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글 본문내용
|
다음검색
구 분 | IDDM | NIDDM |
발병 연령 | 소아 또는 사춘기 | 40세 이상 |
발병 빈도 | 5 - 10 % | 90 % 이상 |
발병 속도 | 급작스러움 | 점차적임 |
가 족 력 | 관련성이 희박 | 관련성이 큼 |
병 인 | Unknown. 유전 및 자가면역적 요소, 바이러스성 감염등으로 예상 | Unknown, 가족력 요소가 큼 |
체 중 | 대부분 마른 체형 | 대부분 비만형 |
Insulin | 절대적 부족 또는 부재, Insulin 必 | 표적세포의 저항성으로 인한 상대적 부족, Insulin 必 |
Ketosis | 흔하게 발생 | 드물며 심한 stress상태에 발생 |
증상 발현 | 다뇨, 다식, 다갈, 체중감소등 뚜렷한 증상 | 무증상이 흔함, 다뇨 또는 다식이 있을 수 있음 |
(2) 내당증 장애 (Impaired Glucose Tolerance, IGT) 경구 당부하 검사상 정상혈당치보다 높지 만 당뇨병으로 진단되지 않는 경우 (3) 임신성 당뇨병 (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임신 중에 처음 발견되는 경우로 주로 임신 24-28주에 나타남
2. 병 리 1) 혈당의 조절 (1) 정상인은 40-160 ㎎/㎗ 의 범위에서 혈당을 유지. 정상 뇌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최소 40 ㎎/㎗ 의 혈당유지가 필요 (2) 혈당은 세포의 영양 및 기능유지에 근원으로 고혈당은 포도당이 열량 생산을 위해 세포내 로 운반되지 않았음을 의미함 (3) 혈당이 375㎎/㎗를 초과시 신장의 여과 역치를 초과하게 되고 요중으로 배설됨 2) Insulin의 조절 및 작용 (1) 분비: 췌장 β세포에서 평균 25-50U/d 분비됨, 정상 분비속도는 0.5-1 U/hr이며 혈당이 100㎎/㎗ 이상이면 추가 분비됨 (2) 소실: 간, 신장, 기타 말초조직에서 대사되어 소실됨, 신기능 부전시 insulin 요구량이 감소 됨 (3) 포도당을 세포가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고 포도당, 지방산, amino acid의 흡수를 증 가시키고 조직내 저장을 촉진 3) Insulin 부족시의 상태 (1) 간의 glycogen이 포도당으로 분해 (2) 근육에서 gluconeogenesis에 의해 amino acid가 포도당으로 전환 (3) 뇌중에 다량의 포도당을 보존하기 위해 뇌 이외의 다른 조직에서의 포도당의 흡수를 억제 (4) 최종적으로 TG가 유리지방산으로 분해되고 뇌 이외의 다른 조직에서의 포도당의 흡수를 억제
3. 원 인 ( Etiology ) 1) 비만 2) 노령 3) 유전 4) 정서적 긴장 5) Autoimmune β cell damage 6) 내분비계 이상 7) 바이러스 감염 8) Insulin 수용체의 결손 9) 약물 : α-adrenergic agonist, sympathomimetics, glucocorticoids, β-adrenergic blockers, clonidine,diazoxide,phenytoin, diuretics, oral contraceptives, thyroid hormone, levodopa, nicotinic acid4. 임상적 특징 ( Clinical Presentation ) 1) 다뇨 ( polyuria ) 2) 다식 ( polyphagia ) 3) 다갈 ( polydipsia ) 4) 기타: - 시력장애, 피로감 피부 - 부스럼, 종기, 가려움 신경 - 사지통, 저림, 지각 이 상 감염 - 폐렴, 폐결핵, 질염
5. 진 단 1) 전형적인 증상이 있는 경우 다뇨,다식,다갈 및 이유없는 체중감소, 심한 가면( drowsiness ) 및 혼수 등이 존재, 부정기 시간 혈당을 측정하여 진단 2) 증상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 (1) 공복시 혈장 포도당 농도가 140 ㎎/㎗ 이상으로 2회이상 측정될 경우 (2) 부정기 시간 정맥혈 혈장농도가 200 ㎎/㎗ 이상으로 2회이상 확인될 경우 (3) 이상으로 진단이 모호한 경우 : 경구 당부하 검사 실시 3) 내당증 장애 :포도당 75g (소아의 경우 1.75 g/㎏) 투여 후 경구당부하 검사상 정상과 당뇨병 사이의 혈당농도를 보이는 경우 4) 임신성 당뇨병 : 50 g 경구포도당 부하후 정맥혈장 농도가 140 ㎎/㎗ 이상시, 100 g 경구포 도당 부하후 기준에 따라 평가
