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 9 장 꼭 영어로 말하고 싶었던 표현들
제 8장까지 쉽게 영어를 배우는 방법에 따라 영어의 기본문장들을 동사중심으로 연습해보았다. 이번 장에서는 지금까지 연습해 온 기본문장을 중심으로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꼭 알고 싶고 말하고 싶은 표현들을 편안하게 배우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어린아이들이 모국어를 배울 때 어머니들이 기본문형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다. 완벽한 언어교사인 어머니들은 일상생활이라는 구체적 상황 속에서 언어를 가르친다. 이 원칙은 우리가 외국어로써 외국어를 배울 때도 그대로 적용되는 원칙이며 따라서 영어를 쉽게 배우기 위해서는 역시 상황 속에서 영어를 배우는 것이 원칙이다. 그리고 상황 속에서 배운 표현은 오래도록 기억 속에 남아 있게 되고 잊혀지지 않음으로 편안하게 영어를 배우려면 비디오를 보는 것처럼 상황이 잘 제시된 상태에서 언어를 배우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다음에 제시되는 영어표현들은 영어교과서에는 잘 나오지 않지만 일상생활 속에서는 너무나도 필요한 영어표현들만 골라서 상황중심으로 제시하는 독특한 영어학습 방법이다.
그냥 편안한 마음으로 줄줄 읽어 가다보면 저절로 영어가 배워지는 그런 방법임으로 재미있는 수필을 읽는 마음으로 읽어보기 바란다. 놀랍도록 여러분의 생활영어가 쑥 쑥 늘어나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우리는 짧은 문장을 가지고도 얼마든지 훌륭한 표현을 할 수 있다. '죽기 아니면 살기'식으로 결사적으로 영어공부를 하는 것보다는 즐기면서 하는 영어공부가 더 효과적이라고 하는 사실을 명심하라.
여러분은 다음에 제시되는 195개의 생활영어 표현을 즐기면서 영미문화를 동시에 이해하고 어떤 상황 속에서 어떤 표현을 하는가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즐기세요(Enjoy yourself!)
1. Make a good impression.
(다른 사람에게 좋은 인상을 주도록 하라)
요즈음 신문 광고란에 보면 외국 회사들이 사원을 모집하는 경우를 발견하게 된다. 이들 외국회사는 대체로 서류 전형을 한 후에 입사를 희망하는 사람들과 Job interview를 한다. 특히 미국 회사의 경우 Job interview를 사원선발의 최선의 수단이라고 믿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인터뷰에 대하여 잘 준비해 두는 것이 좋다. 인터뷰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You should make a good impression to your interviewer.
(인터뷰하는 사람에게 좋은 인상을 주어야 한다)
미국의 의사소통학 전문가들은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한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충고를 하고 있다.
Be on time for the interview.
(인터뷰하는 시간을 꼭 지켜라)
Speak plainly and clearly.
(보통 대화체로 분명하게 말하라)
Always be polite.
(늘 예의를 지켜라)
Look at the interviewer.
(인터뷰 맡은 분을 똑바로 바라보라)
Sit comfortably : don't slouch.
(편안한 자세로 앉고 구부리지 마라)
Dress neatly.
(옷을 말쑥하게 차려 입어라)
Be sincere and honest.
(성실하고 정직 하라)
2. A happy future lies before you.
(네 전도는 양양하다)
사람은 누구나 미래에 대하여 밝은 희망을 갖기를 좋아한다. 그래서 우리는
A happy future lies before you.
(밝은 미래가 네 앞에 있다)
You have a happy future before you.
(네 앞에는 밝은 미래가 있다)
Your prospects are good.
(너의 전망은 밝다)
There are bright days ahead of you.
(네 앞길에는 밝은 희망이 있다)
A great career is open to him.
(출세의 길이 그의 앞에 열려 있다)
라는 말을 들으면 그것이 불확실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기분이 좋아지게 된다. 그러나 만일
Your prospects are gloomy.
(네 전망은 어둡다)
There are black days ahead of you.
(네가 나아갈 방향은 어둡다)
The road ahead of you is rough.
(네가 나아갈 길은 험하다)
You have a long way to go.
(너는 갈 길이 아직도 멀었다)
There is a very slim chance before you.
(너에게는 거의 희망이 없다)
3. Now is the time.
(지금이 바로 기회다)
기회가 왔을 때 그 기회를 놓치면 안된다. 왜냐하면 기회란
Now or never!
(지금이 아니면 기회는 다시 없다)
라는 식으로 언제 다시 올지는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요즈음 대학 수능고사를 끝마친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이 갑자기 할 일이 없어져서 방황하고 있다는 말을 전해 듣고 안타까운 마음이다.
There is no time for hanging around.
(지금은 방황할 때가 아니다)
You should not waste your time.
(여러분은 시간 낭비를 해서는 안된다)
여러분은 이제야말로 진짜로 멋있는 공부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 것이다. 그 동안에 입시준비로 가까이 할 수 없었던 멋진 책들이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다. 시, 소설, 희곡작품 등 인생을 멋지게 사는 방법을 제시하는 철학서적들과 전기들이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다.
The time has come.
(시간이 드디어 왔다)
It is high time for you to read good books.
(좋은 책을 읽어야 될 때가 바로 지금이다)
Now is the chance. Go!
(기회는 바로 지금이다. 바로 시작하라.)
시간이란 지나가면 다시 오지 않는 것이다.
4. Tradition is old as the hills.
(전통이란 오래도록 변하지 않는 것이다.)
우리는 어떤 사실을 설명할 때 비유를 통해서 설명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 중에서도 아마 직유를 가장 많이 사용할 것이다.
Candy is sweet as sugar.
(사랑은 설탕처럼 달다.)
Coral is sharp as a razor.
(산호초는 면도날처럼 날카롭다.)
Oak is solid as a rock.
(떡갈나무는 바위처럼 단단하다.)
그러나 이러한 비유를 할 때도 미국인과 우리들은 문화적인 배경이 다른 관계로 표현에 굉장한 차이를 보이는데 가령 우리말의 '눈꼽만큼'이라든지 '코딱지만큼'이란 표현은 영어에서는 금기어가 될 것이다. 영어식 비유의 재미있는 표현을 몇 개 보면
Vinyl is tough as nails.
(비닐은 못처럼 단단하다.)
His song is sweet as sugar.
(그의 노래는 설탕처럼 달콤하다.)
Friendship is good as gold.
(우정은 황금처럼 좋은 것이다.)
Cellophane is thin as paper.
(셀로판은 종이처럼 얇다.)
Tradition is old as the hills.
(전통이란 산처럼 오랜 것이다.)
5. To discuss philosophy is stimulating.
(철학에 대한 대화는 우리를 고무시킨다.)
철학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 위하여 우리가 꼭 철학자가 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보고 듣는 문제라고 하더라도 성실한 자세로써 대화를 나눈다면 이런 대화들은 우리의 삶을 값지게 만드는 자극제가 될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To discuss philosophy is stimulating.
(철학을 얘기하는 것은 우리 인생에 자극제가 된다.)
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멋진 대화뿐만이 아니고 다음과 같은 일도 우리 인생을 멋지게 만든다.
To read a good book is rewarding.
(좋은 책을 읽으면 보상을 받는다.)
To meet a good friend is stimulating.
(좋은 친구를 만나는 것도 우리를 고무시킨다.)
To meditate on the meaning of life is rewarding.
(인생의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은 가치 있는 일이다.)
이런 심각한 것 말고도
To lie on the beach is relaxing.
(해변에 누우면 마음이 편안하게 된다.)
To drink cool water is refreshing.
(시원한 물을 마시면 정신을 가다듬게 된다.)
6. Giants won a come-from-behind victory.
(자이언츠는 역전승을 했다.)
오래 전 일이다. 일진일퇴를 거듭하던 롯데 자이언츠와 삼성 라이온즈의 7차전이 잠실구장에서 벌어졌을 때 자이언츠를 응원하던 부산의 야구팬들은 안타까움으로 가슴을 죄고 있었다. 최동원이 피곤한 탓인지 삼성 라이온즈의 타자들이 계속 안타를 침으로써 2회말에
The score was three to zero.
(스코어는 3대 0이였다.)
자이언츠는 분명 비틀거리고 있었다. 그러나 피곤한 상태이면서도
Mr. Choi did all-out pitching.
(최동원은 역투를 했다.)
He was pitching hard.
(그는 열심히 공을 던졌고)
He was pitching with everything he's got.
(그는 전력투구를 했다.)
드디어 거인 타자들의 방망이는 불을 뿜기 시작했고 8회초에서
A hit by Mr. Yoo made Giants win.
(유두열의 히트가 거인에게 승리를 안겨 주었다.)
당시에 자이언츠는 라이온즈보다 전력이 약하기 때문에 질 것이라는 예상을 뒤엎고
Giants won a come-from-behind victory over Lions.
(자이언츠는 라이언즈를 제치고 역전승을 거두었다.)
7. Have a cigarette, won't you?
(담배한대 피우시지요.)
어떤 사람이 진짜로 영어를 잘 하느냐 못 하느냐 하는 것을 판단하는 방법은 그 사람이 Tag question(부가의문문)을 잘 사용하느냐 못하느냐 하는 데 달려 있다고 한다. Tag question을 잘 사용하면 대화가 아주 부드럽고 매끄럽게 들린다.
Come in, won't you?
(들어오시지요.)
Sit down, won't you?
(앉으시지요.)
Help yourself, won't you?
(좀 드시지요.)
Take some more, won't you?
(좀 더 드시지요.)
Try one of these, won't you?
(이 것들 중에서 하나 드시지요.)
Make yourself at home, won't you?
(편히 하시지요.)
가볍게 명령문을 말하고 'won't you?'를 붙이면 마치 어머니의 말씀을 듣는 것처럼 마음이 포근하게 된다. 파티장소를 조금 일찍 떠나야만 할 때
I can leave early, can't I?
(좀 일찍 떠나도 되겠죠?)
라고 애교 있게 말하면 아무도 유감스럽게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I can stop here, can't I?
(여기서 그만 두어도 괜찮죠?)
8. May I have a glass of water?
( 물 한잔 주시겠어요? )
우리말을 미국인들에게 가르칠 때 미국인들이 잘 이해하지 못하는 어법중의 하나가 숫자에 관한 것이다. 가령 영어로 무엇을 달라고 할 때
Give me a pencil.
(연필 한 자루 주세요.)
Give me a book.
(책 한 권 주세요.)
Give me an apple.
(사과 한 개 주세요.)
Please buy a car.
(자동차 한 대 사세요.)
등으로 물건에 따라서 '한 자루, 한 권, 한 개, 한 대'로 바뀌는 것이다. 그런가하면 영어표현에도 우리가 이해하기 어려운 수량의 단위를 쓰는 경우가 많다. 몇 가지 예를 들면
Give me a glass of milk.
(우유 한잔 주세요)
May I have a cup of coffee?
(커피 한잔 주시겠어요?)
May I take a sheet of paper?
(종이 한 장 가질까요?)
Give me a piece of advice.
(충고 한 말씀 해주세요.)
I heard a bolt of thunder.
(나는 천둥소리를 들었다.)
9. Keep your mouth shut, your eyes open.
(입은 다물고 눈은 떠라.)
위대한 삶을 산 분들이 남긴 유명한 명언들을 몇 개 소개하려고 한다. 여러 번 읽어서 삶에 보탬이 되도록 하면 좋을 것이다.
Repetition does not transform a lie into truth.
(아무리 반복한다고 해도 거짓이 진실이 될 수는 없다.)
꽤 유식한 사람들 중 거짓말을 자꾸 진짜라고 우기면 진실이 될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도, 있는데 Roosevelt 대통령의 말을 곰곰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There is nothing so powerful as the truth, but often nothing so strange.
(진리처럼 힘있는 것도 없지만 가끔 진리처럼 이상한 것도 없다.)
The most wasted day of all is that on which we have no laughed.
(가장 쓸데없이 보낸 날은 우리가 웃지 않은 날이다.)
True friendship is like sound health. The value of it is seldom known until it is lost.
(진정한 우정은 건강과 같은 것이다. 우정의 가치는 그것을 잃을 때까지는 거의 알려지지 않는다.)
The best way to cheer yourself up is to try to cheer someone else up.
(너 자신을 위로하는 최선의 방법은 다른 사람을 위로하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10. I've got to hit the books.
(나는 공부를 해야겠어)
하루종일 일에 시달리다 보면 모든 것이 다 귀찮기 만하고 그저 따뜻한 아랫목을 차지하고 길게 누고 싶은 심정을 느끼게 된다. 이런 경우 우리처럼 아랫목이 없는 미국의 젊은이들은
I'll hit the hay.
(잠이나 자야겠다.)
I'll hit the sack.
(잠을 자러 가겠다.)
라는 재미있는 표현을 쓴다. hay라는 것은 가축을 위한 목초를 의미하는데 따사로운 하오에 그곳에 벌렁 드러눕는 것도 풍류가 있을 것이다. sack은 밀가루자루나 곡식을 담는 부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도시의 노동자들이 찾을 수 있는 유일한 휴식처였기에 이런 표현이 나왔을 것이다. 그래서 립 반 윙클처럼 잠을 즐기고 있을 때 돌연
OK boys, it's time to hit the deck.
(자, 일어나서 일할 시간이다!)
라는 소리가 작업반장으로부터 떨어지면 다시 일을 시작했을 것이다. 해군에서는
All hands on the deck!
(모든 수병들은 갑판으로 집합!)
이라는 표현도 사용하고 있는데 그러나 해군들과는 달리 잠시 쉬고 있던 학생들은
I've got to hit the books.
라고 말하면서 본연의 공부자리로 돌아가야 할 것이다.
11. Ring out the old and ring in the new.
(종소리와 함께 옛 것을 털어 버리고 새로운 다짐을 하자)
묵은 해가 어느덧 물러가고 새해가 다가오게 되면 제야의 종소리를 들으면서
I see the old year out and the new year in.
(나는 묵은 해가 가고 새해가 오는 것을 본다.)
Ring out the old and ring in the new.
(종소리와 함께 옛 것은 털어 버리고 새로운 다짐을 하자.)
라고 마음속으로 되뇌며 심각한 마음으로 새해를 맞게 된다.
I wish you a Happy new year.
(새해에 복 많이 받으시기를 빕니다.)
새해 새 아침에 만나는 사람마다 이러한 인사를 나누느라고 야단법석이고
Every body makes a round of New Year's calls.
(사람들마다 세배를 다니느라고 바쁘고.)
Children perform a New Year's bow.
(아이들은 세배를 드린다.)
12. Save your time.!
(시간을 낭비하지 말라!)
소비와 낭비는 분명히 다른 것인데 요즈음 경제적인 여유가 생기면서 낭비풍조가 만연되는 듯이 보이는 것도 안타까운 것이다. 사람들이 낭비하는 것을 열거해 보면
Many people waste their money.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돈을 낭비한다.)
Many people waste their time.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시간을 낭비한다.)
Many people waste their energy.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힘을 낭비한다.)
옛 현자들이 가르쳤듯이
Waste not, want not.
(낭비가 없으면, 부족도 없다.)
Please save your money.
(제발 돈을 절약하고)
Please save your energy.
(제발 힘을 모아두고)
Please save your time.
(시간을 절약하세요.)
왜냐하면
Time and tide wait for no man.
(시간은 우리를 위해서 기다리지 않으니까요)
13. Are you ready for school, Tom?
(탐 너 학교 갈 준비가 되었니?)
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이 있는 집안에서는 어느 집이거나 아침마다 난장판이 벌어지기 마련이다. 허둥지둥 교과서와 공책 등을 가방에 열심히 집어넣는 아이들이 도대체 마음 놓이지 않는 어머니들은 날마다 하는 잔소리를 아이들에게 되풀이하기 마련인 것이다.
