환류(feedback)하여 이 기준과 비교하게
되면 이 기준에 못 미친 차이의 크기만큼 동기가 유발된다고 가정.
- but 자기차이 이론을 수용하면서 수정된 제어이론에서는 자기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게 되면 이 차이가 동기를 유발하는 강도가 더 강해
진다고 주장.
- Kuhl(1984, 2000)의 행위제어이론에서는 목표를 추구하려는 행위가 장애에 당면한 상황에서도 지속되는 제어과정을 설명.
3. 욕구이론들1) Murray의 욕구이론
- Murray에 의하면 성격의 가장 기본이 되는 일차적 변인은 동기특성이며, 이 동기특성 중에서도 가장 원천적인 것이 인간의 욕구라고 규정하고 있다. 인간의 성격은 이러한 욕구와 환경이 주는 압력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러한 역동적 관계속에서 인간의 성격을 이해해야 됨.
- Murray는 욕구를 장기발생적(일차적) 욕구와 심리발생적(이차적)욕구로 나눔. 그리고 그는 심리발생적 욕구를 중요시하고 그것을 여러가지 요인으로 분류함.
1. 장기발생적(일차적) 욕구
2. 심리발생적(이차적) 욕구
- 성취의 욕구(Need for Achievement)
남보다 어려운 일을 해보려는 것, 자연, 인간, 사상을 지배하고 조직하는 것, 될 수 있는 대로 신속하게 남의 손을 빌리지 않고 일을 해내는 것, 남과 경쟁에서 이기는 것, 권위자가 되는 것 등으로 대표되는 욕구. - 친애욕구(Need for Affiliation)
인간에 대해 정의 방향으로 나타나는 훨씬 뛰어난 사람에게 가까이하여 즐겁게 협력하고 애정을 교환하는 것, 친구에게 충성하고 모임에 즐겁게 참여하는 것, 다른 사람을 위해 일하며 혼자 있기보다는 여러 사람과 같이 있기를 좋아하는 욕구. - 지배욕구(Need for Dorninance)
인간의 행동을 지배하려는 것, 유혹, 설득, 명령에 의해 대상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이끌어 가려는 것, 남을 구속하고 금지시키는 것, 자기의 감정경향이나 욕구에 일치시키려고 남을 움직이게 하는 것, 남에게 조력하는 것, 모임의 지도자가 되려는 것, 모든 결정권을 자기가 갖고 감독 지휘하려는 것들이 밑받침이 된 욕구. - 과시욕구(Need for Exhibition)
남의 인상에 남기려는 것, 남의 주의를 끌려는 것, 남을 흥분시키고 즐겁게하고 매혹시키며 감동을 주고 놀라게 해주려는 욕구. 이 욕구에서 나타나는 감정은 허영과 화려 및 자신감이며, 과장적, 자기극화하는 노출적 성격특성 및 태도가 형성. - 성욕구(Need for Sex)
이성(異性)과 성애적(性愛的) 관계를 형성하여 촉진하는 것, 이성과 함께 행동하고 생활하고 싶어하는 것, 이성의 신체에 접촉하고자 하는 것, 이성에 관한 욕구가 기본이 되어 성적흥분, 성적쾌락 및 사랑의 감정이 생기며, 관능적인 성격특성 및 태도가 형성. - 공격욕구(Need for Aggression)
신체적으로는 힘으로 반대를 극복하는 것, 싸우는 것, 상해에 대해 보복하는 것, 대상에 공격을 가하여 상처를 입히는 것, 죽이는 것 등이며 언어적인 공격으로는 대상을 저주하거나 놀리고 중상모략, 남탓하는 것 등이다. 공격의 욕구는 분노의 정서를 수반. - 자율욕구(Need for Autonomy)
자유롭게 되는 것, 속박을 벗어나는 것, 감옥에서 벗어나는 것, 강제나 속박권위에 저항하는 것, 어떤 것에도 얽매이지 않고 책임을 피하고 인습에 얽매이지 않는 것, 마음대로 하려는 욕구.
- Murray는 욕구들이 서로 유익하게 작용할 수도 있고, 서로 충돌할 수도 있다고 봄. 그는 환경이 행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는데, 환경이 동기와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환경적 억압이라는 용어를 사용함. 이 억압은 내부에서 일어나는 욕구와 상호작용하여 인간의 행동을 일으킨다고 봄.
2) Maslow의 욕구 위계이론 : 인간이 가지고 있는 욕구라는 측면과 관련된 인본주의 심리학의 대표적인 이론
- Maslow에 의하면, 인간은 내적 요구를 갖고 태어나고 이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노력.
- 그러나, 이러한 노력의 궁극적인 방향은 단순히 생물학적 만족이나 긴장의 감소가 아니라 자아실현의 추구라는 점이 중요.
- Maslow의 욕구위계는 인간행동에 있어서 명확한 방향성을 보여줌.
- 그는 아래 그림에서와 같이 가장 우선적이고 기본적인 생리적 욕구에서부터 자아실현이라고 할 수 있는 미적, 인지적 욕구를 포함하는 욕구위계를 제시.
- 생리적욕구(Physiological Needs) - 물, 산소, 음식, 성, 잠 등에 대한 욕구, 추위나 더위로부터의 보호, 감각적 자극에 대한 갈망
- 안전의 욕구(Safety Needs) - 확실성, 예측성, 질서, 안전을 보장받고 싶어하는 욕구
- 애정과 소속의 욕구(Love and Belongingness Needs) - 다른 사람과 애정적 관계를 맺으며, 어떤 준거집단에 응집력 있게 소속되고 싶은 소망
- 자기존중의 욕구(Self-Esteem Needs) - 타인이 자신을 귀하게 여기는 존중감(명성, 존경, 지위, 평판, 위신, 사회적 성공) + 스스로 자신을 존중하여 갖게 되는 존중감(자기믿음, 적합성, 확신, 성취, 지배, 독립, 자유)
- 인지적 욕구(Cognitive Needs) - 지속적으로 지적 호기심 또는 지적 탐구심을 갖는 욕구
- 심미적 욕구(Aesthetic Needs) - 아름다움(완벽한 것, 진실한 것, 정의로운 것)을 추구하는 욕구
- 자아실현의 욕구(Self-Actualization Needs) - 자신의 잠재적 가능성을 최대한으로 실현시키도록 노력하려는 욕구(개인차가 가장 크게 나타나며 '균형'과 '항상성'을 포함하지 않는 욕구
그는 모든 사람이 자아실현을 위해 노력한다고 믿었으며, 우선 하위의 욕구들이 충족됨으로써 상위의 욕구를 자유롭게 추구하게 되고 궁극적으로 자아실현에까지 이르게 된다고 결론지음.