6. 검 사 1) 경구 당부하 검사 (표준) (1) 검사 3일 전부터 식사나 운동 등을 제한받지 않아야 하고 최소 3일간 150 g이상의 당질 을 섭취해야 함 (2) 전날 저녁부터 10-16시간 공복을 유지한 후 시행 ( 물은 마셔도 됨 ) (3) 300㎖의 물에 75 g의 포도당을 용해시켜 5분 이내에 마시게 함 2) 요검사 ( Urine test ) (1) Glucose oxidase method, Copper reduction method, Clinitest (2) Urine ketone test (3) 방법(double voided specimen ): 검사하기 20-30분 전에 방광을 1회 비움, 20-30 분후 소 변을 다시 보아 용기에 받아 검사 (4) 영향을 미치는 약물 : Vit. C, β-lactam계 항균제, salicylate, L-dopa 등 3) Glycosylated hemoglobins ( hemoglobin A1c ) (1) 정상치 : 4-8%, 고혈당시 : 15% (2) 1-4주간 고혈당이 지속될 경우 수치 증가 4) C-peptides Proinsulin이 췌장에서 절단되어 insulin과 C-peptides를 형성, IDDM과 NIDDM을 구분하는 주요 인자 중의 하나
7. 합병증 1) 급성 합병증 (1) 고혈당성 혼수 (2) 당뇨병성 ketone산혈증 (ketoacidosis) insulin부재시 지방대사 손상으로 지방산중간체들이 산성이 강한 2-,4-탄소 ketones로 전 환되어 산혈증 및 삼투성 이뇨 유발 -증상: 구갈, 무력증, 피곤, 오심, 구토, 복통, 졸리움, 혼수 등 -치료: 수액 (normal saline→half saline)과 RI의 즉각적인 정맥투여. 전해질 농도에 주의 2) 만성 합병증 (1) 대혈관 합병증( macrovascular complication ) LDL cholesterol의 대사의 변화와 동맥혈관 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당뇨의 효과 - NIDDM에서 더 빈번 - 종류 : 뇌혈관 죽상경화증(뇌색전증, 뇌졸중 유발), 관상동맥 죽상경화증(심근 경색증), 하 지동맥 경화증(족부 괴사) - 예방 및 치료: 철저한 혈당관리, 혈중 cholesterol의 감소, 혈압 조절, 금연, 발관리 교육, 약물(low dose aspirin, pentoxifylline, Vit C, E) (2) 소혈관 합병증 ( microvascular complication ) Polyol pathway를 통해 포도당대사로부터 sorbitol level 증가, 모세혈관 기저막 비후, 지질 대사 변화, 혈소판 응집 증가, 대부분 비가역적 ① 망막증 ( retinopathy ) ⅰ) 분류 : 증식성, 비증식성 ⅱ) 증상 : 시력 감퇴, 갑작스런 실명 ( 특히 증식성의 경우 ) ⅲ) 예방 및 치료 철저한 혈당조절, 1회/yr이상 망막정기검진(유병 3년 이상 경과 환자), Aldose reductase저해제:연구중,예방용,Laser photocoagulation ② 신장병증 ( nephropathy ) ⅰ) 증상 : 단백뇨, 요독증, 만성 신부전으로 이환 ⅱ) 예방 및 치료: 혈당 및 혈압 조절, 요도염등 염증 조기 치료, 저단백 식이, ACE inhibitor, 인공 신장기 or 신장 이식 ③ 신경병증 ( neuropathy ) ⅰ) 증상 말초성 신경염 : 양 발, 다리의 burning and aching sensation한 통증 기립성 저혈압, 위운동 기능마비( diabetic gastroparesis ) : 소화불량, 오심, 설사 신경성 방광마비( neurogenic bladder ), impotence ( 남자 ), Candida성 질염 ( 여 자 ) ⅱ) 예방 및 치료 : 혈당의 철저한 관리 : 치료가 어려운 합병증이나 초기의 증상은 혈당. 조절을 잘 하면 수개월내에 호전됨 ⅲ) 대증적 요법 - 말초성 신경염의 통증 항우울제(AMIT, TRIT), DDP, DPH, penothiazines, carbamazepin, valproate - 당뇨병성 위무력증 metoclopramide, cisapride, erythromycin - 당뇨병성 설사 loperamide, clonidine - 기립성 저혈압 elastic stocking, fludrocortisone, caffein ( 기상전 ) - 신경마비에 의한 방광이상 prazocin ( α-blocker )
첫댓글 하나님이 주신 6천5백만년전의 신비의물이 강원도 강릉 금진에서 발견되었습니다. 금진온천을 검색해보시면 알수있습니다.많은 사람들의 임상사례가 있습니다. 각종 미네랄이 60여가지가 들어있고 특히 바나듐(v)성분이 들어있어 당뇨에는 특효입니다.제가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연락주시면 안내하겠습니다. 010-7241-5433 14:18 14:24 2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