Is your homework done?
(숙제 다 했니?)
Have you put your textbooks in your bag?
(가방 속에 교과서 다 집어넣었니?)
What about your lunch bag?
(도시락도 집어넣었니?)
Are you ready for school?
(학교 갈 준비가 다 되었니?)
그래서 드디어 학교에 갈 준비가 되어서 신을 신고 문밖으로 나서게 되면 어머님들은 다시
Are your shoes tied?
(신발 끈은 잘 맺니?)
Is your coat buttoned?
(코트에 단추를 채웠니?)
등의 잔소리를 하게 되고 드디어는 마지막 잔소리를 하게 된다.
Hurry and don't be late!
(빨리 서둘러서 지각하지 마라.)
14. The less said, the better.
(말은 적게 할수록 좋다.)
우리 나라에서는 예로부터 말이란 안하면 안할수록 좋은 것이라는 생각을 생활의 지혜로서 가르쳐 왔다. 그래서
Speech is sliver, silence is gold.
(웅변은 은이요, 침묵은 금이다.)
라는 격언을 인생의 좌우명으로 삼고 사는 사람들도 많다. 그리고 말이 없는 사람을 가리켜
He is a taciturn person.
(그는 과묵한 사람이다.)
He is a reticent person.
(그분은 말이 별로 없는 분입니다.)
He is a man of few words.
(그분은 말이 별로 없는 분입니다.)
라고 하면서 이런 분을 훌륭한 사람으로 치켜세우고 있고 옛 며느리들은 벙어리로 3년 살고 귀머거리 삼년 살고 장님으로 삼년 살아야 좋은 며느리라고 올려 세웠다. 그러다 보니
The less said, the better.
(말은 적게 할수록 좋다.)
라는 말이 처세술의 중요한 방편이 되어왔고 누가 조금이라도 바른 말을 하면
He is talkative.
(그는 말이 많다.)
라고 몰아 세우니 이런 문제는 깊이 생각하고 반성해야겠다.
15. Elders must alway be honored.
(나이 드신 분들은 존경을 받아야 한다.)
우리 나라에서 외국에 수출해야 할 것이 많이 있겠지만 그 중의 하나는 웃어른을 존경하는 관습이다. 미국에서는
Ladies first.
(여성들이 먼저!)
라고 하면서 여성들에게 양보를 하게 되는데 우리 나라에서는
Elders first.
(웃어른 먼저!)
라고 하여 냉수를 마셔도 순서가 있다고 하는 것은 좋은 관습이라고 생각된다. 이런 점에서
Pubic transportation is free to elders.
(공공교통은 나이 든 분들에게는 무료이다.)
라는 것은 당위적으로 받아 들여져야 될 것이다. 65세 이상된 분들은 젊은 시절에는 우리나라를 위해서 많은 애를 쓰신 분들이므로
Elders must always be honored.
(웃어른은 마땅히 늘 존경을 받아야 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나이 든 분들을 아무나 할아버지라고 부르고 있는데
To be called a grandfather, or a grandmother, is a sign of respect.
(할아버지, 할머니로 불리는 것은 존경의 표시이다.)
라고 할 수 있겠다. 미국에서는 진짜로 혈연 관계가 없으면 할아버지 할머니라고 부를 수가 없다.
In the presence of an elder, one remains at attention.
(웃어른이 계신 곳에서는 늘 주의를 하는 법이다.)
One does not smoke or drink.
(사람들은 담배를 피우거나 술을 마시지 않는다.)
If smoking when an old person comes into the area, one hides the cigarettes
behind one's back.
(어른이 들어오실 때 담배를 피우고 있었으면 젊은이는 담배를 등뒤로 감추어야 한다.)
To wear dark sun glasses, in the presence of an elder, is considered impolite.
(나이 많은 분 앞에서 검은 색안경을 쓰는 것은 예의에 어긋난다고 생각한다.)
16. I wish you a happy New Year.
(새해에 복 많이 받으십시오.)
우리 나라에서는 12간지에 의하여 동물의 이름을 매해 붙이고 있으며 이 들 동물의 이름에 따라 우리의 생활 패턴도 영향을 받는다. 가령 1985년은 소의 해인데 소해를 맞아서는 모두 희망하기를 소의 근면함과 희생정신을 본 받아서 멋진 한 해를 보내야 할 것이라고 다짐을 한다. 내가 만일 소띠 해에 태어났다면 어제까지는 우울한 나날을 보냈을지라도
This year will be my year.
(이 해에는 내가 하는 일들이 잘 될 것이다.)
라는 긍정적인 신념으로 희망찬 새해를 맞이하는 것이다.
I reflected on all I had done last night.
(나는 어제 내가 한 일들을 반성해 보았다.)
I failed to realize the anticipated result.
(나는 기대했던 성과를 성취하지 못했다.)
However, this year will be different.
(그러나 금년은 다를 것이다.)
1985 will be a great year for me.
(1985년에는 모든 일이 잘되어 나갈 것이다.)
Because I was born in the year of 'Cow'.
(왜냐하면 나는 소해에 태어났으니까.)
이런 생각을 한 분들은 나만이 아닐 것이고 아마도 대부분의 사람들이 금년에는 계획했던 일들이 꼭 이루어 질 것이라는 생각으로 가득 차 있을 것이다.
I hope this year will be a great year for you.
(금년은 여러분께 희망찬 해가 되기를 기원한다.)
17. What would you like to be?
(넌 뭐가 되고 싶니?)
부모들은 가끔 아이들에게 미래에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지를 물어 보는 경우가 있다. 어렸을 때는 대체로 아이들은
I'd like to be a general.
(나는 장군이 될래요.)
I'd like to be a president.
(나는 대통령이 될래요.)
라는 굉장한 대답을 하기 마련이고 초등학교 학생이 되어서는 학교선생님들의 영향을 강력히 받았음인지
I'd like to be a good man for my country.
(우리 나라를 위한 훌륭한 사람이 되겠습니다.)
라는 훌륭한 대답을 하곤 한다. 그러다가 중학생이 되어서는
I'd like to be a scientist.
(나는 과학자가 되겠어요.)
I'd like to be an astronaut.
(나는 우주인이 되겠어요.)
I'd like to be a singer.
(나는 노래하는 사람이 되겠어요.)
I'd like to be a writer.
나는 글쓰는 사람이 되겠어요.)
라고 낭만적이면서도 구체적인 미래상을 꾸며 보다가 고등학교 졸업반이 되어서는 수능고사고사 성적에 따라 미래를 결정하려 하니 참으로 한심한 노릇이다.
18. This is the school cafeteria.
(여기는 학교 식당입니다.)
영어공부를 재미있게 하는 하나의 방법은 사진이나 그림 등을 보면서 그 속에 있는 내용들을 영어로 설명해 보는 것이다.
This is a school cafeteria.
(여기는 학교 식당이다.)
There is a long line of people by the counter.
(음식이 진열된 카운터엔 사람들이 길게 늘어서 있다.)
Some people are waiting.
(어떤 사람은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Some people are choosing their food.
(어떤 사람은 음식을 고르고 있다.)
Some are putting it on their trays.
(어떤 사람은 음식을 트레이 그릇에 담고 있다.)
A thin girl is picking out a salad.
(어떤 날씬한 소녀는 샐러드를 집어 올리고 있다.)
A fat boy is ordering some ice cream.
(어떤 뚱뚱한 소년은 아이스크림을 주문하고 있다.)
The cashier is taking money.
(돈 받는 사람은 돈을 받고 있다.)
Some people are already eaten
(어떤 사람은 벌써 식사를 하고 있다.)
19. Neither silver nor gold can buy it.
(금으로도 은으로도 그것을 살 수 없다.)
돈만 있으면 무엇이든지 살 수 있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이 세상에 많이 살고 있다고 하는 사실이 참으로 슬픈 일이다. 이 분들은
Money talks only.
(돈이 최고다.)
We can buy anything and everything.
(우리는 무엇이든지 살수 있다.)
라고 큰소리를 탕탕 치면서 돈을 벌기 위해 무슨 짓이든 서슴지 않는다. 그러나 이 세상에는 돈으로는 살 수 없는 것들이 많이 있다.
Neither silver nor gold can buy 'true love'.
(진실한 사랑은 은이나 금으로는 살수 없다.)
Neither silver nor gold can buy your life.
(금이나 은으로 너의 생명을 살 수는 없다.)
Neither silver nor gold can buy it.
(금이나 은으로는 그것을 살수 없다.)
'그것'에 해당하는 것이 무엇인지 여러분들도 단어를 바꾸어 가며 문장을 만들어 보기 바란다. 우리가 금이나 은으로 살 수 없는 것들을 많이 열거할 수 없다면 우리 사회는 문제가 있다고 할 것이다.
20. Do self-examination everyday.
(날마다 반성을 하라.)
하루에 세 번씩은 반성을 해야 한다는 옛 성현의 말씀을 구태여 반복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우리는 우리의 지난 일을 반성하는데서 계속적인 발전을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Reflect upon your conduct.
(네가 한 일을 반성하라.)
Reflect your conduct sincerely.
(진지하게 네 행위를 반성하라.)
Reflect upon all you have done.
(네가 행한 일을 모두 반성하라.)
Please do self-examination everyday.
(날마다 반성을 하라.)
반성을 할 때는 여러 가지로 할 수 있겠으나 우선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할 수 있을 것이다.
Have you attained your goal?
(네 목표를 달성했는가?)
Have you achieved your objectives?
(너의 구체적인 목표를 달성했는가?)
그런데 그 대답이
The goal is far off.
(목표 달성은 아직 멀었다.)
I am far from the goal.
(목표달성은 아직 안 되었다.)
라고 평가된다면 좌절하지 말고 칠전팔기하는 자세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21. What do you enjoy doing?
(어떤 일을 즐겨 하십니까?)
I enjoy going to the movies.
(나는 영화 보는 것을 즐깁니다.)
I enjoy playing baseball.
(나는 야구를 즐겨합니다.)
I enjoy playing cards.
(나는 카드놀이를 즐겨합니다.)
I enjoy playing "Baduk".
(나는 바둑을 즐겨 둡니다.)
I enjoy home making.
(나는 가정에서 일하는걸 즐깁니다.)
I enjoy going to baseball games and like to see the players.
(나는 야구경기장에 가서 선수들의 게임모습을 즐겨 봅니다.)
사람에 따라서는 또 싫어하는 일도 많은데 요즈음 미국의 여성해방운동에 참여하는 주부들간에는
I avoid washing the dishes.
(나는 설거지하는 걸 싫어합니다.)
I avoid cooking the meals.
(나는 음식 만드는 일을 가급적 피합니다.)
I avoid making home.
(나는 가정 꾸려나가는 일은 않습니다.)
라고 강경한 자세를 취하는 경우도 있다.
22. They are David and Jonathan.
(그들은 막역한 친구다.)
친구를 위하여 자신의 목숨이라도 버릴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분명 그들은 행복한 사람이다. 이토록 친한 친구를 가리켜 영미인들은
They are David and Jonathan.
(그들은 막역한 친구다.)
라 표현한다. David와 Jonathan은 구약성서에 나오는 이스라엘의 왕인 Saul이 David를 죽이려고 할 때 Saul의 아들인 Jonathan왕자는 우정으로 David를 살려 주었는데 그들의 아름다운 우정을 기려서 이런 표현을 한다.
We have intimate relations.
(우리는 막역한 사이다.)
We have close friendship.
(우리는 막역한 친구다.)
We are hand and glove with each other.
(우리는 막역한 친구다.)
We are David and Jonathan.
(우리는 진짜 친구다.)
우리 나라에는 아주 어렸을 때부터 친구로 지내온 사이를 '죽마고우'라고 하는데 이 말은 영어로
He is my childhood friend.
(그 사람은 나하고 어릴 적부터 친구다.)
I have known him since we were boys.
(그는 나와 죽마고우다.)
라고 표현한다.
23. I was tickled to death.
(우스워서 죽을 뻔했다.)
심장이 약한 사람들이 한 번 웃기 시작하면 그칠 줄 모르고 웃다가 죽을 뻔했다는 얘기를 어디서들은 일이 있지만 다른 나랏말을 배우다 보면 가끔 너무나 웃기는 일이 자주 생긴다.
미국에서는 손님이 집에 오면
May I take your coat?
(외투를 이리 주시겠습니까?)
라고 말하면서 외투를 받아 옷장에 걸어두는 것이 에티켓이다. 한 한국 유학생이 집에 초대받고 온 미모의 아가씨에게 외투를 달라고 한다는 말이
May I take off your dress?
(옷을 벗겨 드릴까요?)
라고 해서 그 여성을 놀라게 만들었다. 이 얘기를 들었을 때
I was tickled to death.
(나는 우스워서 죽을 뻔했다.)
I almost split my sides with laughter.
(너무 웃다가 허리가 부러질 뻔했다.)
어떤 우스운 얘기를 들었을 때는 한참동안 신나게 웃다가 다음과 같이 말하면 된다.
Pardon me for laughter.
(웃은 것을 용서해 주십시오.)
But, that was so funny.
(그렇지만 너무 우스웠어요)
24. Come on in!
(어서 들어오세요!)
손님이 오셨을 때 약간 호들갑스럽게 안으로 모시는 것이 손님을 기쁘게 해드리는 일이 될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미국인은 손님이 왔을 때 그저
Come in, please!
(들어오세요)
라고 해도 될 것을 요란한 제스처를 쓰면서
Come on in!
(어서 들어오세요.)
라고 말한다. 외출을 할 때 같이 나갈 사람이 꾸물거리면
Come on out! we are late.
(빨리 나와. 늦었단 말이야.)
라고 재촉을 하기도 한다. 'come on'은 재촉을 할 때 많이 사용되는데 가령 어떤 사람이 할말을 하지 못하고 우물쭈물하고 있으면
What do you want? Come on! Please tell me, will you?
(아, 원하는 게 뭔지 빨리 말해 보라구. 응?)
Make it quick. come on!
(자, 어서 빨리 하라구.)
식으로 재촉을 하고 영 본론을 꺼내지 않고 우물거리는 사람에게는
Come on! Let's get down to business.
(자, 어서 본론을 말하라구)
25. Your attention, please.
(안내 말씀 드리겠습니다.)
외국여행을 하게되면 공항에서나 호텔에서나 또는 관광지에서 여러 가지 안내방송이나 안내원의 안내를 받게 되는데 그 때에 사용되는 첫마디가
Your attention, please.
이다. 이런 말이 들리면 귀를 기울이고 안내를 들을 준비를 갖추어야 한다. 좀더 점잖게 말하고자 할 때는
May I have your attention, please?
(잠깐 안내 말씀드리겠습니다.)
라고 한다. 여기 공항에서 자주 들을 수 있는 안내방송을 하나 소개하면
May I have your attention, please?
(안내말씀을 드리겠습니다.)
Korean Air Lines Flight No. 009 bound for Los Angeles is now ready for boarding.
(로스앤젤레스행 대한항공의 009기가 탑승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All passengers are requested to proceed to the government clearance area.
(승객 여러분은 출국수속을 취하시기 바랍니다.)
우리 나라의 국제공항은 비행기탑승을 위한 출구가 몇 군데 안되지만 Chicago공항이나 뉴욕의 J .F .Kennedy공항은 출구가 여럿이어서 자칫 잘못하다가는 비행기를 놓칠 수도 있으니 안내방송을 유의해 들어야 한다.
Information for the departing passengers on Flight No. 009, Korean Air Lines leaving at 10a.m. for Los Angeles.
(10시에 대한항공 009기편으로 로스앤젤레스로 가는 승객 여러분께 안내말씀을 드립니다.)
Passengers who have finished the formalities for departure are requested to come to the Gate No. 7.