그러나 사람들이 반드시 위계에 따라 행동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비판을 받기도 함.
※ Maslow의 욕구 위계이론의 시사점
- 학생들이 피곤하고 배고프며 혹은 혼란스러운 상태로 학교에 오게 된다면 그들의 학습욕구는 확실히 감소될 것임.
- 또한 교사는 학생들의 자존감이 이들의 동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하며 그들의 동기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자존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함.
- 궁극적으로 Maslow의 이론은 구체적인 학습 내용과 주제들이 학생들의 자아와 욕구에 연결되고 통합되어져야 함을 제안하고 있음.
- 학습에 대한 진정한 욕구는 학생들이 학습하는 내용과 그들 자신의 삶의 관계를 명확하게 인식할 때 생겨남.
<Maslow의 욕구 5계층과 조직에서의 예>
일반적인 예 | Maslow의 욕구5계층 | 조직에서의 예 |
성취 | 자아실현의 욕구 | 도전적직무 |
신분 | 존경에 대한 욕구 | 직위 |
우정 | 소속의 욕구 | 직위 |
안정성 | 안전에 대한 욕구 | 후생복지 |
의식주 | 생리적 욕구 | 기본급 |
3) Alderfer의 생존/관계/성장의 욕구이론 (김석주, 1993)
- Maslow의 욕구계층이념의 영향을 받았지만 Maslow의 이론이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였으며, 이론의 기반을 조직의 실제를 다룬 현장연구에 두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짐.
- Alderfer는 주로 설문지 기법을 사용하여 직장이나 대학 등의 조직생활에 직결된 욕구 체계를 상관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실증적으로 연구. 그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해서 Maslow의 5단계의 욕구수준을 3단계로 수정한 욕구체계이론을 제시했는데, 그가 제시하고 있는 3단계의 욕구란 존재(생존)욕구(existence needs), 관계욕구(related needs), 성장욕구(growth needs)를 말함.
- 존재욕구는 인간의 생존을 위하여 필요로 하는 기본적 욕구로서 다양한 형태의 물질적 및 생리적 욕구와 관련되며 이러한 욕구들이 충족되지 못할 경우 인간의 생존이 위협받게 됨. 여기에는 Maslow가 말한 생리적 욕구와 안전욕구의 일부가 포함. 조직의 직무상황과 관련시켜 보면 보수, 연금, 물리적 작업배경 등 보다 안전한 직무수행을 위한 조건들이 포함.
- 관계욕구는 개인위주의 인간관계나 사회환경 등과 관련한 욕구로서 직무상황에서 타인과의 상호작용이나 사회관계 등이 포함. 특히 개인에게 중요한 의미를 갖거나 우호적인 타인과의 관계가 이 욕구의 핵심. Maslow의 사회적 욕구군에 해당되는 모든 욕구와 안전욕구, 존경욕구군에 속하는 것 중의 일부도 Alderfer의 관계욕구에 해당.
- 성장욕구는 직무상황에서 개인의 창조와 성장을 위한 것과 관계되는 모든 욕구들이 포함되며, 이러한 성장욕구의 충족은 직무에 있어서 개인능력의 최대한 발휘와 새로운 능력의 발전을 필요로 하는 과제에 종사함으로써 이룩된다는 것. 이 욕구의 범주에는 Maslow의 자아실현의 욕구와 존경욕구군의 일부 요인이 해당.
<Maslow와 Alderfer의 욕구체계 비교>
Maslow | Alderfer |
자기실현 자기확신의 자존심 | 성장욕구 |
대인관계의 자존심 소속·애정애 대인관계의 안전 | 관계욕구 |
물리적 안전 생리적 안전 | 존재욕구 |
출처: Clayton P. Alderfer, Existence, Relatedness, Growth(New York: The Free Press, 1972), p.52
<내용이론의 비교>
Need | Maslow | Alderfer | McClelland | Herzberg |
생리적 욕구 (Physiological Need) | 생리적 욕구 | 존재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 | | 위생요인 |
안전의 욕구 |
|
정신적 욕구 (Psychological Need) | 사회적 욕구 | 친화욕구 | 동기요인 |
존경의 욕구 | 성취욕구 |
자아실현의 욕구 | 권력욕구 |
출처: 박연성. 현대조직행동론. (서울: 박영사, 1988), p. 349
4. 성취동기이론
1) McClelland의 성취동기이론
McClelland는 개인마다 다른 욕구위계구조가 모두 과거의 정서경험과 연결되어서 학습된다고 주장. 그의 관점은 Maslow가 욕구위계를 생태적이며 모든 인간에 공통된다고 보는 이론과 대조적.
McClelland와 공동연구자들(1953)은 성취동기를 성공을 추구하려는 비교적 안정된 경향성이라고 봄. 즉, 성취욕구란 우수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 탁월성의 기준(standard of excellence)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려는 욕구.
성취욕구가 행동을 일으키는 이유는 행동을 통해서 이 목표의 달성에 성공하면 유쾌하였다는 이전의 경험이 있었기 때문. 다시 말해 성취와 연결되어 있는 긍정적 감정이 있기 때문에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됨. 그런데 개인마다 과거에 성취를 통해서 유쾌한 경험을 얻은 수준이 다르므로 성취동기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강도도 사람마다 서로 다르게 나타남.
McClelland는 모든 동기는 학습된 것으로 보고 학습개념(learning concept)에 기초한 동기부여이론을 제시. 그는 동기란 장래 얻고자 하는 목표반응에 의해서 설명될 수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과거의 쾌락이나 고통과 연합되어 있는 일정한 단서들에 의해서 일어나는 강한 감정의 연합체(affective association)라고 말하고, 개인이 갖는 욕구들은 사회문화적인 환경에서 학습을 통해서 습득되는 것이라 하면서, 이들 욕구를
① 성취욕구(need for achievement) ② 친교욕구(need for affiliation) ③ 권력욕구(need for power)의 3가지로 구분.