(모든 출국수속을 마치신 분들은 7번 출구로 나와 주시기 바랍니다.)
이런 안내방송은 처음 들을 때는 어휘가 낯설어서 거의 들을 수가 없으나 Flight Number라든가 Gate Number 등 몇몇 표현에만 익숙해지면 쉽게 이해되는 것이니까 이런 표현들을 여러 번 반복해서 익혀두기 바란다. 호텔의 로비 등이나 Coffee shop에 앉아 있으면
May I have your attention, please? Mr. J. C. Ahn, Mr. J. C. Ahn, please come to this information desk.
(J. C. Ahn씨, 안내계로 좀 와 주십시오.)
라는 안내방송이 나오는 경우도 있다.
26. He is nobody's fool.
(그는 아주 똑똑한 사람이다.)
좀 어수룩한 사람은 다른 사람들의 놀림을 받게 되기 때문에 아마 이런 표현이 생겼을 것이다. 똑똑하고 자신의 위치에서 해야 할 일을 분명히 하는 사람을 가리켜서 미국인들은
He is nobody's fool.
(그는 자기 할 일을 분명히 하는 사람이다.)
라고 표현한다. 그러니까 어떤 학생이 자기 학급에서도 뛰어난 학생이고 또 축구를 할 때도 우수한 선수로써 자기의 할 일을 충실히 해 내었을 때
He is a person who does good work in the classroom and on the soccer field.
(그는 학급에서도 축구장에서도 자기 몫을 충실히 하는 사람이다.)
라고 정직하게 표현하는 것보다는
In the classroom and on the soccer field, he is nobody's fool.
라고 재미있게 표현하고 있다. 만일 어떤 사람을 주위에서 계속 놀려댄다면 그는
Do you think I was born yesterday?
(너희들은 내가 바본 줄 아느냐?)
I am nobody's fool.
(나는 놀림이나 받는 그런 사람이 아니다.)
I am no fool.
(나는 어리석은 사람이 아니란 말이다.)
라고 화를 내어도 좋을 것이다.
27. Don't say a rude thing.
(무례한 말을 하지 마세요.)
얼마 전에 우리 집 사람이 부산의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 주려고 미국인들을 데리고 광복동 등지에 나갔을 때 많은 사람들이 이들 미국인에게 말을 함부로 해서 민망함을 금할 수 없었다는 얘기를 들었다. '껌둥이', '뚱뚱보', '미국놈', '계집애같이 생겼다', '원숭이'등은 괜찮은 편이고 차마 글로 쓸 수 없는 욕설을 외국인에게 함부로 한다는 것이었다.
Please don't say a rude thing to foreigners.
(제발 외국인에게 무례한 말을 하지 마세요.)
Please don't make an insulting remark.
(제발 무례한 말을 하지 마세요.)
Please stop your teasing.
(제발 놀리지 마세요.)
Aren't you ashamed of yourself?
(부끄럽지도 않으세요?)
Shame on you!
(창피한 줄 아세요.)
우리 나라에서 지성인임을 자처하는 사람들까지 '미국놈', '왜놈', '되놈'하는 고약한 버릇은 당장 고쳐야 할 것이다.
28. Heaven helps those who help themselves.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우리는 그토록 우리를 열광시키던 LA 올림픽을 잊을 수가 없다. 그 때 우리는 놀랍게도
We won six gold medals.
(우리는 여섯 개의 금메달을 땄다.)
그리고 이 것을 시점으로 우리는 스포츠 강국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체력은 국력이라는 말을 우리도 할 수 있게 되었고 88올림픽을 서울에서 치르는 놀라운 발전을 거듭하였고 2002년에는 월드컵축구를 개최하게 되는 당당한 나라로 발전하게 되었다. 그래서 선수들은 이 LA올림픽을 기폭제로 하여 자신감을 가지고 스포츠를 하게 되었고 스포츠 꿈나무들도 가슴을 펴며
I set myself to win a gold.
(나는 금메달을 따도록 노력하겠다.)
I set myself to win a gold in 2002.
(나는 2002년에 금메달을 따도록 노력하겠다.)
라는 다짐을 굳건히 하고 노력하는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We should exert all possible efforts.
(우리는 가능한 모든 노력을 다해야 한다.)
모든 선수들이 이를 악물고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국민들이 이들을 뒷받침할 때
Our efforts will be rewarded.
(우리의 노력은 보상을 받을 것이다.)
Heaven helps those who help themselves.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기 때문이다.)
29. He is a phony doctor.
(그분은 가짜 박사님입니다.)
요즘 신문에 다시 가짜 박사님들의 얘기가 오르내리는 것 같다. 나는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받기는 하였으나 졸업식에 참석하지 못해 집에는 학위수여식 당일 사진이 없으므로 친구들이
You are a phony doctor.
(너는 가짜박사다.)
라고 놀려대는데 별로 할 말이 없는 형편이다. 이 세상에는 무슨 가짜가 얼마나 많은지
He is a bogus student.
(그는 가짜 학생이다.)
He is a phony detective.
(그는 가짜 형사다.)
He is bogus reporter.
(그는 가짜 기자다.)
He is a quack doctor.
(그는 가짜 의사다.)
등으로 가짜가 판을 치니 진짜는 별로 할 말도 없다. 예술품이나 골동품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어서
There are many fake antiques.
(가짜 골동품이 많이 있다.)
It's a fake picture.
(이건 가짜 그림이다.)
There are many imitations in the works with Chusa's signature.
(추사 김정희의 도장이 찍힌 가짜 그림이 많다.)
30. Everyone makes mistakes.
(누구나 잘못을 저지른다.)
사람들은 누구나 잘못을 저지르게 마련이다. 어린아이들의 잘못, 청소년들의 탈선에 대하여 물론 따끔하게 야단을 쳐야 하겠지만 다음처럼 긍정적인 관용을 보이면 어떨까
If you make a mistake don't be sad and don't be mad.
(네가 잘못을 저지른다면 슬퍼하거나 성을 내지 마라.)
I'm still your friend and I still like you.
(나는 여전히 너의 친구이고 너를 좋아한다.)
You know, everyone makes mistakes.
(너도 알겠지만 누구나 잘못을 저지른다.)
Your sister and your brother and your dad and your mother, too.
(너의 누나도 너의 형도 그리고 아버지도 어머니도 마찬가지로 잘못을 저지른다.)
Big people, small people, matter of fact, all people make mistakes.
(어른이나 아이나 실상은 모든 사람들이 잘못을 저지른다.)
Everyone in the whole wide world makes mistakes.
(이세상 모든 사람들이 다 잘못을 저지른다.)
So, start your work again.
(그러니까 네 일을 다시 시작해라.)
31. What do you enjoy doing?
(어떤 일을 즐겨 하십니까?)
I enjoy going to the movies.
(나는 영화 보는 것을 즐깁니다.)
I enjoy playing baseball.
(나는 야구를 즐겨합니다.)
I enjoy playing cards.
(나는 카드놀이를 즐겨합니다.)
I enjoy playing "Baduk".
(나는 바둑을 즐겨 둡니다.)
I enjoy home making.
(나는 가정에서 일하는걸 즐깁니다.)
I enjoy going to baseball games and like to see the players.
(나는 야구경기장에 가서 선수들의 게임모습을 즐겨 봅니다.)
사람에 따라서는 또 싫어하는 일도 많은데 요즈음 미국의 여성해방운동에 참여하는 주부들간에는
I avoid washing the dishes.
(나는 설거지하는 걸 싫어합니다.)
I avoid cooking the meals.
(나는 음식 만드는 일을 가급적 피합니다.)
I avoid making home.
(나는 가정 꾸려나가는 일은 않습니다.)
라고 강경한 자세를 취하는 경우도 있다.
32. They are David and Jonathan.
(그들은 막역한 친구다.)
친구를 위하여 자신의 목숨이라도 버릴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분명 그들은 행복한 사람이다. 이토록 친한 친구를 가리켜 영미인들은
They are David and Jonathan.
(그들은 막역한 친구다.)
라 표현한다. David와 Jonathan은 구약성서에 나오는 이스라엘의 왕인 Saul이 David를
죽이려고 할 때 Saul의 아들인 Jonathan왕자는 우정으로 David를 살려 주었는데 그들의 아름다운 우정을 기려서 이런 표현을 한다.
We have intimate relations.
(우리는 막역한 사이다.)
We have close friendship.
(우리는 막역한 친구다.)
We are hand and glove with each other.
(우리는 막역한 친구다.)
We are David and Jonathan.
(우리는 진짜 친구다.)
우리 나라에는 아주 어렸을 때부터 친구로 지내온 사이를 '죽마고우'라고 하는데 이 말은 영어로
He is my childhood friend.
(그 사람은 나하고 어릴 적부터 친구다.)
I have known him since we were boys.
(그는 나와 죽마고우다.)
라고 표현한다.
33. I was tickled to death.
(우스워서 죽을 뻔했다.)
심장이 약한 사람들이 한 번 웃기 시작하면 그칠 줄 모르고 웃다가 죽을 뻔했다는 얘기를 어디서들은 일이 있지만 다른 나랏말을 배우다 보면 가끔 너무나 웃기는 일이 자주 생긴다.
미국에서는 손님이 집에 오면
May I take your coat?
(외투를 이리 주시겠습니까?)
라고 말하면서 외투를 받아 옷장에 걸어두는 것이 에티켓이다. 한 한국 유학생이 집에 초대받고 온 미모의 아가씨에게 외투를 달라고 한다는 말이
May I take off your dress?
(옷을 벗겨 드릴까요?)
라고 해서 그 여성을 놀라게 만들었다. 이 얘기를 들었을 때
I was tickled to death.
(나는 우스워서 죽을 뻔했다.)
I almost split my sides with laughter.
(너무 웃다가 허리가 부러질 뻔했다.)
어떤 우스운 얘기를 들었을 때는 한참동안 신나게 웃다가 다음과 같이 말하면 된다.
Pardon me for laughter.
(웃은 것을 용서해 주십시오.)
But, that was so funny.
(그렇지만 너무 우스웠어요)
34. Come on in!
(어서 들어오세요!)
손님이 오셨을 때 약간 호들갑스럽게 안으로 모시는 것이 손님을 기쁘게 해드리는 일이 될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미국인은 손님이 왔을 때 그저
Come in, please!
(들어오세요)
라고 해도 될 것을 요란한 제스처를 쓰면서
Come on in!
(어서 들어오세요.)
라고 말한다. 외출을 할 때 같이 나갈 사람이 꾸물거리면
Come on out! we are late.
(빨리 나와. 늦었단 말이야.)
라고 재촉을 하기도 한다. 'come on'은 재촉을 할 때 많이 사용되는데 가령 어떤 사람이 할말을 하지 못하고 우물쭈물하고 있으면
What do you want? Come on! Please tell me, will you?
(아, 원하는 게 뭔지 빨리 말해 보라구. 응?)
Make it quick. come on!
(자, 어서 빨리 하라구.)
식으로 재촉을 하고 영 본론을 꺼내지 않고 우물거리는 사람에게는
Come on! Let's get down to business.
(자, 어서 본론을 말하라구)
35. Your attention, please.
(안내 말씀 드리겠습니다.)
외국여행을 하게되면 공항에서나 호텔에서나 또는 관광지에서 여러 가지 안내방송이나 안내원의 안내를 받게 되는데 그 때에 사용되는 첫마디가
Your attention, please.
이다. 이런 말이 들리면 귀를 기울이고 안내를 들을 준비를 갖추어야 한다. 좀더 점잖게 말하고자 할 때는
May I have your attention, please?
(잠깐 안내 말씀드리겠습니다.)
라고 한다. 여기 공항에서 자주 들을 수 있는 안내방송을 하나 소개하면
May I have your attention, please?
(안내말씀을 드리겠습니다.)
Korean Air Lines Flight No. 009 bound for Los Angeles is now ready for boarding.
(로스앤젤레스행 대한항공의 009기가 탑승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All passengers are requested to proceed to the government clearance area.
(승객 여러분은 출국수속을 취하시기 바랍니다.)
우리 나라의 국제공항은 비행기탑승을 위한 출구가 몇 군데 안되지만 Chicago공항이나 뉴욕의 J .F .Kennedy공항은 출구가 여럿이어서 자칫 잘못하다가는 비행기를 놓칠 수도 있으니 안내방송을 유의해 들어야 한다.
Information for the departing passengers on Flight No. 009, Korean Air Lines leaving at 10a.m. for Los Angeles.
(10시에 대한항공 009기편으로 로스앤젤레스로 가는 승객 여러분께 안내말씀을 드립니다.)
Passengers who have finished the formalities for departure are requested to come to the Gate No. 7.
(모든 출국수속을 마치신 분들은 7번 출구로 나와 주시기 바랍니다.)
이런 안내방송은 처음 들을 때는 어휘가 낯설어서 거의 들을 수가 없으나 Flight Number라든가 Gate Number 등 몇몇 표현에만 익숙해지면 쉽게 이해되는 것이니까 이런 표현들을 여러 번 반복해서 익혀두기 바란다. 호텔의 로비 등이나 Coffee shop에 앉아 있으면
May I have your attention, please? Mr. J. C. Ahn, Mr. J. C. Ahn, please come to this information desk.
(J. C. Ahn씨, 안내계로 좀 와 주십시오.)
라는 안내방송이 나오는 경우도 있다.
36. He is nobody's fool.
(그는 아주 똑똑한 사람이다.)
좀 어수룩한 사람은 다른 사람들의 놀림을 받게 되기 때문에 아마 이런 표현이 생겼을 것이다. 똑똑하고 자신의 위치에서 해야 할 일을 분명히 하는 사람을 가리켜서 미국인들은
He is nobody's fool.
(그는 자기 할 일을 분명히 하는 사람이다.)
라고 표현한다. 그러니까 어떤 학생이 자기 학급에서도 뛰어난 학생이고 또 축구를 할 때도 우수한 선수로써 자기의 할 일을 충실히 해 내었을 때
He is a person who does good work in the classroom and on the soccer field.
(그는 학급에서도 축구장에서도 자기 몫을 충실히 하는 사람이다.)
라고 정직하게 표현하는 것보다는
In the classroom and on the soccer field, he is nobody's fool.
라고 재미있게 표현하고 있다. 만일 어떤 사람을 주위에서 계속 놀려댄다면 그는
Do you think I was born yesterday?
(너희들은 내가 바본 줄 아느냐?)
I am nobody's fool.
(나는 놀림이나 받는 그런 사람이 아니다.)
I am no fool.
(나는 어리석은 사람이 아니란 말이다.)
라고 화를 내어도 좋을 것이다.
37. Don't say a rude thing.
(무례한 말을 하지 마세요.)
얼마 전에 우리 집 사람이 부산의 발전하는 모습을 보여 주려고 미국인들을 데리고 광복동 등지에 나갔을 때 많은 사람들이 이들 미국인에게 말을 함부로 해서 민망함을 금할 수 없었다는 얘기를 들었다. '껌둥이', '뚱뚱보', '미국놈', '계집애같이 생겼다', '원숭이'등은 괜찮은 편이고 차마 글로 쓸 수 없는 욕설을 외국인에게 함부로 한다는 것이었다.
Please don't say a rude thing to foreigners.
(제발 외국인에게 무례한 말을 하지 마세요.)
Please don't make an insulting remark.
(제발 무례한 말을 하지 마세요.)
Please stop your teasing.
(제발 놀리지 마세요.)
Aren't you ashamed of yourself?
(부끄럽지도 않으세요?)
Shame on you!
(창피한 줄 아세요.)
우리 나라에서 지성인임을 자처하는 사람들까지 '미국놈', '왜놈', '되놈'하는 고약한 버릇은 당장 고쳐야 할 것이다.