- 성취욕구란 해결하기 어려운 도전적인 일을 성취하려는 욕구, 물자와 인간 그리고 사상을 지배하고 관리하려는 욕구, 이와 같은 욕구를 신속히 수행하려는 욕구, 모든 장애요인을 스스로 극복함으로써 높은 수준을 달성하려는 욕구 등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욕구를 가진 자는 이를 위해 일정한 표준을 설정, 달성하고 나아가 표준을 능가하려는 성향을 보임.
- 친교욕구란 다른 사람들과 사회적으로 친근하고 밀접한 관계를 맺고자 하는 욕구를 말하는 것으로 높은 친교욕구를 가진 사람들은 인간관계의 질에 대하여 높은 관심을 가짐. 따라서 이들에게 사회적 관계는 업무의 성취보다 우선.
- 권력욕구란 타인에게 영향력과 통제력을 행사하고자 하는 욕구를 말하는 것으로 높은 권력욕구를 가진 사람은 권력과 권위를 귀득하고 행사하는데 초점을 둠. 이러한 권력은 두가지의 상이한 정향성을 갖는데, 즉 그것을 행사하는 인간이 우월성과 복종을 강조 한다는 점에서는 부정적이며, 설득력있고 고무적인 행태를 반영한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임 (김석주, 1993).
*성취동기이론의 이용
맥클랜드의 성취동기이론은 세 가지 욕구의 분류에 따라서 종업원을 알맞은 직무에 배치함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권력욕이 강한 사람은 타인의 권력이 미치는 직무에 배치하는 것보다는 자기가 타인에 행동을 통제하는 직무에 배치하는 것이 동기부여가 되고, 친화욕이 강한 사람은 독립적으로 직무를 수행하는 곳에 배치하는 것보다는 다른 사람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직무에 배치하는 것이 동기부여의 효과가 있고, 성취욕이 강한 사람은 도전할 가치가 없거나 우연에 의해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직무보다는 개인에게 많은 책임과 권한이 주어지는 도전적인 직무에 배치하는 것이 동기부여가 된다. 2) Atkinson의 성취동기이론
- 성취동기(achievement motivation)는 도전적이고 어려운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려는 욕구(Atkinson, 1980, 1983)라 정의할 수 있음.
- Murray에 의해서 처음 제시 되었지만 이후 D. McClelland와 J. Atkinson에 의해서 보다 체계적으로 발전.
- Murray는 정의적인 측면 중시, McClelland와 Atkinson은 기대-가치라는 인지적 측면 강조
- Mclellnad(1985)는 아동들에게 성취에 대한 보다 높은 욕구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믿음. Atkinson은 성취하고자 하는 욕구를 실패회피 동기와 함께 설명함으로써 성취 동기를 이해하는데 보다 유용한 시각을 제시함.
- 성취동기 - 성공추구동기(Ms), 실패회피동기(M AF)
- 성공추구 동기가 높은 학생은 실패회피동기가 높은 학생들에 비해 중간정도의 난이도 과목에 접근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며, 실패회피동기가 높은 학생은 과목에 대한 실패를 감수하면서도 어려운 과목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음. 이는 자신의 실패를 과목의 난이도에 귀인 시키려는 목적이며, 이러한 현상은 학생들의 실제적인 학업성취에 도움을 주지 못함. 반면 성공추구동기에 의해서 동기화되는 학생들은 지나치게 비현실적인 어려운 과제에도 도전하지 않음. → 성공추구동기가 높은 집단은 적절한 학습동기를 형성함으로써 학교 학습 수행능력을 높일 수 있게 됨.
- 성취동기가 높으면 적절한 목적을 설정하게 되고, 학습과제 수행과정에서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으나, 성취동기가 낮거나 실패회피동기가 높으면 자신의 능력에 비해 지나치게 높거나 낮은 목표를 갖게 되고 과제 수행에 심혈을 기울이지 않는 결과를 나타냄.
| Ms > M AF | Ms < M AF |
성공 | 동기 감소 | 동기 증가 |
실패 | 동기 증가 | 동기 감소 |
- 성공추구 동기를 갖는 학생들은 학습과제를 실패 했을때 성취동기가 증가하게 되고, 실패 회피동기를 갖는 학생들은 학습과제를 성공했을때 성취동기가 증가.
3) Horner의 성취회피동기이론
- Horner의 이론은 성공의 두려움(fear of sucess)이론 또는 성공회피동기(sucess avoidance motive)이론이라고 부름. 이 이론은 Atkinson의 성취동기이론을 일부 확장한 이론.
- Atkinson은 성공에 대해서 사람마다 일정한 크기의 긍정적 가치만 부여한다고 보는데 Horner의 주장은 사람은 성공에 접근하려는 동기는 단일하게 긍정적 감정만을 지니지 않고, 성공에 대해서 양가감정(ambivalnce)을 지니기 때문에 접근하려는 감정과 어울러 회피하려는 감정도 동시에 지님.
- 성취행동을 이해하려면 Atkinson의 기대*가치모형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성공에 대한 회피경향을 다루어야 함. Horner는 이 제 3의 성취욕구를 성공회피동기라고 부르고, 성공을 회피하려는 강도를 성공회피경향이라고 부름.
- Horner의 이론은 성취동기에서 나타나는 성별 차이를 연구하려는 시도에서 출발. 하지만, 최근에는 성공의 두려움이 여성에게만 국한되지 않고 남성도 지니는 욕구의 개인차 요인이라고 봄(1978). 최근 이론에서 성공회피동기를 여성과 관련시켰던 점에 비추어 보면 이 러한 변화는 일반이론으로 발전되었음을 나타냄.