38. Heaven helps those who help themselves.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우리는 그토록 우리를 열광시키던 LA 올림픽을 잊을 수가 없다. 그 때 우리는 놀랍게도
We won six gold medals.
(우리는 여섯 개의 금메달을 땄다.)
그리고 이 것을 시점으로 우리는 스포츠 강국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체력은 국력이라는 말을 우리도 할 수 있게 되었고 88올림픽을 서울에서 치르는 놀라운 발전을 거듭하였고 2002년에는 월드컵축구를 개최하게 되는 당당한 나라로 발전하게 되었다. 그래서 선수들은 이 LA올림픽을 기폭제로 하여 자신감을 가지고 스포츠를 하게 되었고 스포츠 꿈나무들도 가슴을 펴며
I set myself to win a gold.
(나는 금메달을 따도록 노력하겠다.)
I set myself to win a gold in 2002.
(나는 2002년에 금메달을 따도록 노력하겠다.)
라는 다짐을 굳건히 하고 노력하는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We should exert all possible efforts.
(우리는 가능한 모든 노력을 다해야 한다.)
모든 선수들이 이를 악물고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국민들이 이들을 뒷받침할 때
Our efforts will be rewarded.
(우리의 노력은 보상을 받을 것이다.)
Heaven helps those who help themselves.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기 때문이다.)
39. He is a phony doctor.
(그분은 가짜 박사님입니다.)
요즘 신문에 다시 가짜 박사님들의 얘기가 오르내리는 것 같다. 나는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받기는 하였으나 졸업식에 참석하지 못해 집에는 학위수여식 당일 사진이 없으므로 친구들이
You are a phony doctor.
(너는 가짜박사다.)
라고 놀려대는데 별로 할 말이 없는 형편이다. 이 세상에는 무슨 가짜가 얼마나 많은지
He is a bogus student.
(그는 가짜 학생이다.)
He is a phony detective.
(그는 가짜 형사다.)
He is bogus reporter.
(그는 가짜 기자다.)
He is a quack doctor.
(그는 가짜 의사다.)
등으로 가짜가 판을 치니 진짜는 별로 할 말도 없다. 예술품이나 골동품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어서
There are many fake antiques.
(가짜 골동품이 많이 있다.)
It's a fake picture.
(이건 가짜 그림이다.)
There are many imitations in the works with Chusa's signature.
(추사 김정희의 도장이 찍힌 가짜 그림이 많다.)
40. Everyone makes mistakes.
(누구나 잘못을 저지른다.)
사람들은 누구나 잘못을 저지르게 마련이다. 어린아이들의 잘못, 청소년들의 탈선에 대하여 물론 따끔하게 야단을 쳐야 하겠지만 다음처럼 긍정적인 관용을 보이면 어떨까
If you make a mistake don't be sad and don't be mad.
(네가 잘못을 저지른다면 슬퍼하거나 성을 내지 마라.)
I'm still your friend and I still like you.
(나는 여전히 너의 친구이고 너를 좋아한다.)
You know, everyone makes mistakes.
(너도 알겠지만 누구나 잘못을 저지른다.)
Your sister and your brother and your dad and your mother, too.
(너의 누나도 너의 형도 그리고 아버지도 어머니도 마찬가지로 잘못을 저지른다.)
Big people, small people, matter of fact, all people make mistakes.
(어른이나 아이나 실상은 모든 사람들이 잘못을 저지른다.)
Everyone in the whole wide world makes mistakes.
(이세상 모든 사람들이 다 잘못을 저지른다.)
So, start your work again.
(그러니까 네 일을 다시 시작해라.)
41. It's hibernating.
(그건 동면하고 있다.)
어떤 동물들은 추운 겨울이 되면 굴속이나 땅속에 숨어 들어가서 깊은 겨울잠을 지게 된다. 다람쥐나 곰, 개구리가 겨울잠을 자는 이유는 겨울에는 먹이가 없기 때문이다.
In the summer there is usually plenty of food for animals to eat.
(여름에는 동물들의 먹이가 많다.)
However, in the winter there is less food to be found.
(그러나 겨울에는 동물의 먹이가 별로 없다.)
Some animals go south, where it's warmer.
(어떤 동물들은 따뜻한 남쪽으로 내려간다.)
Some bury nuts and seeds under the ground in the summertime, and in the winter they can dig them up.
(어떤 동물들은 밤 종류나 씨앗들을 여름동안에 땅속에 묻어 두었다가 겨울에 꺼내어 먹는다.)
Some animals go to sleep for most of the winter.
(어떤 동물들은 겨울동안 겨울잠을 잔다.)
They are hibernating.
(그들은 동면하고 있는 것이다.)
요즈음 신문지상이나 텔레비전에는 동면하는 개구리를 잡아서 먹는 치사한 인간의 모습을 보여두고 있다. 남을 해치기 싫어서 동면하고 있는 동물계의 신사를 잡아먹는 신사는 정말 신사인가?
42. They help each other.
(그들은 서로 돕는다.)
어느 외로운 작은 섬에 두 사람이 살고 있다고 가정해 보자. 그 두 사람은 서로 다른 사람을 위하여 무엇을 할 것인가?
They help each other.
(그들은 서로 돕는다.)
They support each other.
(그들은 서로 위한다.)
They respect each other.
(그들은 서로 존경한다.)
They defend each other.
(그들은 서로를 방어해 준다.)
They admire each other.
(그들은 서로를 찬양한다.)
They rely on each other.
(그들은 서로 의지한다.)
They trust each other.
(그들은 서로 믿는다.)
They have faith in each other.
(그들은 서로 신뢰한다.)
They love each other.
(그들은 서로 사랑한다.)
이 두 사람은 비록 무인도에 있더라도 행복한 사람들임에 틀림없다. 사회라는 것은 실상 두 사람에서부터의 관계가 이토록 아름다울 수 있다면 우리 전체 사회도 아름다운 낙원이 될 것이다.
43. Go straight ahead.
(쭉 똑바로 가십시오.)
요즈음 도심지나 관광지에 가보면 쉽게 외국인들을 만나게 된다. 물론 그 외국인들이 다 영미인들은 아니지만 여러분에게 다가와서 길을 묻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 요즈음은 우리 나라 사람들도 외국에 나가는 경우가 많고 따라서 낯선 곳에서 길을 물을 때도 많다. 길을 물을 때에는 제일 먼저 상대방의 주의를 끌어야 하므로
Excuse me.
(실례합니다.)
Pardon me.
(실례하겠습니다.)
라고 말을 걸어야 한다. 상대방이 주의를 이쪽으로 돌리면
Can you tell me the how to get to Hilton Hotel?
(Hilton호텔 가는 길을 가르쳐 주세요.)
Can you tell me the way to Hilton Hotel?
Can you tell me the best way to Hilton Hotel?
Can you tell me if this is the right way to Hilton Hotel?
하고 길을 물어보게 되는데 내 경험에 의할 것 같으면 너무 유창한 영어로 묻는 것보다는 좀 더듬거리면서 물어보면 더 친절하게 가르쳐 주는 것 같다. 상대방이 길을 잘 안다면
Sure . Go straight ahead for about three blocks.
(아, 가르쳐 드리고 말고요. 약 세 블록쯤 똑바로 가세요.)
Turn right on Fifth Avenue.
(Fifth Avenue에서 오른쪽으로 돌아가세요.)
Then, You'll see Hilton Hotel.
(그러면 Hilton호텔을 보게 될게예요.)
It's on the right hand side.
(Hilton은 오른편에 있어요.)
You can't miss it.
(절대 못 찾을 리가 없을 거예요.)
만일 어떤 외국인이 여러분에게
Pardon me, Can You tell me how to get to the Post Office?
(죄송하지만 우체국 가는 길 좀 가르쳐주세요.)
라고 물었다면 다음처럼 대답할 수도 있겠다.
Certainly. Just follow this street two blocks.
(가르쳐 드리고 말고요. 그냥 이 길을 따라서 두 블록만 가세요.)
Then, take a left and the Post Office will be on your right.
(그 다음엔 왼쪽으로 돌아가세요. 그럼 우체국이 바른쪽 편에 있을 거예요.)
44. Easy
(천천히!)
깨어지기 쉬운 물건을 옮길 때 우리는
Be careful!
(조심해라.)
It's a fragile article.
(그건 깨지기 쉬운 물건이다.)
Please handle it with care.
(깨지지 않도록 조심해서 다루어라.)
라는 식으로 말하기가 쉬운데 미국인들은 이런 경우 조심하라는 뜻으로
Easy!
(천천히!)
라는 재미있는 표현을 한다. 물론 어떤 일을 급하게 서두를 경우에도
Take it easy!
(침착해라!)
Please take your time.
(천천히 해라.)
Make haste slowly.
(천천히 서둘러라.)
라는 충고를 하게 된다. 장거리 육상선수들의 경우 다른 선수가 좀 빨리 뛰어간다고 해서 무리를 해서 그를 따라잡다가는 경기가 엉망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코치들은 선수들에게
Keep your pace!
(너 자신의 페이스를 지켜라!)
라고 충고한다. 급할수록 바쁠수록 한 번쯤 'Easy'라는 말을 생각해야 한다.
45. The matter is under investigation.
(그 문제는 조사중이다.)
우리 나라 컬러텔레비전의 미국 수출이 덤핑이라고 판정되어 우리의 입장이 난처한 것 같다. 그래서 재심을 청구했는데 이번에는 덤핑 마진 율이 50%에 이르는 것으로 예비판정을 받았다니 누구의 잘못인지는 몰라도 어처구니가 없는 노릇이다.
The matter is under investigation.
(그 문제는 현재 조사중이다.)
The matter is under rigorous investigation.
(그 문제는 엄밀히 조사중이다.)
A secret investigation is proceeding.
(비밀조사가 진행중이다.)
이런 말이 들릴 때는 그런 대로 잘될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번 예비 판정의 결과를 보면 왜 진작 철저한 자료제출을 하지 않았는가를 묻지 않을 수 없다. 미국인들은 사업을 하거나 공적인 일을 처리할 때 철저할 정도로 수치와 자료를 가지고 이야기하며 막연한 인간적인 약속에는 얽매이지 않는 습관이 있는데 우리측이 이런 미국인의 습성을 간과한 것을 아닌지? 다행히
The investigation of the matter have not yet been finished.
(그 문제의 조사는 아직 완료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막연한 기대만 가지고 있을 것이 아니고 철저하고 공정한 자료제출로 공정한 판정을 받기를 기대한다.
46. They condemn each other.
(그들은 서로 비난한다.)
어느 고도에 두 사람이 살고 있다. 그런데 이들의 관계는 어쩐 일인지 부정적인 방향으로만 나가고 있다.
They criticize each other.
(그들은 서로 비판한다.)
They fight each other.
(그들은 서로 싸운다.)
They destroy each other.
(그들은 서로를 파괴한다.)
They distrust each other.
(그들은 서로를 불신한다.)
They have no faith in each other.
(그들은 서로 신뢰하지 않는다.)
They condemn each other.
(그들은 서로 비난한다.)
They hate each other.
(그들은 서로 미워한다.)
어느 분이 지옥에 가 보았더니 진수성찬이 차려져 있었으나 숟가락이 너무 길기 때문에 아무도 먹지 못하고 기아선상에서 싸움만 일삼더란다. 그러나 천국에 가보았더니 지옥처럼 긴 숟가락이 놓여 있었으나 그것으로 서로 상대방을 먹여 주기 때문에 모두 진수성찬을 즐기고 있었다고 한다. 사실 천국이란 그런 곳이라고 생각한다. 두 사람이 서로 다른 사람을 위하려고 할 때 거기에 천국이 있는 것이다.
47. I live with my family.
(저는 가족들과 같이 삽니다.)
미국은 쉴새없이 움직이는 사회가 되어서 그런지는 모르나 집을 떠나서 혼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I live with my family.
(나는 가족과 같이 살고 있습니다.)
I don't live with my family.
(나는 가족과 떨어져서 살고 있습니다.)
라는 말을 자주 하고 또 자주 듣게된다. 내가 미국에서 공부를 할 때도 사람들이 가끔
Do you live with your family?
(가족들과 같이 살고 있습니까?)
Do you live alone?
(혼자 살고 있습니까?)
라는 질문을 하곤 했는데 그때마다 나는
Yes, I live with my family.
(예, 가족들과 같이 살고 있습니다.)
라고 대답한다는 것이
Of course, I live with my family.
(물론 가족들과 같이 살고있습니다.)
라고 대답하곤 했는데 이때 사용된 'Of course'는 미국사람의 입장에서는 전혀 이해가 되지 않는 '물론'이다.
Are you married?
(결혼했습니까?)
라는 질문에 대답할 때도'Of course'를 쓰는 것은 너무나 괴상한 대답이 된다.
48. One lucky venture made his fortune.
(단 한번의 투기가 들어맞아서 돈을 벌었다.)
돈은 마땅히 노력의 대가로서 주어져야만 한다. 노력한 사람이 돈을 벌고 게으른 사람은 돈이 없어야 한다.
Diligence made his fortune.
(근면이 돈을 벌게 했다.)
His blood-and-tears endeavor made him rich.
(그의 피눈물 나는 노력이 그를 부자로 만들었다.)
이런 이야기가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이런 분들이 우리 주위에 흔히 보여질 때 우리는 정의로운 사회에 살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His political position made his fortune.
(그의 정치적 위치가 한 재산 벌게 했다.)
His political power made him rich.
(그의 정치 권력이 부자가 되도록 만들었다.)
His illegal venture made him rich.
(그의 불법적인 투기사업이 그를 부자로 만들었다.)
이런 이야기가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면 양심적으로 정당하게 한푼 두푼 만들어 보려고 노력하는 서민들도
I will do anything and everything for money.
(돈을 위해서라면 무슨 짓이든지 하겠다.)
라는 부정적 심리상태를 갖게 될 것이다.
49. He is a friend to many people.
(그분은 많은 사람의 친구입니다.)
'돈이 많다', '학식이 많다', '잘 생겼다' 이런 말을 듣는 것도 괜찮은 일이겠으나 나로서는
He is a friend to many people.
(그분은 많은 사람들과 친구로 지냅니다.)
라는 말을 듣고 싶다. 남들로부터 존경과 사랑을 받으면서 살 수 있다면 그게 가장 행복한 인생이 아니겠는가? 다음에 적힌 글은 어떤 고등학생이 평범한 소망이다.
Someday I will be famous.
(언젠가 나는 유명한 사람이 되겠다.)
I will be a popular radio announcer.
(나는 인기 있는 방송국 아나운서가 되겠다.)
My program will be on the radio early in the morning.
(내 프로그램은 라디오에서 이른 아침에 방송될 것이다.)
It will be exciting and lively.
(내 프로그램은 재미있고 활력이 넘칠 것이다.)
It will be helpful.
(내 프로그램은 사람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I will be a friend to many people.
(나는 많은 사람들이 친구가 될 것이다.)
50. The statement is too general.
(이 말은 너무 막연하다.)
우리는 어떤 설명을 할 때나 주장을 할 때나 비평을 할 때 막연한 표현을 사용하기를 좋아하는 듯 싶다. 그래서 해석하는 사람에 따라서 노루가죽 위에 씌어진 가로曰자처럼 이렇게도 저렇게도 해석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여기에 비해 미국인들은 설명 주장 비평들이 구체적이고 족집게 식이 되지 않으면 신경질인 반응을 불러일으킨다. 그래서
The statement is too general.
(그 말은 너무 막연하다.)
That's a vague idea.
(그건 막연한 생각이다.)
That's a nebulous idea.
(그건 막연한 의견이다.)
라고 지적하면서
Show me your concrete plan.
(네 구체적인 계획을 말해봐라.)
Please speak in concrete terms.
(구체적으로 말해라.)
라고 구체적인 표현을 해 주기를 부탁하곤 한다. 나도 이런 미국식 생각에 빠져들었는지는 모르겠으나 회의에 참석해 보면 참석자들이 막연한 의견만 막연하게 제시함으로써 몇 시간동안 회의를 하고 나서도
Nothing definite has been decided upon.
(구체적인 것은 아무 것도 결정된 게 없다.)
라는 사실을 자주 발견하곤 한다.
51. My parents are still living.
(양친이 다 살아 계십니다.)
외국인들에게 가족에 대한 소개를 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런 평범한 표현들도 막상 외국인을 대하고 나서는 엉망진창이 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가령 어느 외국인이
Do you have any brothers?
(형제분이 계십니까?)
라고 물었을 때 형제가 둘이라면
I have two brothers.
(형제가 둘입니다.)
라고 대답하면 되겠지만 하나뿐이면 뭐라고 할 것인가? 이런 경우는
I have one brother.
(형제가 하나 뿐입니다.)
He is my younger brother.
(그는 내 동생이에요.)
라고 하면 되겠다. 양친부모가 다 살아 계시다면 영어표현으로는
My parents are still living.
(부모님이 다 살아 계십니다.)
라고 하면 되고 한쪽만 살아 계신다면
My father died two years ago, but my mother is still living.
(아버님은 2년 전에 돌아가셨지만 어머님은 아직 살아 계십니다.)
She lives with my family.
(어머님은 우리 가족과 같이 살고 계십니다.)
라고 표현하면 되겠다.
52. This place is too public.
(이곳은 남의 눈에 띄기 쉽다.)
남에게 자신을 노출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대체로는 남의 눈에 띄는 것을 그리 좋아하지 않는 것 같다. 그래서 데이트를 하는 사람들은 조용한 장소를 찾게되고 또 비밀회담을 하는 사람들도 밀폐된 장소를 찾게 마련이고 집에는 담을 둘러치고 사무실에는 칸막이를 둘러치게 마련.
There are too many eyes around here.
(여기는 남의 눈이 너무 많군요.)
Let's find out a secret spot.
(조용한 곳을 찾읍시다.)
I have something for your private ear.
(비밀히 말씀드릴 것이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남의 눈을 피하려해도 세상에 이름이 좀 알려진 사람은
You can't avoid the eyes of others.
(다른 사람들의 눈을 피할 수 없다.)
No secret but will come to light.
(세상에 비밀은 없다.)
그러니까 결국 남의 눈에 띄어서 좋지 않은 일은 아예 그만 두거나 아니면 남이야 뭐라던
I ignore the presence of others.
(나는 남의 눈을 개의하지 않는다.)
53. No man stands alone.
(아무도 혼자 살 수 없다.)
이 세상을 살아갈 때 우리는 서로 협력을 하면서 살아가야 한다.
Man is a social animal.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라는 격언이 보여 주는 것처럼 인간은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는 존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좀 출세를 하거나 경제적인 여력이 생기면
I can stand all by myself.
(나는 혼자 살아 갈 수 있다.)
I don't need anyone's help.
(나는 아무의 도움도 필요 없다.)
라고 건방을 떨게 되니 참으로 한심스러운 일이다. 일부 일본인들이 경제대국이 되었다고 해서 오만해 하는 것을 보면 안타깝기 짝이 없다. 우리는 언제나 협력하면서 살아가야 하는 존재이므로
We need one another.
(우리는 서로가 필요하다.)
Your joy is joy to me.
(너의 기쁨은 나의 기쁨이다.)
Your grief is my own.
(너의 슬픔은 곧 나의 것이다.)
라는 생각을 가지고 서로 도와가며 살아야 할 것이다.
No man stands alone.
(아무도 혼자 살수는 없는 것이다.)
54. Do you know how to spell "relief"?
(너 "relief"의 철자를 아니?)
미국 텔레비전의 광고에 아주 재미있는 광고가 있다. 그것은 Rolaids라는 약품광고로서 통증을 없애 주는 아스피린 종류의 약을 선전하고 있다. 선생님 타입여성이 흑판 앞에 서서 시청자들에게
Do you Know how to spell "relief"?
(너 "relief"의 철자를 쓸 수 있니?)
하고 물어본다. relief는 통증에서의 해방을 의미하는 단어이므로 당연히 r-e-l-i-e-라고 써야 할 것이나 TV 속의 선생님은 R-O-L-A-I-D-S라고 써야 한다고 가르친다. 훌륭한 선전술이다. 그러나 늘 TV 앞에 앉아서 TV 만 보는 꼬마 Johnny는 학교의 Spelling test에서 교사가 "relief"의 철자를 물었을 때 "rolaids"라고 주저 없이 쓴 결과
He's got a bad score for his spelling test.
(그는 철자시험에서 나쁜 점수를 받았다.)
라는 사실에 있다. 이건 미국에서 일어날 수 있는 얘기지만 우리 가정에서도,
Mommy is watching TV.
(엄마는 TV를 보고 있다.)
Daddy is watching TV.
(아빠도 TV를 보고 있다.)
Johnny is watching TV.
(자니도 TV를 보고 있다.)
우리는 정말 심각하게 반성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55. Health is above Wealth..
(건강이 재산보다 중요하다.)
아마 자신의 건강문제에 무관심한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래서 예로부터
Health is above wealth..
(건강이 재산보다 더 중요하다.)
라는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오고 있고
How's your health of late?
(최근 건강상태가 어떻습니까?)
Thank you. I'm enjoying excellent health..
(제 건강은 최상의 상태입니다.)
라는 대화가 늘 오고 가고 있다. 미국인들은 지나치다고 할 정도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아서 평소의 대화중이나 파티장소에서도 건강에 대한 이야기를 자주 주고받는다.
가령 어떤 숙녀가 멋진 건강미를 가지고 있다면
How do you keep in shape?
(어떻게 그토록 좋은 건강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까?)
라고 격의 없는 질문을 하게 되고 그러면 그 숙녀는 환한 미소를 지으며
I jog every morning.
(저는 매일 아침 달리기를 하지요.)
I exercise regularly.
(늘 규칙적인 운동을 해요.)
I take walk every morning.
(매일 아침 산책을 해요.)
라고 대답을 할 것이다. 미국에는 날씬한 사람은 돈 많은 사람이고 뚱뚱보는 가난한 사람이라는 얘기가 있는데 실제로 내 경험에 의하면 이 말은 꼭 맞는 말인 듯 싶다. 우리 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뚱뚱한 분들이 존경을 받는 경향이 있는 듯 한데 이런 이유 때문에 어떤 미국인 친구에게
I'm afraid I'm so skinny.
(내가 너무 바싹 말라서 걱정이야.)
라고 말하면 그 친구는 아마 눈이 휘둥그레지면서
What do you mean by that? You are in good shape.
(너 무슨 소리 하는 거야? 지금이 아주 멋진 상태인데.)
라고 하면서 이해할 수 없다는 표정을 지을 것이다. 영어문화권에서는
I'm gaining weight.
(몸무게가 자꾸 늘어요.)
I'd better watch my weight.
(몸이 자꾸 뚱뚱해 져서 걱정이에요.)
I should be on a diet.
(음식 먹는 것 조정해야겠어요.)
라고 말해야 문제가 되지 날씬한 상태는 결코 문제가 될 수는 없는 것이다. 우리 나라도 경제 상태가 선진 권에 육박하면서
I must lose at least 5 pounds.
(나는 한 5파운드 정도 몸무게를 줄여야해.)
라는 걱정소리가 여기 저기서 들려오는 걸 보면 우리의 뚱뚱함의 미학도 선진화되는 것 같아 자못 재미있다.
56. He is a forgotten man.
(그는 잊혀진 존재다.)
인생의 화려한 무대에서 주인공으로서 온갖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활약하다가 갑자기 사라져 버리는 사람들이 우리 주위에는 가끔 있다. 그래도 주위에서
He was once a famous actor.
(그는 한때 유명한 배우였다.)
He was once a famous politician.
(그분은 한때 유명한 정치가였다.)
He was once a great scholar.
(그분은 한때 굉장한 학자였다.)
라는 말을 들을 때는 괜찮은 편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주위에서
I don't know who he is.
(나는 그가 누구인지 모른다.)
Who cares!
(그가 누구인지 알게 뭐람!)
라는 말을 듣게 되면 그는 정말 불행한 사람임에 틀림없다.
He is a forgotten man.
(그분은 잊혀진 분입니다.)
인생이란 언제나 이런 식으로 되어 가는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나는 가끔
He is lost before God.
(그는 신에게 버려진 존재다.)
라는 말은 결코 듣지 말아야겠다고 생각해본다.
57. What's he like?
(그 친구는 어떤 사람인데?)
자신에게 일어난 일이라든가 자신이 목격한 일을 얘기해 줄 상대가 있다는 것은 분명 행복한 일이다. 어떤 놀라운 사실을 혼자 알게 되었는데 그걸 남에게 얘기할 수 없다면, 그걸 들어줄 상대가 없다면 얼마나 답답하랴?
I have a new boyfriend.
(나 남자친구가 하나 생겼어.)
약간 흥분된 상태로 이런 얘기를 꺼내는 친구에게 아주 밝은 표정으로
What's he like?
(어떤 사람인데?)
라고 받아주면 아름다운 대화가 계속 이어지게 될 것이다.
He is very talented and intelligent.
(그 사람 아주 재능이 있고 지성적이야.)
이런 말을 듣고 나서는 얼른
What else?
(그래 또 어떤 점이 있니?)
라고 그 다음 말을 재촉하면
He is well-educated and handsome.
(그 사람 공부도 많이 했고 미남이야.)
라는 대답을 듣게 될 것이다. 인간의 말이라는 것은 상대적인 것으로 말을 듣는 쪽에서 잘 이끌어 주어야만 대화가 원만하게 진행되는 법이다.
What's he like? What else?
(그가 어떻게 생겼는데?)
이런 대화촉진을 돕는 말을 많이 공부하기 바란다.
58. His birth explains it.
(태생이 태생이니 만큼 어쩔 수 없다.)
태생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는 모르지만 우리 나라 사회에서는 아직도 이 태생문제가 심각한 것 같다. 특히 결혼이란 대사를 치를 때
Where do you come from?
(너의 태생이 어디냐?)
Where were you born?
(너의 출생지가 어디냐?)
Where is your place of origin?
(본관이 어디냐?)
를 따지게 된다. 요즘은 특히 뿌리 찾기 운동이라고 해서 초등학교 아이들도 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 고조할아버지를 따지는데 양반출신이 아닌 가문에서는 크게 당혹감을 느낄 것 같다. 어쨌든 어떤 사람이 잘못을 저질렀을 때
His birth explains it.
(태생이 그러니 어쩔 수 없다.)
라고 말하는 것은 심한 느낌이 든다.
He is well-born and well-bred.
(그분은 태생도 좋고 교육도 잘 받았다.)
이런 사람만이 출세할 수 있다면 그 사회는 문제가 있다고 생각된다. 미국에는 이런 격언이 있는데 깊이 음미해 볼 필요가 있다.
Birth is much, but breeding is more.
(태생보다 집안교육이 더 중요하다.)
59. He is a born teacher.
(그분은 천생으로 선생님입니다.)
세상에 때어날 때부터 이미 선생님이 될 운명을 타고난 듯이 보이는 훌륭한 선생님들이 계시다. 학생들과 이야기하는 것을 좋아하고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을 좋아하면서 다른 방면으로 출세한 길이 있어도 그쪽으로 한눈도 팔지 않으시는 선생님을 가리켜
He is a born teacher.
(그분은 선생님이 되려고 태어난 분이다.)
라고 말한다. 우리 주위를 가만히 살펴보면
He is a born poet.
(그분은 천생으로 시인이십니다.)
He is a born soldier.
(그분은 천생으로 군인이십니다.)
He was destined from birth for the army.
(그분은 군인으로 될 운명을 가지고 태어나신 분입니다.)
He is a born singer.
(그분은 가수가 될 운명을 가지고 태어난 사람입니다.)
He is a born musician.
(그분은 천생이 음악가입니다.)
He is a merchant by nature.
(그분의 천생의 장사꾼입니다.)
라고 밖에는 볼 수 없는 분들이 많이 있음을 볼 수 있다.
60. She goes out a great deal.
(그분은 외출을 자주 하십니다.)
옛날과는 달리 요즈음은 가정주부들도 자주 외출을 하게 된다. 미국의 경우는 가정주부들이 자원봉사자(Volunteer)로서 여러 가지 사회봉사활동을 맡고 있어서 더욱더 외출을 많이 하게 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그래서 어떤 부인이 늘 가정에만 매여 있으면
She is a stay-at-home.
(그분은 늘 집에만 박혀있어요.)
라고 오히려 이상하다는 평을 듣게 된다. 미국가정에서는 토요일이나 일요일에
We have our Sundays out.
(우리는 일요일에는 늘 외출을 한다.)
We have our Saturdays out.
(우리는 늘 토요일에는 외출을 한다.)
라는 식으로 온 가족이 외출을 하는 경우가 많다 . 그러므로 주말에 어느 집을 방문하고 싶으면 반드시 전화를 먼저 걸어서 확인을 해야 한다. 특히 외출을 자주 하는 사람들, 즉
She is a get about.
(그분은 늘 외출을 한다.)
She goes out a great deal.
(그분은 자주 외출을 한다.)
이런 분을 방문할 때는
You'd better call her and found out if she is at home.
(전화를 걸어서 집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61. It was one-sided decision.
(그건 일방적인 판정이다.)
김동길 선수가 미국선수에게 판정패를 당했을 때 텔레비전을 보던 많은 시민들이 굉장히 분통을 터뜨렸었다.
It was unfair.
(그건 불공평하다.)
It was a home town decision.
(그건 텃세에 의한 판정이다.)
The decision can't be justified.
(그 결정은 정당화될 수 없다.)
Mr. Kim won by two or three points.
(김동길 선수가 2,3점은 이겼다.)
It should be a 3-2 split decision for Mr. Kim.
(3-2로 김 선수가 판정승을 해야 한다.)
모두 다 일가견을 가지고 김동길 선수의 우세를 주장했지만 결국 판정은 번복되지 않았다. 어떤 분은 너무나 화가 나서 미문화원에 전화를 걸어서 항의했다고 하는데 그 심정은 충분히 이해가 되지만 조금만 냉정을 되찾고 보면 올림픽에서의 오심과 미문화원은 아무런 관계도 없는 일이다. 심판자체가 주관적인 것이므로 결국은 완전하게 이겨서
He won the match in a unanimous decision.
(그는 심판 전원 일치의 판정승을 거두었다.)
라는 말을 듣도록 하면 오심문제는 제기되지 않을 것이다. 김 선수의 건투를 빈다.
62. Let's conserve energy.
(에너지를 아낍시다.)
얼마 전에 에너지 절약을 위한 연습이 있었다. 차량들이 짝수 홀수로 나뉘어서 하루동안 운행을 정지하는 훈련으로 막대한 에너지의 소비를 절약했다고 한다. 전혀 석유를 생산하지 못하는 우리로서는 에너지를 아낀다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Let's conserve energy.
(에너지를 절약하자.)
Let's conserve gasoline.
(가솔린을 절약하자.)
Let's conserve electricity.
(전기를 절약하자.)
라는 구호는 정말 구호로만 그쳐서는 안 될 것이다. 에너지 절약과 함께 또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오염된 자연을 정화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Let's clean up the air.
(공기를 정화시키자.)
Let's clean up the water.
(물을 정화시키자.)
Let's protect wild animals.
(야생동물을 보호하자.)
Let's protect the environment.
(자연환경을 보호하자.)
Let's do it right now.
(바로 지금 이런 일들을 하자.)
63. What's up?
(야, 별일 없니?)