- 성공의 두려움을 나타내는 성공회피동기는 성공접근동기, 실패회피동기, 친화동기 혹은 배척회피동기 등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동기임. 또한 이 이론으로 성별에 따른 성취행동의 차이를 예언할 수 도 있음. 그러나 이 성차는 사회문화의 조건, 학습, 혹은 특수한 상황이나 맥락 요인들의 영향에 의해서 나타난 결과임. 따라서 성공회피경향은 인종이나 연령에 따라서 다를 수 있음.
5. 귀인이론(attribution theory)
: 귀인이론이란 사람들이 어떤 행동을 보고 그 원인이 무엇인가를 추리하려고 할 때 사용하는 규칙들에 관한 문제를 탐구하는 것을 말함. 즉 행동의 원인을 설명하고 예언하려는 이론임. 대표학자는 Weiner. 사람(또는 학생)이 자신의 성공과 실패에 대한 원인을 이해하려고 시도하며, 이러한 원인에 대한 귀속성이 그들의 미래 행위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다는 이론임. 성공이나 실패의 원인이 자신의 노력이나 능력 등의 내적 원인이라고 생각하는 경우와 우연한 결과나 운 등의 외적 원인이라고 생각하는 경우는 후속 행동에 차이를 가져올 것임을 가정.
1) 귀인이론의 개요
- 기본가정
- 지각된 행동의 원인은 내적 원인과 외적 원인으로 구분
- 투입되는 자극 정보와 인지 구조 및 원인적 추론 간에는 법칙성이 존재
- 행동의 원인적 추론은 인간이 나타내는 다양한 행동을 예측할 수 있음.
- 귀인이론의 성격
- Lewin의 장이론에서 출발하여 Rotter와 deCharms는 행동의 지각된 원인을 단일 차원에서 설명하고자 하였으나 이 이론은 다음에 오는 결과를 설명하는데 제한이 있으므로 다차원적인 측면에서 접근해야 함
- 미래의 행동이 사람의 신념체계와 이전 결과에 대한 지각된 원인에 의해 영향을 받음
2) 귀인이론의 구성요소
- 귀인추론의 구성요소
- 특정한 정보 단서 : 개인의 과거 성공 경력, 선행수행, 사회적 기준 등
- 원인 도식 : 개인의 내적 인지구조로서 사건과 관련된 원인들에 대해 가지는 개인의 일반적 신념
- 개인적 성격 : 개인의 성격이 귀인추론에 영향을 줌
- 귀인의 차원
- 책임소재차원(원인의 위치(locus control): 내적 귀인 vs 외적 귀인
선행학업성취에서의 성패의 원인을 학생 자신에서 찾느냐(내적귀인), 아니면 외부에서 찾는가(외적귀인)로 구분함. 내적귀인에는 능력, 평소노력, 일시노력, 시험중 컨디션 등이 외적기인에는 타인의 도움, 과제난이도, 운 등이 있음. - 안정성 차원(concept of stability) : 안정적 vs 불안정적 선행 학업성취결과의 성패원인을 시간이 경과되거나 상황이 바뀌어도 비교적 항상성을 띄느냐(안정), 때와 상황에 따라 수시로 변할 수 있느냐(불안정)로 구분함. 안정성 차원에는 평소 노력, 능력, 평소타인도움, 과제난이도 등이 불안정성 차원에는 일시노력, 시험중 컨디션, 운 일시타인의 도움 등이 있음
- 통제성 차원 : 통제가능 vs 통제 불가능
학습자가 성패의 원인을 스스로 통제할 수 있는가 여부로 정의를 내리고 있으며, 통제가능성 귀인으로는 평소노력, 일시노력, 타인도움 등이 통제불가능성 귀인으로는 능력, 시험중 컨디션, 과제난이도, 운 등이 있음 → 노력의 유형(벼락치기), 타인의 도움에 차이가 있음
- 귀인의 종류
- 능력 : 선행학습성취에 대한 원인을 자신이 능히 감당해 낼 수 있는 힘으로 귀인하는 정도
- 노력 : 선행학습성취에 대한 원인을 자신이 노력한 결과로 지각하는 정도를 의미하며, 평소노력과 일시노력으로 세분함.
- 과제난이도 : 학업성취 결과에 대한 성패의 원인을 그 시험의 어려운 정도로 지각하는 정도
- 운 : 선행과제에서의 성취결과에 대한 원인을 운수 또는 재수가 있냐/없냐로 지각하는 정도
- 타인도움 : 선행학습성취결과에 대한 성패의 원인을 타인의 조력에 귀인하는 정도
<Weiven의 귀인유형 (Weiner, 1979; 나일주, 2007에서 재인용) >
귀인특성 | 통제 가능 | 통제 불가능 |
안정 | 불안정 | 안정 | 불가능 |
내 | 평소노력 | 일시적노력 | 능력 | 기분 |
외적 |
|
| 과제곤란도 | 운 |
3) 학습을 위한 원리
- 교실내 귀인 형성의 요소
- 낮은 성취 학생에 대한 교사의 행동
- 학생에 대한 교사의 피드백
- 학생 특성의 고려
- 교실 수업 분위기의 개선
- 귀인 이론의 시사점
- 교사는 학습자의 현재 행동을 고정된 것을 생각하지 말고 학습자를 적극적인 지원
- 교사는 학습자의 현재 행동을 고정된 것을 생각하지 말고 학습자를 적극적인 지원
- 귀인 성향은 학생들이 학교에서 경험하는 학업성취의 성패에 달려 있음
- 경쟁적인 것보다는 개별화 혹은 협동적인 학습 상황에서 학습이 유용
6. 형평이론(Equity theory) - 형평이론은 Adamas(1965)에 의해서 조직심리의 이론으로 발표된 이후 활발히 연구 진행. 후에 Walster, Berscheid와 Walster(1973, 1976)는 이 이론을 일반성이 높은 사회심리이론으로 수정하여 제안.
- 사람들은 소속된 집단이나 타인에게서 받는 보상 또는 대우에 대해 얼마나 공평(fair)하다고 느끼는가? 이러한 개인의 인식을 잘 설명하는 이론은 흔히 배분적 정의이론(distributive justice theory) 또는 형평이론(Equity theory)이라 불리는 이론임. 형평이론의 가장 중요한 관심사는 사람들은 어떠한 상황에서 자신이 공평하게 대우받고 있다고 느끼며, 자신이 불공평한 관계속에 있다는 것을 발견할 때 어떻게 반응할 것인가 하는 것임.