사람들은 만날 때마다 인사를 하게 마련이다. 그런데 그 인사법을 가만히 고찰해 보면 참으로 재미있는 내용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는 별로 이상하게 생각지도 않고
Have you eaten?
(진지 잡수셨습니까?)
라고 인사를 하곤 하는데 이런 표현은 영어로는 밥을 먹었느냐 안 먹었느냐하는 사실의 확인이외에는 전혀 인사로서의 의미가 없는 것이다. 또 우리는
Where are you going?
(어디 가십니까?)
라는 말을 자주 하는데 이것도 영어에서는 남의 프라이버시를 침범하는 무례한 질문으로 들릴 뿐이니까 조심해야 할 것이다. 한편 미국인들의 인사는
Good morning.(좋은 아침입니다.)
을 비바람이 치는 아침에 듣는다면 이 또한 우리 문화에서는 웃기는 인사가 될 것이다. 어쨌든 우리말과 마찬가지로 영어에도 점잖게 하는 인사가 있고 친구사이에서 꾸밈없이 하는 정겨운 인사가 있는데 그 예를 보면
Kim :Good morning, Dr. Ahn.
(안 박사님, 안녕하십니까?)
Ahn :Good morning, Dr. Kim.
(김 박사님, 안녕하십니까?)
또는
Kim :How are you? Dr. Ahn.
Ahn: Fine, thank you.
등은 공식적인 자리에서의 인사가 될 것이고
Ahn: Hi, Tom. How are you doing?
(야, 톰. 어떻게 지내니?)
Tom: Not bad.
(그저 그래.)
등은 친구사이의 비공식적인 인사가 될 것이다. 좀더 절친한 사이에서는
What's up? Tom.
(톰, 너 요새 어때?)
What's new? Tom.
(톰, 별일 없니?)
라는 인사를 하는 것을 들을 수 있는데 이런 인사에 익숙해 있지 않은 우리들은 어떻게 대답해야 될지 당황하게 된다. 이런 때는
Not much.
(그저 그래.)
Nothing special.
(뭐 별일 없어.)
등으로 대답하면 된다. 미국인들은 공식적인 경우에는 Dr. Mr.또는 Miss 다음에 성(last name)을 부르고 비공식적인 경우에는 그냥 이름(first name)만 부른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64. Let's go out some place for a change!
(기분 전환을 위해 어디 좀 나갑시다!)
날씨도 후덥지근하고 별로 텔레비전 프로그림도 재미가 없을 경우에는 한 번 기분전환을 위해서 뭔가 시도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러니까 남편 쪽이든 아내 쪽이든 먼저
Let's eat out for a change.
(기분전환을 위해 외식이나 합시다.)
Let's go to the seashore for a change.
(기분전환을 위해 해변에 나갑시다.)
Let's do something for a change.
(기분전환을 위해 뭐라도 합시다.)
Let's go out some place for a change.
(기분전환을 위해 어디 외출이나 합시다.)
라고 권해 볼만하다. 그러나 이런 제의를 받은 쪽이 시큰둥하게
I don't feel like going out tonight.
(나는 오늘밤 별로 나가고 싶은 기분이 아니다.)
정도로 나와 버리면 집안분위기는 기분전환을 시도하다가 오히려 폭풍전야가 될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이런 제안이 올 때에는
That's an excellent idea.
(그거 참 좋은 생각이군요.)
Let's do that.
(그렇게 합시다.)
라고 맞장구 치는 것이 좋을 것이다.
65. I will write to the TIMES.
(타임즈 지에 투서하겠다.)
영국인들은 어떤 부정적인 일이나 불의한 일이 저질러지고 있을 때
I will write to the TIMES.
(타임즈 지에 알리겠다.)
라는 말을 자주 한다고 한다. 그래서
"I will write to the TIMES" is a favorite threat of Britains.
('타임즈 지에 투서하겠다'는 말은 영국사람들이 흔히 쓰는 협박이다.)
라는 말이 영국인을 놀려대는 말로 등장할 정도이다. 사실상 영미인들은 투서를 잘하는 국민으로 알려져 있는데 한 번은 미국의 존슨 대통령이 자기가 기르는 개의 두 귀를 잡고 개를 버쩍 들어 얼린 것이 신문에 보도되어 동물애호협회 회원들로부터 수만 통의 항의 편지를 받은 일도 있다. 우리 나라 신문들도
Contributions are cordially invited.
(투고환영.)
이라고 하여 신문독자들이 투고하는 것을 환영하고 있고 각 행정관서에는
A Complaints box.
(투서함)
A suggestion box.
(투서함)
이 있어서 국민들의 불평이나 건의를 받아들이도록 되어 있다. 여러분도 아는 생활영어 칼럼에 좋은 의견이 있으시면
Please write me.
66. How is your business?
(사업이 잘 되어 갑니까?)
경기가 활성화되어 기업들이 눈코뜰 새 없이 바쁘게 돌아가고 공장들의 가동률이 100%라면 주변 사람들의 얼굴도 밝아지게 마련이고. 그래서 웃는 얼굴로
How is your business?
(사업이 재미있습니까?)
How is your business getting along?
(사업이 잘되어 갑니까?)
라고 물으면
Things have gone well with me.
(만사가 잘 되어갑니다.)
I have a thriving business.
(사업이 잘 되어 갑니다.)
It has progressed satisfactory.
(사업이 만족할 정도로 잘 돼 갑니다.)
My business is picking up.
(내 사업이 회복되고 있습니다.)
라고 대답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요즘 부산지방에서는 경기 부진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기업들이 있는 듯 하여 안타깝다. 아무쪼록 기업가들이
How is your business?
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
Not very good.
(별로 좋지 않아요.)
Not too good.
(그리 좋지 않아요.)
라고 대답하는 분이 별로 없었으면 하고 바란다.
67. He is the most serious person in the office.
(그분은 이 사무실에서 가장 진지한 분입니다.)
She is the most responsible person.
(그분은 가장 책임감이 있는 분입니다.)
He is the most careful person.
(그분은 아주 주의 깊은 분입니다.)
He is the most intelligent person.
(그분은 가장 지성적인 분입니다.)
He is the most patient person.
(그분은 가장 참을성이 있는 분입니다.)
She is the most serious person.
(그분은 가장 진지한 분입니다.)
She is the smartest person.
(그분은 가장 똑똑한 분입니다.)
She is the kindest person.
(그분은 가장 친절한 분입니다.)
He is the friendliest person.
(그분은 가장 우애 깊은 분입니다.)
He is the most understanding person.
(그분은 가장 이해 깊은 분입니다.)
이런 분들끼리 모여서 즐겁게 일하는 직장에는 늘 기쁨이 가득 할 것이다.
68. Please try to speak in English.
(영어로 말씀해 보세요.)
영어를 잘 공부하는 비결은 무슨 말이든지 영어로 말을 해보는 것이다. 미국사람이 옆에 없더라도 혼자 거울을 들여다보며 큰소리로 말해보는 것은 아주 좋은 훈련이 된다. 순전히 눈으로만 영어를 읽는 사람들이 있는데 회화공부를 위해서는 옆집 사람들이 시끄럽다고 이사를 갈 정도로 소리를 내어서 연습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좋은 영어문장을 발견하면
Please memorize it.
(그걸 외우세요.)
Please try to say it.
(그걸 말씀해 보세요.)
Please say it clearly.
(그걸 똑똑하게 말씀해 보세요.)
Please say it quickly.
(그걸 빨리 말씀해 보세요.)
Please say it more quickly.
(그걸 더 빨리 말씀해 보세요.)
Please say it in a louder voice.
(그걸 더 큰소리로 말씀해 보세요.)
Please don't look at it when you practise.
(연습할 때는 그 문장을 보지 마세요.)
어떤 문장을 큰소리로 말할 때는 상대방이 여러분 앞에 있다고 생각하고 연습을 하면 훨씬 더 효과가 있다.
Please try to speak in English.
69. Well I will try sink or swim.
(에라, 죽든 살든 부딪혀나 보자.)
험한 풍파와 같은 세상을 헤치면서 살아가려면
We will get into danger.
(우리는 위험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위험이 한 번만 닥쳐오는 것도 아니고 부단히 닥쳐오는 것이므로
I am confronted with many difficult problems.
(나는 많은 어려운 문제에 부딪치고 있다.)
I am raced by the gravest difficult in my life.
(나는 나의 생애 중에 가장 어려운 일에 직면하고 있다.)
라고 걱정만 할 것이 아니라 과감하게 위험에 직면하고 부딪쳐 보는 것이 옳은 것이다.
I will take my chance with the problem, though I have little hope of success.
(성공할 가망이 별로 없더라도 그 문제와 부닥쳐 보겠다.)
I'll face up to the problem with courage.
(용기를 가지고 그 문제에 부딪쳐 보겠다.)
이런 자세는 우리가 언제나 견지해야 될 것이다. 그러므로
Take your chance.
(한번 시도해 보아라.)
Do try, sink or swim.
(죽든 살든 부딪쳐보아라.)
70. Keep your vow.
(맹세한 것을 지켜라.)
과속을 내다가 사고를 낸 운전자들은 틀림없이 이런 맹세를 하게 될 것이다.
I'll never drive fast.
(나는 절대 과속운전을 하지 않겠다.)
그러나 인간은 원래부터 그런 것인지는 몰라도 굳게 다짐했던 맹세를 저버리고 이러쿵저러쿵 지기 합리화를 시키며 또다시 과속을 하면서 운전하게 된다. 우리 주위의 사람들이 흔히 하는 맹세를 볼 것 같으면
I'll never smoke again.
(다시는 담배를 피우지 않겠다.)
I'll never drink again.
(다시는 술을 마시지 않겠다.)
I'll never be late again.
(다시는 지각을 않겠다.)
I'll never be lazy again.
(다시는 게으르지 않겠다.)
I'll never oversleep again.
(다시는 늦잠을 자지 않겠다.)
I'll never lie again.
(다시는 거짓말을 하지 않겠다.)
I'll never cheat again.
(다시는 속이지 않겠다.)
등등이 될 것이다. 맹세를 하는 것도 좋겠지만 한 번 맹세한 것은 제발
Keep your vow.
(맹세를 지키세요.)
71. Smoking is dangerous to your health.
(담배는 몸에 해롭습니다.)
건강 식품이라고 하면 지렁이나 굼벵이를 먹는 것도 서슴지 않는 분들이 어떤 일인지 담배를 끊으라고 하면 선뜻 실천하지 못하는 것을 보면 무엇을 그만 둔다는 것은 그리 쉽지 않은 듯 싶다. 나는 미국에서 담배를 피우는 것이 몸에 해롭다는 내용의 영화를 본 일이 있는데 그 내용이 너무도 충격적 이어서 만나는 사람마다 금연을 권장하곤 한다.
Smoking is dangerous to your health.
(담배를 피우는 것은 몸에 해롭다.)
It often causes shortness of breath.
(끽연 때문에 숨이 가빠지고.)
It may lead to lung or throat cancer.
(끽연 때문에 폐암이나 후두암이 걸릴지도 모른다.)
Indigestion comes from smoke that gets into your stomach.
(소화불량도 담배연기가 위 속에 들어가서 발생한다.
Your teeth are going to become yellow with stain.
(하얀 이도 누렇게 변할 것이다.)
이런 정도의 경고를 받으면 금연할 만도 한데 그게 잘 안되는걸 보면 사람의 버릇이란 정말 무서운 것 같다. 상자 속에 있는 한 마리의 흰쥐가 담배 두 개비가 타는 연기에 중독 되어서 죽어버리는 장면을 직접 나처럼 영화를 통해 본다면 그 충격적인 장면때문에 담배를 끊지 않을까 생각된다. 전문의들은 끽연 자들에게 다음과 같이 경고하고 있다.
Your life span will be shorter than a non-smoker's.
(여러분의 수명이 담배를 안 피우는 분들 보다 보다 짧아질 것이다.)
However, if you stop smoking, you will add years to your life.
(그러나, 담배를 끊는다면 여러분의 수명은 연장될 것이다.)
If you don't stop smoking, you will have difficulty to climb stairs in a few year.
(만일 금연하지 않으면 수년 내에 여러분은 계단을 오를 때 어려움을 느낄 것이다.)
It's going to be difficult for your body to play any sport.
(운동을 하는데도 어려움을 느낄 것이다.)
72. That is a trickish point.
(바로 그 점이 어려운 문제다.)
어떤 어려운 문제를 풀어나가기 위하여 여러 사람이 모여서 의논을 할 때는 우선 서로 쉽게 동의할 수 있는 문제부터 하나하나 해결해 나가는 게 현명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사회자가
Do you agree?
(동의합니까?)
Do you agree with me?
(제 이견에 동의합니까?)
Do you agree with me on this point?
(이 점에 대해서 동의하십니까?)
라고 물을 때 쉽사리
I am with you on that point.
(그 점에 대하여 동의합니다.)
라고 대답함으로써 회의진행이 빨라질 것이다. 그러나 문제의 핵심에 파고들었을 때 깊이 생각해 보고 검토해 보아야할 문제에 직면하게 되면
That is a trickish point.
(그 점은 좀 어려운 문제지요.)
That is a delicate point.
(그 점은 좀 미묘한 문제지요.)
That is a knotty problem.
(그 점은 잘 안 풀리는 어려운 문제입니다.)
That is where the difficulty comes in.
(여기가 바로 문제되는 점이지요.)
라고 문제 있음을 지적하고 심각한 토론으로 들어가면 좋을 것이다.
73. Well, I don't care.
(에라, 모르겠다.)
어떤 학자가 체념의 미학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것을 들은 일이 있는데 사실상 체념이란 노력의 포기라는 면에서 비난을 받아야 마땅하면서도 어떤 면에서는 인간의 생존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Don't give up.
(포기하지 말라.)
You can make it.
(너는 그것을 이룰 수 있다.)
Never say die!
(절대 죽는소리를 하지 말라.)
Do your best.
(최선을 다하라.)
이런 종류의 충고도 물론 필요하지만 뻔히 안될 일을 계속 물고 늘어짐으로서 자신의 생존을 망칠 가능성이 있는 사람에게는
Forget it!
(잊어버려!)
Please give it up.
(그걸 포기해 버려.)
라고 충고하는 것도 필요하다. 내 생각에는 자신의 최선을 다 한 후에는
Well, I don't care if I fail.
(실패해도 할 수 없지 뭐.)
Let's drink, anyway.
(술이나 한잔하자.)
라고 체념한다고 해서 아무도 비난하지 않을 것이다.
74. He is a fathead.
(그는 석두다.)
자유당 말기에 모 중요한 정치인이 '총은 쏘라고 준 것이다'라는 실언을 했다가 비참한 종말을 맞은 사실이 있는데 총은 잘 모르겠으나 내가 자신 있게 얘기할 수 있는 것은 '머리는 쓰라고 있는 것이다'라는 말이다. 만일 머리를 쓰지 않고 그대로 두면 두뇌회전이 늦어지면서
He is a slow-witted person.
(그는 머리가 나쁜 사람이다.)
The less we use our brain, the duller it becomes.
(머리는 쓰지 않으면 둔해지다.)
He is a fathead.
(그는 석두다.)
He is an old fogy.
(그분은 머리가 낡은 사람이다.)
He has no brain.
(그는 머리가 나쁜 사람이다.)
He is one of the hasbeens.
(그분은 머리가 낡았다.)
라는 말을 듣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생각하고 논리적인 사고와 사색을 병행함으로써 두뇌를 명석한 상태로 유지해야 될 것이다. 그래서
He is a man with brains.
(그는 머리가 좋은 사람이다.)
He is a person of intelligence.
(그분은 지성적인 사람이다.)
라는 말을 들어야 될 것이다.
The less we use brain, the duller it becomes.