- 형평이론의 핵심은 자신이 타인과 비교해서 형평의 원리에 어긋나게 대우를 받으면 동기가 유발된다는 데 있음. 즉, 개인이 얻으려고 기대하여 투입한 수준에 비해서 실제로 얻게 된 결과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음. 형평이론에서는 이 비율을 같은 방식으로 산출한 타인의 비율과 비교하여 형평의 원칙에 어긋나면 동기가 유발된다고 가정.
- 이러한 의미로 보면, 형평보다 불형평(inequity)이 핵심이므로 불형평이론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음.
- 형평이론은 교환의 주체들이 주고받는 기여(투자)와 보상이라는 메커니즘에 초점을 맞추어 보상분배의 정의를 설명. 공평이나 정의가 인간관계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은 크게 두가지 이유 때문임.
첫째, 공평성이라는 것이 사회생활을 지탱하는 기본 원칙 중의 하나로 모든 사람들이 바람직하다고 여기는 덕목.
둘째, 물질, 권력, 서비스, 명예 등 대부분의 사회 구성원들이 추구하는 가치 있는 재화가 제한되어 있는 현실속에서, 그 재화를 어떻게 분배하는가 하는 것이 개인의 이익과 직결되는 문제라는 사실 때문임. 즉, 공평이라는 것은 사람들이 추구하는 유리한 결과를 얻는 것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Lipponen et al., 2004, 재인용).
- 형평이론에 따르면 어떤 개인의 투자나 기여에 상응하는 보상이 주어질 때 공평 또는 정의가 성립. 그러나 각 개인의 기여에 따라 비례적으로 보상을 제공한다 하더라도 그 보상체계가 공평하다는 인식을 모든 사람들에게 심어주기 힘듦. 그것은 사람들이 자신의 기여나 투자에 상관없이 동등한 보상을 요구하거나, 개인들의 사정이나 욕구에 따른 보상을 공평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임.
- 형평이론은 각각 독립해서 발표되어서 잘 알려진 이론들을 배경으로 삼고 있음. 이 이론들은 인지부조화이론(cognitive dissomance theory), 분배공정성이론(distributive justice theory), 교환이론(exchange theory)등이 포함됨.
- 인지부조화이론: 인간이 지니고 있는 여러 인지들이 서로 모순되지 않을 경우 안정되게 조화된 상태로 가정. 그러나 만약 두개 이상의 인지들이 서로 조화되지 못한 경우 내부에 긴장을 유발하기 때문에 이 긴장을 해소하려는 경향이 생긴다고 주장. 이 이론을 근거로하여 형평이론에서는 형평에 관련되는 인지들이 부조화를 이루면 긴장이 유발된다는 가정을 도입.
- 분배공정성이론: 경제행동을 모형으로 성립. 개인이 받는 보상에서 지출한 비용을 뺀 성과의 값이 개인의 투자와 비례하지 않는 조건에서 불쾌를 경험하며 분노나 죄책감과 같은 정서를 보이게 된다고 주장. 형평이론에서는 이 이론 가운데 성과와 투자가 비례하지 않는 조건과 이 때 경험하는 정서를 이론에 도입.
- 교환이론: 대인관계에서 상대방과 교류하면서 부담과 보상이 동등한 수준으로 서로 교환된다고 가정. 경제에서 교환의 관점과 학습이론을 배경이론으로 삼고 행동주의의 인간모형을 수립하여 성립됨. 형평이론에서는 이 교환이론을 활용하여 교환관계에 있는 사람들이 자신과 상대방의 부담과 보상에 대해서 공정성을 어떻게 지각하는지 이론으로 설명함.
- 이 이론들을 바탕으로 한 형평이란 대인관계에서 개인이 얻은 성과에 비해서 소비한 투입의 비율을 자기와 관련있는 타인의 성과-투입의 비율과 비교했을 때 두 비율이 동일한 경우로 정의. 만약에 불형평한 관계가 존재하면 이 불형평상태가 긴장을 일으키기 때문에 불형평을 제거하려는 동기를 유발하려는 원인이 됨. 인간이 타인과 비교하는 과정이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은 형평이론에 앞서 Festinger(1954)가 제안. 이를 사회비교이론(social comparison theory)이라고 하고 이 이론 역시 형평이론과 암묵적으로 연결되어 있음.
* 형평이론의 동기과정
1. 불형평의 지각이 개인에게 긴장을 유발.
2. 개인이 경험하는 긴장의 총량은 불형평의 크기와 비례.
3. 개인 내에서 유발된 긴장은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개인을 동기화.
4. 불형평을 경감시키려는 동기의 강도 역시 지각한 불형평의 크기에 비례.
7. 기대-가치이론(expectancy-value theory)
- 최근 동기연구의 동향은 인지적 입장에 초점을 두고 활발하게 접근되고 있는데, 동기의 인지적 접근에 토대를 두면서 학생의 동기를 개념화하기 위한 이론적 틀로 최근 주목 받고 있는 것이 기대-가치 이론(expectancy-value theory)
- 동기란 개인의 목표 도달에 대한 기대와 가치의 산물이라는 것. 즉, 인간은 자신이 성공할 것이라는 기대에 그 성공에 대한 개인이 부여하는 가치를 곱한 값만큼 동기화됨. 이 모형에서는 세 가지 동기적 요소가 있음을 제안(Pintrich & DeGroot, 1990).
- 첫째 요소는 과제수행 능력에 관한 학생들의 신념을 포함하고 있는 기대적 요소
- 학생 동기의 기대적 요소는 동기에 관한 문헌에서 지각된 유능감, 자기효능감, 귀인양식, 통제신념 등 여러 가지 방식으로 개념화되어 왔지만, 그 기본적인 것은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는 학생들의 신념과 학업수행에 대한 책임이 자기자신에게 있다는 신념.
- 이런 의미에서 기대적 요소는 “나는 이 과제를 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학생들의 대답을 포함하고 있음.
- 기대적 요소의 여러 측면은 학생들의 초인지(metacognition), 인지전략(cognition strategies)의 사용, 노력관리(effort management)와 관련이 되어 옴
- 일반적으로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고 믿는 학생들이 과제를 수행할 수 없다고 믿는 학생들보다 상위인지와 인지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며, 과제에 더 지속적으로 몰두하는 경향이 있음을 연구결과(Schunk, 1985 )로 제시
- 둘째 요소는 학생들의 과제에 대한 목적과 과제의 중요성과 흥미에 관한 신념을 포함하고 있는 가치적 요소. 비록 이 요소는 학습목표 대 수행목표, 내적 지향과 외적 지향, 과제가치 및 내적 흥미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개념화되어 왔지만, 본질적으로 학생들의 과제수행에 대한 이유에 관심을 둠
- “나는 왜 이 과제를 해야만 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학생들 개개인의 대답이 무엇이냐 하는 것.
- 연구결과(Ames & Archer, 1988)에 따르면, 과제는 흥미 있고 중요하다고 믿으며, 숙달목표, 학습목표, 도전적인 목표를 포함한 동기적 지향을 지닌 학생들이 보다 더 초인지적 활동, 인지전략 사용, 효과적인 노력 관리를 함.
- 셋째 요소는 과제에 대한 학생들의 정의적 혹은 정서적 반응을 포함하고 있는 정의적 요소
- 이 동기적 요소는 “나는 이 과제에 대해서 어떻게 느끼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학생들의 대답이 무엇이냐 하는 것.
- 이와 관련된 정서적 반응은 분노, 자부심, 죄책감 등 다양하지만, 학교학습 상황에서 볼 때 가장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시험불안. 시험불안은 학생 자신의 능력에 대한 지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Nicholls(1976)의 연구에서 밝혀짐
8. 제어이론(control theory)- 인간이 얻기를 바라는 기준과 비교하면 대체로 실제 얻은 결과는 이 기준에 미치지 못하므로 차이(discrepancy)를 경험하기 때문에 동기가 유발된다고 가정.
- 행동결과를 지각하며 이 정보를 환류(feedback)하기 때문에 동기가 유발된다고 주장
- 제어이론은 최근까지 여러 다른 동기이론들로부터 중요한 요소들을 추가하여 새로운 발전을 모색. 그러나 최근에 제어이론은 인간의 동기와 정서 그리고 행동의 자기조절 과정을 다루는 이론으로서 많이 연구.
- 제어이론은 Weiner(1984, 1950)의 인간두뇌공학(cybernetics) 이론을 발전시켜 수립. 그 후 이 이론은 Power(1973)의 연구를 통해서 이론의 기초가 확립되었고, Carver와 Scheier(1981, 1998)에 의해서 일반이론이 확장되고, Hyland(1981)와 Lord와 Klein(1989)이 산업조직에서도 적용 됨.
- 제어이론은 제어 시스템의 안정과 변화에 관한 조망을 제공(Keeney&Ross, 1983:전겸구,1992재인용).
- Carver와 Scheier의 제어과정
개인이 지니는 준거가치(reference value)란 개인이 행동을 실제로 수행한 결과로서 산출된 행동을 비교하게 되는 기준 혹은 목표를 의미. 이 기준 혹은 목표는 수행된 행동의 결과와 함께 비교기(cooperator)에 투입되어서 차이를 지각. 그런데 대부분 준거가치에 비해서 실제로 산출된 행동은 이에 미치지 못하여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많으므로 차이를 감소시키려는 동기가 유발. 이처럼 초기 제어이론에서는 지각된 차이를 줄이는 방향으로 동기가 작동된다고 가정.
< 제어시스템의 특징 >
- 제어시스템은 바람직한 상태(desired state)를 추구.
- 제어시스템은 바람직한 상태와 실제상태를 비교해서 가능한 한 실제 상태가 바람직한 상태와 비슷한 수준에 위치하도록 작동. -바람직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제어 시스템은 환경에 영향을 준 후, 다시 그 영향에 대한 정보를 받아들임(feedback). 그러나 때로 환경으로부터의 영향을 되받는 대신, 미리 시스템을 환경에 대비케 하는 정보를 송출함으로써 바람직한 상태를 유지하기도 함(feedforward).
- 만약 실제 상태가 바람직한 상태의 허용범위 안에 놓이면 제어 시스템은 일상적인 기능을 작동하나, 만약 실제 상태가 바람직한 상태로부터 크게 벗어나면, 제어 시스템은 모든 기능을 작동하여 이러한 차이를 줄이도록 작동(negative feedback mechanism). 그러나 때로는 실제 상태와 바람직한 상태 간의 차이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동하기도 함(positive feedback mechanism).
- 제어시스템은 지속적 상태(steady state)와 이행적 상태(transient state)간의 교대적 상태에 놓임.
- 제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몇 가지의 기본 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구성 요소들은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피드백 기제에 의하여 역동적으로 상호 영향을 주고 받음(dynamic state).
9. 자기조절이론 : 동기를 자기이론이나 자기조절이론에서 설명하는 학자들은 인간이 자신에 관해서 지니는 지식이나 신념에 따라서 동기의 성질이나 강도가 달라진다고 함.
1) 자기조절 학습전략
자기조절 학습전략을 사용한다는 것은 학습전략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어떻게 그리고 언제 학습전략을 효율적으로 사용해야 하는지를 알고 있으며, 또한 학습전략을 활용했을때, 이것을 계속적으로 조절하고 관리한다는 것을 의미.
2) 자기조절성
- 학습전략을 이해하고, 적절한 상황에 이를 사용하는 것을 ‘인지전략의 사용(use of cognitive strategy)’이라고 하며, 학습전략을 조절하고 관리하는 것은 ‘자기조절성(self-regulation)’이라고 함.
- 자기조절성이란 관련된 학습전략들을 사태에 적용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학습전략을 적절한 상황에 적용하며, 이를 평가하여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말함.
- 자기조절성에는 상위인지(metacognition)와 노력관리(effort management)등이 포함됨.
- 상위인지란 효과적인 전략을 선택하고 실행하게 하는 지식과 조정을 말하며, 계획(planning), 모니터링(monitoring) 등이 있음. 인지전략의 사용이 목표를 성취하는 구체적인 전략을 사용함을 의미한다면, 상위인지는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모니터링하고 평가하며 반성하는 것을 의미.