75. We must discount his story.
(그 사람 얘기는 에누리해서 들어야 한다.)
나도 이런 사람 중에 한 사람인데, 사람들 중에는 어떤 이야기든지 좀 과장하는 버릇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많다. 이런 사람은 말버릇처럼
There is no exaggeration.
(조금도 과장이 아니다.)
I am not stretching it at all.
(나는 조금도 과장하지 않는다.)
라고 자신의 말의 진실성을 주장하지만
He is an exaggerator.
(그분은 과장해서 말하는 분이다.)
He is a big talker.
(그분은 늘 과장해서 말한다.)
He is given to exaggeration.
(그분은 과장하는 버릇이 있다.)
He is in the habit of piling it on.
(그분은 뭐든지 과장하는 버릇이 있다.)
라는 평을 듣게 된다. 이런 경우 그 사람의 버릇을 아무리 고치려고 해 보아야 잘 안될 것이니까 차라리 그 이야기를 에누리해서 듣는 것이 오히려 현명한 방법일 것이다.
All he says must be taken with reserve.
(그분이 말씀하시는 것은 모두 에누리해서 들어야 합니다.)
76. He is a backbiter.
(그 사람은 뒷전에서 남을 욕한다.)
나를 포함해서 사람들은 뒷전에서 남을 욕하는 것을 좋아한다. 자기자신은 사실상 그 일을 감당할 수도 없으면서 남이 어떤 일을 하면 공연히 그 일에 대해서 험담을 하는 것은 분명히 나쁜 일인데도 그 버릇을 버릴 수 없으니 안타까운 일이다.
Please don't backbite.
(남을 뒤에서 헐뜯지 마세요.)
Say it to his face, not behind his back.
(뒤에서 말하지 말고 그분에게 직접 말하세요.)
라고 충고를 하면서도 만일 누가
Mr. Ahn! Mr. Kim says many evil things against you.
(안 선생님, 김 선생님이 선생 욕을 많이 하던데요.)
라고 김 선생에 대하여 backbiting을 하면 금방 흥분이 되어서
Oh yeah? I have many evil things to say against him.
(아, 그래요? 나도 그 사람한테 욕할 일이 많아요.)
라고 하면서 김 선생에 대한 험담을 뒷전에서 하게 된다. 그러니까 우리는
You should not speak ill of others behind their backs.
(남의 뒷전에서 험담을 해서는 안되겠다.)
Say it to his face.
(직접 그 사람에게 말하라.)
77. He has merchantlike appearance.
(그는 장사꾼 같은 모습을 가지고 있다.)
장사꾼 같은 모습이 특별히 따로 있는 것이지는 잘 알 수 없으나 우리는 너무나 무책임하게도 이런 논평을 자주 한다. 내 경우에는 남들로부터
He has professorlike appearance.
(그는 교수 같은 모습을 가지고 있다.)
라는 말을 거의 들어보지 못하는데 억울하고 안타까운 일이지만 별 도리가 없는 듯 싶다. 그저 내가 한마디한다면
Appearances are deceptive.
(모습만 봐 가지고는 속기가 쉽다.)
Don't judge a person by his looks.
(어떤 사람을 겉모습만 보고 판단하지 말라.)
Don't judge a person by his appearances.
(사람을 겉만 보고 판단하지 말라.)
라고 말 할 수 있을 뿐이다. 왜냐하면
He is good man with a rough exterior.
(그는 겉모습은 흉하지만 훌륭한 분이다.)
He is a bad man with decent looks.
(그는 멋있어 보이지만 나쁜 사람이다.)
이런 경우가 얼마든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78. A cicada is singing.
(매미가 울고 있다.)
우리는 왜 동물들이 내는 소리를 우는 소리로 들었을까 하는 의문은 불교의 윤회설로 설명이 될는지는 알 수 없으나 하여튼 우리는
A dog is barking.
(개가 짖는다.)
A swallow is twittering.
(제비가 지저귄다.)
A tiger roars.
(호랑이가 포효한다.)
정도를 빼고는 모조리 울음으로 이해하고 있다. 다음에 영어표현과 우리말을 비교해 보면
A frog croaks.
(개구리가 운다.)
A cat meows.
(고양이가 운다.)
A bird chirps.
(새가 운다.)
A chicken cackles.
(닭이 운다.)
A dove coos.
(비둘기가 운다.)
A horse neighs.
(말이 운다.)
A cow moos.
(소가 운다.)
등으로 대부분의 동물들이 울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79. There are many Kims in Korea.
(한국에는 김씨가 많다.)
우리 나라에 처음 온 미국인들은 한국사람을 소개받을 때마다 김씨나 이씨인 사실에 놀라게 된다.
My family name is Kim.
(제 성은 김가입니다.)
Kim is my surname.
(김이 제 성입니다.)
He is one of the Kims of Kyongju.
(그분은 경주 김씨입니다.)
A Kyongju Kim male must not marry a Kyongju Kim family.
(경주 김씨인 남자는 경주 김씨인 여자와 결혼해서는 안된다.)
등등의 얘기를 들으면서 외국인들은
There are many Kims in Korea.
(한국에는 많은 김씨가 있다.)
라는 말로 감탄을 할뿐이다. 하기는 예로부터 우리 나라에는 김씨가 많은 것을 재미있게 표현한 말이 있는데
There are so many Kims in Korea that if you throw a stone from Mt. Namsan, it will unmistakably hit one of those Kims.
(우리 나라에는 김씨가 많기 때문에 남산에서 돌을 던지면 틀림없이 김씨 중의 한사람이 맞을 것이다.)
이건 오로지 김씨의 번창함을 비유한 것이겠지만
Lee is the second largest family in Korea.
(이씨가 우리 나라에서는 두 번째로 많은 성씨다.)
80. Dial 112 For The Police.
(경찰을 부르려면 112를 돌리세요.)
긴급사태가 발생했을 때 전화다이얼을 여러 번 돌리는 것도 시간이 많이 걸리므로 전화국에서는 긴급사태를 위해 특수 전화를 운영하고 있다. 그 중에는 몇 가지를 보이면
Dial 112 for the police.
(경찰을 부르려면 112를 돌리세요.)
Dial 112 to get the police.
(경찰을 부르려면 112를 돌리세요.)
Dial 119 to get the fire department.
(소방서를 부르려면 119를 돌리세요.)
Dial 119 for reporting on a fire.
(화재신고를 하려면 119를 돌리세요.)
Dial 119 if you saw a fire.
(불이 난 것을 보면 119에 신고하세요.)
등등이 긴급전화가 되겠다. 이것은 우리 나라의 경우이고 미국의 경우는 화재가나거나 경찰에 범죄신고를 하는 경우
Dial 911 in any emergency.
(긴급한 일이 발생했을 때 911을 돌리세요.)
가 보통이고 번호를 모를 때는 무조건
Dial "0" in any emergency.
(긴급사태 발생시 0번을 돌리세요.)
가 되겠다. 0번을 돌리면 교환 양이 나오는데 교환 양에게 신고하면 즉각 관계 기관에 연락이 된다.
81. I know my pride as a Korean.
(나는 한국인으로서의 긍지를 느낀다.)
LA올림픽에서 들려오던 승전보는 당시에 별로 시원한 일이 없었던 우리의 몸과 마음을 가을 아침처럼 시원하게 했다.
Mr. Jun-sup Shin won a gold for Korea.
(신준섭선수가 한국에 금메달을 안겨주었다.)
Mr. Yoo won another gold for Korea.
(유인탁선수가 우리에게 금메달을 하나 더 안겨 주었다.)
Miss Seo won a gold in the western-style archery meet.
(서향순 선수가 양궁에서 금메달을 땄다.)
이런 소식이 연이어 먼 이국 땅에서부터 우리에게 전해올 때
We felt as if we were walking on air.
(우리는 기쁨에 도취되어 있었다.)
We were so filled with joy that we couldn't speak for sometime.
(우리는 너무나 기뻐서 잠시 말을 잊고 있었다.)
Everyone had tears of joy.
(누구나 기쁨의 눈물을 흘렸다.)
Tears of pleasure gushed from our eyes.
(기쁨의 눈물이 걷잡을 수 없도록 쏟아졌다.)
체력은 곧 국력이라는 말이 올림픽에서처럼 실감이 나는 경우는 없을 것이다.
82. If you practice you'll learn English.
(연습을 하면 영어를 배울 수 있어요.)
'영어를 어떻게 하면 배울 수 있느냐?'하는 질문을 나는 무수히 받곤 한다. 이럴 때 나는
If you practice, you'll learn English.
(연습하면 영어를 배울 수 있어요.)
라는 너무나도 맞는 대답을 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 좀더 멋진 대답을 기대하는 질문자들을 틀림없이 실망시키게 된다. 그러나
There is no king's way to learn English.
(영어를 배우는데는 왕도가 없다.)
라는 사실이 너무나도 명명백백하니 이를 어쩌랴? 태산이 아무리 높다고 해도 계속해서 한 발자국 두 발자국 걸어 올라가는 사람에게 정복되듯이 날마다 영어를 연습하는 사람은 영어를 잘 하기 마련인 것이다. 내가 한마디 충고를 더 한다면
Whenever you find a good sentence, memorize it.
(좋은 문장을 발견하면 그걸 외우세요.)
Then, practice it.
(그리고는 연습을 하세요.)
Practice makes you perfect.
(연습을 통해서만 완전하게 됩니다.)
83. I'm a morning person.
(저는 아침에 더 활동적입니다.)
대체로 사람들은 두 부류로 나뉘어지는 것 같다. 한쪽은 새벽부터 일어나서 뭔가 부지런을 떨며 아침체조에다가 아침산책을 즐기고는 일찍 출근하여 모든 일을 오전 중에 다 마치겠다는 듯이 아침에 부지런한 사람이다. 이런 타이프에 속하는 사람들은 그러나 저녁때는 일찍 잠자리에 들어야 하는 어쩔 수 없는 버릇을 갖게 되는 듯 싶다.
Mr. Kim is a morning person.
(김 선생님은 아침시간에 아주 활동적인 분입니다.)
He gets up early in the morning.
(그는 늘 아침 일찍 일어납니다.)
His eyes open immediately.
(그는 꾸물거리지 않고 금방 눈을 뜨고)
He welcomes the morning sun and greets his family happily.
(그는 아침해를 반갑게 맞이하고는 식구들에게 즐거운 표정으로 인사를 합니다.)
For him, morning is the best part of the day.
(그에게는 아침이 가장 즐거운 시간입니다.)
우리 나라 사람들은 전통적으로 농업국의 전통을 받아서인지는 알 수 없으나 일찍 일어나는 것은 높이 평가하는 듯하다. 그래서 어린이들도 '새 나라의 어린이는 일찍 일어납니다'라고 열심히 노래하고 아침잠이 많아서 늦게 일어나는 사람들을 보고
He is lazy.
(그는 게으르다.)
He gets up late every morning.
(그는 늘 늦게 일어난다.)
His alarm clock wakes him on time, but he doesn't make himself get up right away.
(그의 시계는 그를 제대로 깨우지만 그는 바로 일어나지 않는다.)
라는 식으로 그를 일방적으로 매도하게 마련이다. 그러나 실상은 좀 늦게 일어나는 분들은 대체로 밤에는 더 활동적이 된다는 사실을 우리는 까맣게 모르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이런 타이프에 속하는 사람들을 우리는
He is a night person.
(그는 밤 시간에 더 활동적이다.)
이라고 부르는데 오늘날처럼 통행금지가 없이 24시간 계속해서 일하는 사회에서는 이런 사람들도 절대로 필요한 존재인 것이다. 그래서
Morning people choose early morning jobs such as farming or teaching.
(아침에 활동적인 사람은 농사일이나 교사든 아침 일찍 시작하는 일을 선택하고)
Night people choose late evening jobs such as researching or business.
(밤에 활동적인 사람들은 연구나 사업등 밤늦게까지 일하는 직업을 택하면 된다.)
84. Any luck?
(잘 낚입니까?)
요즘 피서철을 맞이하여 낚시꾼들도 제철을 맞았다고 할 것이다.
Anglers are busy these days.
(요즈음 낚시꾼들은 바쁘다.)
그래서 낚시도구를 둘러메고 붕어낚시를 가는 사람, 바다낚시를 가는 사람들로 주말은 분주하게 된다. 낚시꾼들은 서로 만나면 물고기가 잘 잡히는지를 묻게 마련인데 이때의 영어표현으로
Any luck?
(잘 낚이느냐?)
Do you have a bite?
(고기가 입질을 하느냐?)
라고 묻게 된다. 그러면 물고기를 많이 낚은 사람은
I have had a good catch today.
(오늘은 고기를 많이 잡았어요.)
The fish are biting well today.
(오늘 고기들이 입질을 많이 해요.)
라고 대답하게 될 것이고 강태공처럼 낚시대만 드리우고 앉아 있는 사람들은
I didn't have a bite.
(전혀 입질이 없어요.)
I had no nibble.
(전혀 입질이 없어요.)
There was a heavy strike, but I didn't catch any.
(입질은 많았지만 한 마리도 잡지 못했어요.)
85. He is a lucky fellow.
(그는 운이 좋은 친구야.)
올림픽게임에서 메달을 따기 위해서는 최선의 노력이 물론 중요하지만 운도 역시 좋아야한다는 생각이 든다. LA올림픽에서 여자 농구와 핸드볼 등은 소련과 동구권이 불참했기 때문에 올림픽에 출전할 수 있었고 그래서 은메달을 딴 것이 아니겠는가.
Fortune was smiling upon us.
(행운이 우리에게 미소를 던졌다.)
The game was ours from the start.
(경기 초반부터 승운은 우리에게 있었다.)
그러나 금메달 유망주였던 김광선 선수는 1회전에서 세계 강자와 맞붙어 예선에서 탈락하는 불운을 맛보았으니
His luck ran out.
(운이 없었다.)
His luck was out at that time.
(그 당시 운이 없었다.)
라고 말하는 수밖에는 없을 것이다. 미국에선 운이 좋은 사람을 가리켜
His luck is in.
(그는 운이 좋다.)
Luck has run his way.
(행운이 그를 따른다.)
His star is in ascendent.
(그는 아주 운이 좋다.)
라고 표현한다. 운이란 참으로 미묘한 것이다.
86. How can I get in touch with you?
(선생님한테 어떻게 하면 연락할 수 있나요?)
파티에서 어떤 미국인을 소개받은 후에 그분과 계속해서 친교관계를 맺고 싶은 경우에 그분의 연락처가 어디냐고 묻고 싶을 때는
How can I get in touch with you?
(어떻게 하면 연락할 수 있나요?)
라고 묻게 되는데 우리에게는 낯선 표현이므로 무조건 열심히 외워 두고 기회가 있을 때마다 사용해 보기 바란다.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You can reach me by calling 333-3333.
(333-3333으로 전화하시면 연락이 됩니다.)
You can get in touch with me by calling 333-3333.
(333-3333으로 전화하시면 저에게 연락이 됩니다.)
라고 하면 된다.
How can I get hold of you?
(선생님과 어떻게 하면 연락이 되나요.)
How can I contact you?
(어떻게 하면 연락이 됩니까?)
How can I get in touch with John?
(존과 어떻게 하면 연락이 됩니까?)
이런 표현은 미국인들이 많이 사용하므로 잘 공부해 두어야 한다. 여러분!
Let's keep in touch.
(앞으로 서로 연락합시다.)
87. Suit yourself!
(좋을 대로 하세요.)
영어표현에서 'suits'라는 말은 재미있는 표현을 많이 가지고 있다. 서로 약속을 할 때 어느 날이 좋겠는가 라는 말로
What date suits best?
(어느 날이 가장 적당할까?)
Will Friday suit?
(금요일이면 좋겠어요?)