- 노력관리란 진행과정이 어렵거나 지루하더라도 지속하기 위한 자기강화나 노력을 통해 인내하고 근면하게 작업하게 하는 것을 의미.
10. 교육공학과 동기이론 1) Keller의 학습동기이론(ARCS)
- Keller에 따르면 동기란 간단히 말해 "노력의 방향과 세기" 이며, "특정한 경험 또는 목적을 향해 접근하고 회피하는 것에 대한 선택인 동시에 얼마만큼의 노력을 쏟아야 할 지에 대한 선택으로 행동의 방향과 세기에 의해 드러난다" 라고 설명 (Keller, 송상호, 1999)
- 주의력(Attention) : 학습동기에서 첫 번째 요소로써 거의 모든 학습이론들이 학습에 있어서 주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음.
- 관련성(Relevance) : 이 과제가 나의 개인적 흥미나 삶의 목적과 어떻게 관련이 있는가에 대한 긍정적인 해답을 제시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학생들의 과거 학습경험, 지금 성취하려고 하는 것, 미래에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 현재 학습하게 될 내용 간에 서로 관련을 맺고 있을 때 그 학습내용이 적절성을 지니고 있다고 파악.
- 자신감(Confidence) : 학습과제를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을 것이라는 신념을 갖게 될 때 유발되며, 어떤 목표를 성취하는데 있어서 학습자가 지니고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은 실제의 능력수준과 깊은 관련성을 맺고 있지 않음. 즉 자신감이 높은 사람은 실제의 능력수준보다는 더욱 높은 성취를 이루는 경향이 있음.
- 만족감(Satisfaction) : 성공적인 학습행위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음. 학습행위에서의 만족감은 학습자의 자신감, 주의집중, 장기목표와 학습활동과의 관련성 파악 등의 자기 관리 기능 및 인지전략을 개발시켜 줌.
개넘 & 과정 질문 | 주요 지원 전술 |
주의집중(Attention) 학습자의 주의집중을 어떻게 유발하고 유지시킬 수 있는가? |
A1. 지각적 각성 흥미를 끌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 새로운 접근을 사용하거나 개인적, 감각적 내용을 넣어 호기심과 놀라움을 만들기. |
A2. 탐구적 각성 탐구하는 태도를 어떻게 유발할까? | 질문, 역설, 탐구, 도전적 사고를 양성함으로서 호기심을 증진시키기. |
A3. 변화성 그들의 주의집중을 어떻게 지속시킬 수 있을까? | 자료제시 형식, 구체적 비유, 흥미있는 인간적인 실예, 예기치 못했던 사건들의 변화를 통해 흥미를 지속하기. |
관련성(Relevance) 이 수업이 어떠한 측면에서 학습자에게 가치로울 수 있는가? |
R1. 목적지향성 학습자의 요구를 어떻게 최적으로 충족시켜 줄 수 있을까?(내가 그들의 요구를 아는가?) | 수업의 유용성에 대한 진술문이나 실예를 제공하고, 목적을 제시하거나 학습자들에게 목적을 정의해보라고 하기. |
R2. 모티브 일치 수업을 학습자의 학습양식과 개인적 흥미에 언제, 어떻게 연결시킬까? | 개인적인 성공기회, 협동학습, 지도자적 책임감, 긍정적인 역할 모델 등의 제공을 통해 학습자 동기와 가치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수업을 만들기. |
R3. 친밀성 수업과 학습자의 경험을 어떻게 연결시킬까? | 구체적인 실예와 학습자의 학습이나 환경과 관련된 비유를 제공하여 교재와 개념들을 친밀하게 만들기. |
자신감(Confidence) 학습자들이 자신의 통제하에서 성공하도록 하기 위해 어떻게 도와줄 수 있는가? |
C1. 학습요건 성공에 대한 긍정적 기대감을 어떻게 키워줄 수 잇을까? | 성공요건과 평가준거에 대해 설명하여 믿음과 긍정적 기대감을 확립하기. |
C2. 성공기회 자신의 역량에 대한 믿음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경험을 어떻게 제공할까? | 학습의 성공을 증가시키는 많은 다양한 도전적인 경험을 제공하여 역량에 대한 신념을 증가시켜주기. |
C3. 개인적 통제 학습자가 자신의 성공이 스스로의 노력과 능력에 의한 것이라고 어떻게 알 수 있을까? | 개인적인 통제(가능할 대마다)를 제공하는 기법을 사용하고, 개인적 노력 때문에 성공했다는 것에 대해 피드백을 제공하기. |
만족감(Satisfaction) 학습자들이 그들의 학습경험에 대해 만족하고, 계속적으로 학습하려는 욕구를 가지도록 하기 위해 어떻게 도와줄 수 있는가? |
S1. 내재적 강화 학습경험에 대한 학습자들의 내재적 즐거움을 어떻게 격려하고 지원할까? | 개인적 노력과 성취에 대한 긍정적 느낌을 제공할 수 있는 피드백이나 정보를 제공하기. |
S2. 외재적 보상 학습자의 성공에 대한 보상으로 무엇을 제공할까? | 언어적 칭찬, 실제적이거나 추상적인 보상, 인센티브를 사용하거나, 학습자들로 하여금 그들의 성공에 대한 보상을 제시하도록 하기. |
S3. 공정성 공정한 처리에 대한 학습자들의 지각을 어떻게 만들어 줄까? | 진술된 기대와 수행요건을 일치시키고, 모든 학습자의 과제와 성취에 있어서 일관성 있는 측정기준을 사용하기. |
2) 집단수행과 조직 창의성의 동기이론
(1) 집단수행과 동기
- 사람들은 개인으로 과제를 수행하는 경우와 달리 집단으로 수행하게 되면 과제를 수행하려는 동기에서 여러 가지 독특한 현상을 보이게 된다. 그러므로 집단으로 수행하면서 개인에게 나타나는 동기의 손실이나 증가에 따라서 집단수행의 수준도 달라지게 된다.
- 집단으로 과제를 수행하게 되면 개인으로 수행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때에 따라서 개인이 노력을 낮추거나, 높일 수도 있으며, 심지어는 집단에서 다른 사람들이 노력을 하지 않는 경우에 그 사람의 몫을 자신이 맡아서 개인이 노력을 더 높이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2) 팀구축(team building)이론에서 동기의 영향
- Hackman(1990)은 소집단의 수행을 높이기 위해서 실무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팀구축기법을 중심으로 변화계획을 마련하여 현장에 도입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 집단수행의 유효성이론을 근거로 마련한 팀구축 기법이 집단에 현존하는 대인관계와 사회풍토를 바꿈으로써 집단성원들이 과제에 관해서 지니고 있는 지식, 기술, 전략들을 활용하는 능력을 개발하고, 동기를 높이는데 유용하다고 보았다.
- 팀구축 도입기법은 비록 집단과제의 수행에서 집단성원들의 동기를 높이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구성원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행동의 상호작용 과정을 변화시킴으로써 집단수행의 유효성에 기여할 수 있다고 가정.
- 집단의 과제수행을 증진하는 조건들의 조성(Hackman, 1990)
집단수행 유효성의 과정준거들 | 수행증진 조건별 핵심 요인들 |
집단구조 | 조직의 맥락 | 지도와 자문 |
충분한 노력 | 집단 과제의 동기 구조 | 조직의 보상체계 | 성원들의 협응을 고정하고 집단 몰입을 구축 |
충분한 지식과 기술 | 집단의 구성성분 | 조직의 교육체계 | 성원들의 투입 가중치들이 부적절한 점을 교정하고 훈련을 촉진 |
과제에 적합한 수행전략들 | 성원들의 행동을 조절하고 검색과 기획을 촉진하는 규범 | 조직의 정보체계 | 변화계획의 도입에 따른 문제들을 교정하고 전략개발에서 창의성 촉진 |
- 팀구축 이론의 평가: 개인주의 문화를 지닌 서구의 조직에서 개인정체성을 벗어나서 집합으로 사회정체성을 획득함으로써 집단의 유효성을 확보하는 과정을 다룬다고 볼 수 있다. 예전의 한국사회는 집합주의로 여겨졌으나 최근 집합주의와 개인주의가 혼재하는 방향으로 변모를 겪고 있으므로 한국 조직에 맞는 실증적 검증이 필요하다. 또한 한국조직에서 팀구축과 같은 집단의 개발 기법이 성원의 동기를 높이는데 좋은 효과를 보인다고 가정할 수 있는 조건을 해명하여 새로운 이론의 개발이 필요하다.
(3) 조직창의성과 동기
- 창의성은 개인마다 추구하는 삶을 이루는데 중요한 요인이다. 개인의 과제 수행에서 질을 높여서 다른 사람들과 달리 독특하고 우수한 업적을 쌓는 일이 개인의 성장에 매우 중요하다. 또한 집단이나 조직에서도 역시 경쟁력을 높이려면 창의성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조직의 성원들이 지니고 있는 창의성을 높이기 위하여 조직혁신 등을 통해서 조직 수준에서 조직구조를 변경하기도 하고 새로 팀을 구축하여 변화계획을 도입하기도 한다.
<창의성의 체계모형(Amabile, 1996)> 1. 창의적 산물이 창조되는 과정을 시작하고 유지하도록 하는 과제동기(task motivation). 2. 창의성이 산출과정에서 문제해결의 방도나 산출의 평가 기준 등에 사용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영역기술(domain-relevant skils). 3. 창의성을 산출하는 과정을 전담하는 조절하게 되는 창의성 기술(creativity-relevant skils). - 창의성 과제를 수행하려는 내적 동기가 높은 경우에도 외부통제나 외부보상이 통제기능을 하지 않고 정보기능을 지니게 되면 내적 동기가 저하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조직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1. 창의적 사고: 개인이 지니는 개인차 요인들을 말한다. 특히 문제르 ㄹ발견하고, 아이디어를 개발하고,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개인의 능력이 핵심이 된다. 이 요인에서 문제해결의 단계에서는 확산적 사고와 아울러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이 자주 지적된다.2. 창의성동기: 창의성 과제에 대한 내적동기와 외적동기로 구성된다.3. 전문영역 기술: 창의성의 내용에 관련되는 지식, 정보, 기술, 경험들에 의해서 형성4. 창의성 문화: 창의적 과제를 수행하는 사회상황의 특징을 말하는데, 특히 집단에나 조직의 문화에서 창의적 수행을 촉진하거나 저해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구성 - 창의성 모형은 체계접근의 관점에서 개인, 집단, 혹은 조직이 창의적으로 과제를 수행하는 데 상대적으로 취약한 요소들을 진단하는 데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 관점에서 취약점을 개선하고 장점은 더욱 보완하는 방향에서 개인, 집단, 조직의 창의성을 높이는 데도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김석주(1993). 동기부여 이론에 대한 소고(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공공정책연구, 11(2), 1-14.신연경 (2001). 시설보호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욕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이혜주 (2008). 아동의 자기조절 학습전략과 관련이 있는 자기결정성 동기 유형분석. 아동학회지, 29(3).임규혁(2004).
학교학습 효과를 위한 교육심리학. 학지사: 서울DM
전겸구(1992). 대처기제 이해를 위한 포괄적 시론: 제어 이론적 조망. 한국심리학회지.11(1)정종진, 이정( ). 기대-가치모형에 근거한 인지적 동기변인과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와의 상관분석. 초등교육연구논층, 18(1), 187-213.정종진(1996). 동기연구의 인지적 경향과 그 교육적 시사. 교육심리연구, 10(1), 93-121. 나일주 (2007). 교육공학 관련 이론. 서울: 교육과학사.Ames, C. & Archer, J.(1988). Achievement goals in the classroom: Student learning strategies and motivation process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 260-267. Keller, J. M., 송상호 (1999). 매력적인 수업 설계. 서울 교육과학사.Pintrich, P. R. & De Groot, E. V.(1990). Motivational and self- 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40. Schunk, D. H.(1985). Self-efficacy and school learning. Psychology in the Schools, 22, 208-223. http://cafe.naver.com/boram2.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