Would ten o'clock suit you?
(열 시면 좋겠어요?)
라고 물어 볼 수 있을 것이고 그 대답으로
Suit yourself.
(좋을 대로하세요.)
라고 대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어떤 사람이 새로 사서 쓰고 있는 모자를 보고
Your blue hat suits your fair skin.
(네 파란 모자는 흰 살결에 잘 어울린다.)
라고 말할 수도 있겠고
It doesn't suit her to wear a miniskirt.
(그 여자에겐 미니스커트가 맞지 않는다.)
라고 논평을 할 수도 있겠다. 무엇이든지 그 상황에 잘 어울리도록 하면 대체로 무난하다고 볼 수 있는데
You must suit your action to your word.
(너는 말한 그대로의 행동을 해야 한다.)
우리가 하는 말이 행동에 그대로 어울리도록 된다면 가장 멋진 일일 것이다.
88. This year is the year of the ox.
(금년은 소해이다.)
우리 나라 사람들이 12간지를 이용하여 햇수 계산을 하는 것을 외국인들에게 영어로 설명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
This year, 1985, is the year of the ox by Oriental Zodiac 12 animal cycle.
(1985년은 12마리의 동물로 이루어진 동양의 역법에 의하면 소띠해이다.)
The 12 animals in the zodiac have been regarded as symbols influencing the destiny of human being.
(역법에 나타나는 12마리의 동물은 인간의 운명을 좌우하는 상징으로서 생각되어져 왔다.)
The 12 animals are mouse, ox, tiger, rabbit, dragon, snake, horse, lamb, monkey,cock, dog and pig.
(12마리의 동물은 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그리고 돼지이다.)
This year is the year of ox.
(금년은 소띠해이다.)
It is said that men who were born in the year of ox are generally hardworking, patient and prudent.
(소띠 해에 태어난 사람은 대체로 열심히 일하고 참을성이 있으며 신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좀 어려운 표현들이지만 외국인 친구에게 한번 용감하게 설명해 보기를 권한다.
89. Dr. Paik died at the age of 90.
(백 박사가 90세로 돌아가셨다.)
백낙준 박사는 아주 훌륭한 교육자요 민족의 선각자였다. 오래 전에 그가 서거하셨다는 소식을 듣고 놀라움과 슬픔을 금할 수 없었다. 일생을 국가와 민족을 위하여 애쓰시던 분을 다시는 못 뵙게 된다는 것은 정말 안타까운 일이기 때문이다.
He was born to a farming family in Chongju Pyonganbuk-Do on March 12, 1895.
(그분은 1895년 3월 12일에 평안북도 정주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He received a doctorate in philosophy from Yale in 1927.
(그분은 1927년에 예일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He had taught at Yonsei University until he retired as president in 1960.
(그분은 1960년에 총장으로 은퇴할 때까지 연세대에서 가르쳤다.)
He served as education minister from May 1950 to October 1952.
(그분은 1960년 5월부터 52년 10월까지 문교부장관을 지냈다.)
그분은 늘 말씀하시기를
I always try to lead a faithful and modest life with the help of God.
(나는 언제나 신의 도움으로 신실하고 겸손한 삶을 살고자 노력한다.)
고 하셨다.
90. Overdone is worse than undone.
(지나치면 아니함만 못하다.)
옛 성현들은 극단적인 입장을 피하고 중용의 길을 걷는 것이 현명한 처사라고 가르쳐왔다. 그런데 오늘날 우리들은 어떤가? 너무나 지나치게 법석을 떠는 것은 아닌지? 교육열이 지나친 부모들, 건강관리에 너무나 열중하여 지렁이 개구리까지 잡아먹는 사람들, 아파트투기에 열을 올리는 복부인등 정상궤도를 벗어난 경우가 많은 것 같다. 이런 분들에게 하고 싶은 충고가
Overdone is worse than undone.
Too much water drowned the miller.
(지나치면 아니함만 못하다.)
라는 말이 있다. 입시준비를 하는 학생들도
You should study hard, but don't overdo it and make yourself ill.
(공부를 열심히 해야하지만 너무 지나치게 해서 병에 걸려서는 안된다.)
라는 말을 명심해야 할 것이고 지나치게 술을 마시는 분들도
Excessive drinking impairs one's health.
(술을 많이 마시면 건강을 해친다.)
라는 말을 잘 기억해야 할 일이다.
Going too far is to be avoided.
(지나침은 피해야 한다.)
91. No bones were broken.
(대수롭지 않아.)
주말에 직장동료들과 어울려 축구시합을 하다가 서로 심하게 부딪쳐서 넘어지는 경우가 생긴다. 동료들이 몰려와서
Are you alright?
(괜찮아?)
Are you injured?
(너 다쳤니?)
라고 물으면서 걱정을 하게된다. 이런 때 약간의 찰과상은 생겼으나 경기를 계속하는데 별 지장이 없다면
No bones were broken.
(뭐, 뼈가 부러진 건 아니야.)
하고 한마디하면서 싱긋 웃어 준다면 주위 동료들을 기쁘게 할 것이다. 어떤 일이 대수롭지 않다는 표현으로 경우에 따라 여러 가지 표현이 있는데
It is insignificant.
It counts for nothing.
(대수롭지 않아.)
등은 학술논문에서 어떤 요소가 별 의미가 없을 때 쓰이는 말이고
It is beneath my notice.
It is off the map.
(별 관심이 없어.)
등은 어떤 사건이 대수롭지 않을 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어떤 독자는 나의 설명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말할 것이다.
It doesn't matter much.
(대수롭지 않아.)
92. Actions speak louder than words.
(실천이 말보다 중요한 거지요.)
우리는 선거 때마다 정치인들의 화려한 공약을 듣게 된다. 앞으로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갈 것이라는 공약을 들을 때마다
Actions speak louder than words.
(실천이 말보다 중요하다.)
라는 말을 생각하게 된다. 왜냐하면 정치인들은 선거 때는 공약을 남발하고 선거가 끝난 후에는 자신이 약속한 바를 실천하지 않는 경우가 허다한데 바로 이런 것 때문에 우리 나라에는 정치에 대한 불신풍조가 만연하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He promised to do it, but he didn't.
(그는 그것을 약속했으나 실천하지 않았다.)
He promised to help us, but he didn't.
(그는 우리를 돕겠다고 약속했으나 실천하지 않았다.
He promised to be honesty, but he didn't.
(그는 정직하겠다고 약속했으나 그것을 실천하지 않았다.)
이 정치인들은 냉철하게 그 사람이 공약한 것과 실천한 결과를 분석해서 다음 번에는 어떤 멋진 공약을 남발하더라도 그 사람에게 투표하지 않도록 해야만 할 것이다.
It is more important for politicians to do than just to promise to do.
(정치가들에게는 약속만 하는 것보다 실천하는 일이 더욱 중요하다.)
92. I narrowly missed being run over by a truck.
(나는 하마터면 트럭에 치일 뻔했다.)
'밤새 안녕하셨습니까?'는 옛날 사람들의 인사고 요즘은 '낮새 안녕하셨습니까?'라고 인사를 하는 게 더 옳다고 생각한다. 집에 돌아와서 낮동안 지낸 일을 생각해보면 우리는 하루에도 몇 번이고 죽을 고비를 넘겼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무섭게 질주하는 버스 택시 트럭이 교통법규를 무시하고 무시무시하게 날뛰는 거리에서 살아 남았다는 사실을 우리는 웃어야 할까 아니면 울어야 할까?
I came within an inch of being killed.
(나는 하마터면 죽을 뻔했다.)
I was very close to death.
(나는 거의 죽을 뻔했다.)
I narrowly escaped death.
(나는 겨우 살았다.)
택시에서 내린 외국인들이 안도의 한숨을 쉬면서 이런 말을 하다는 것을 알고 있는 택시기사들은 과연 얼마나 될까? 또 허겁지겁 횡단보도를 건넌 보행인들이
I narrowly missed being run over by a taxi.
(나는 하마터면 택시에 치일 뻔했다.)
I narrowly missed being run over by a bus.
(나는 하마터면 버스에 치일 뻔했다.)
라고 말하는 것을 알고 있는 운전 기사님들은 과연 얼마나 되는지?
93. Children use their parents as models.
(아이들은 부모를 규범으로 삼는다.)
모델이라고 하면 우리는 흔히 몸매가 날씬하면서도 키가 큰 패션모델을 생각하기 쉬우나 우리 사회에서 진짜 중요한 모델들은 부모들이다. 왜냐하면
Children use their parents as models.
(아이들은 부모를 규범으로 삼는다.)
라는 사실 때문이다. 더구나
Children use their parents as models, whether the model is good or bad.
(아이들은 그 모델이 좋든 나쁘든 부모를 규범으로 삼는다.)
Her children clean the apartment.
(아이들은 아파트를 청소한다.)
The eldest daughter does all the dishes.
(맏딸은 설거지를 한다.)
The middle daughter makes all the beds.
(둘째딸은 침대를 모두 정리한다.)
The only boy in the family cleans the rooms.
(집안에 하나밖에 없는 아들은 방을 청소한다.)
이런 집안을 잘 살펴보면 틀림없이
Their mother is a conscientious housekeeper.
(아이들의 어머니는 성실한 가정주부이다.)
94. Don't forget to lock the door.
(문을 채우는 것을 잊지 마세요.)
나는 좀 덜렁거리는 편이어서 인지는 모르나 무엇인가 깜빡 잊어버리기를 잘한다. 내가 근무하는 학교의 전화번호를 비롯해서 이름들까지 잊어버린다. 약속도 잘 잊어버리고 물건도 잊어버리고 꾸어준 돈도 잘 잊어버린다. 그래서 주위 사람들로부터
Don't forget to lock the door.
(문을 채우는 것을 잊지 마세요.)
Don't forget to telephone me.
(나한테 전화 거는 걸 잊지 마세요.)
Don't forget to be here to morrow.
(내일 잊지 말고 여기에 오세요.)
Don't forget to bring my book.
(내 책을 가지고 오는 걸 잊지 마세요.)
Don't forget to bring your umbrella.
(우산을 잊지 말고 가져오세요.)
Don't forget my name.
(내 이름을 잊지 마세요.)
라는 말을 듣는다. 그러나 어찌하랴!
I always forget something.
(나는 언제나 무엇인가를 잊는다.)
I am a forgetful person.
(나는 건망증이 심한 사람이다.)
95. Learning ennobles a man.
(학식은 사람의 품위를 높인다.)
품위를 지킨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옷을 잘 입는다고 품위가 높아지는 것도 아니고 새까만 색깔의 자동차를 타고 다닌다고 해서 품위가 올라가는 것도 아니다.
He is gentle-mannered.
(그분은 품위가 있다.)
He is refined in his manner.
(그분의 태도는 품위가 있다.)
품위란 결국 바른 마음가짐에서 나오는 것일진대 우리가 바른 마음을 갖추지 못한 채로 품위를 지키려고 하면 거드름이 되거나 교만이 되고 말 것이다. 그래서 주위 사람들로부터
There is not a bit of refinement in his manner.
(그분의 태도에는 전혀 품위가 없다.)
라는 말을 듣게 될 것이다. 당연히 품위를 지켜야 될 사람이 까딱 잘못해서 언행을 실수하면
He will loose his dignity.
(그분은 그자신의 품위를 잃을 것이다.)
He will degrade himself.
(그분은 품위를 떨어뜨릴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늘 배우는 자세로서 겸허하게 세상을 살아가야 할 것이다.
Learning ennobles a man.
(배움이 사람의 품위를 높인다.)
96. I've been there.
(거기엔 간 일이 있었다.)
우리는 여행 가기를 원한다. 그래서 희망이 무어냐고 물으면
I want to go around the world.
(나는 세계일주를 하고 싶다.)
I want to make around-the-world trip.
(나는 세계일주 관광여행을 하고싶다.)
라는 말을 서슴지 않고 한다. 그러나 과연 세계일주여행을 해야만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한 번 깊이 생각해 볼 문제다. 요즈음은 비디오 테이프가 잘 보급되어 세계 구석구석을 직접 가보는 것보다 더 잘 관광할 수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왜 어떤 특정한곳을 가보고 싶어할 까? 더군다나 이상한 것은 명산대천을 찾아가서는 골짜기 한 귀퉁이에 앉아서 실컷 먹고 마시고 오는 관광을 하는 분들이 많은데 특히 이런 분들에게 나는 이 질문을 꼭 던지고 싶다.
Why do you go on a sight-seeing tour to Kyongju?
(도대체 왜 경주관광을 가십니까?)
Why do you go on a sight-seeing tour to Hawaii?
(무엇 때문에 하와이관광을 가십니까?)
내가 분석해 본 바로는 아마도 스트레스해소라는 면목과 하여간 어디로든지 떠나고 싶은 충동과 그리고 어떤 유명한 곳에 갔었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싶은 심정이 여행을 떠나게 만드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어깨를 으쓱대며
I've been there.
(어, 나 거기에 갔었어.)
I have been in almost all parts of Korea.
(우리 나라에서 내가 가보지 않은 곳은 거의 없다.)
I have make a visit to almost every corner of Korea.
(나는 우리 나라 구석구석을 다 가보았다.)
라고 말하면서 이름난 절이나 탑이나 계곡이나 폭포아래서 찍은 자신의 사진을 내보이는 것은 바로 이런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 아닐까? 미국인들은 명산대천에 가면 카메라로 아름다운 경치를 잡느라고 야단이고 우리는 아름다운 경치를 망치면서 내 모습을 그 안에 꼭 넣기를 고집하니 참으로 재미있는 일이다.
97. Americans are individualistic.
(미국인들은 개인주의적이다.)
미국인에 대해서 한마디로 요약해서 말한다는 것은 무모한 일이다. 그러나 우리는 흔히 미국인의 국민성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얘기를 하고 또 그것이 사실이라고 믿고 있다.
Americans are individualistic.
(미국인들은 개인주의적이다.)
Americans are materialistic.
(미국인들은 물질주의적이다.)
Americans are competitive.
(미국인들은 경쟁적이다.)
Americans are revolutionary.
(미국인들은 혁명적이다.)
Americans are pragmatic.
(미국인들은 실용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논평들은 일면 미국인의 성격을 잘 말해 주는 듯 싶으면서도 사실은 이처럼 일반화하는 것은 위험하다. 왜냐하면 미국인의 성격에 대해서 다음처럼 말해도 틀리 말이 아니기 때문이다.
Americans are idealistic.
(미국인들은 이상주의적이다.)
Americans are cooperative.
(미국인들은 협동적이다.)
Americans are conservative.
(미국인들은 보수적이다.)
98. I'll be happy all my life.
(나는 일생동안 행복할 것이다.)
좋은 건강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계속적인 운동도 중요하지만 실상은 긍정적인 마음가짐이 더 중요하다. 우리 나라 사람들에게 자기자신에 대한 평가를 영어로 표현해 보라고 할 것 같으면 대부분
I'm ugly.
(나는 못생겼다.)
I'm not tall.
(나는 키가 작다.)
I'm a shy person.
(나는 부끄러움을 잘 탄다.)
I'm a pessimist.
(나는 비관론자다.)
I'm fat.
(나는 뚱뚱보다.)
I'm a passive person.
(나는 소극적인 사람이다.)
I'm not healthy.
(나는 건강하지 않다.)
I'm blue.
(나는 기분이 언짢다.)
I have no friend.
(나는 친구가 없다.)
I'm lonely.
(나는 외롭다.)
I don't like the world around me.
(나는 내 주위의 것들을 사랑하지 않는다.)
등으로 부정적인 기술을 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어떤 분은 이러한 한국인이 속성을 정적인 동양문화에 기인하는 것이며 비극적 장중미가 있다는 식으로 미화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내가 보기에는 이런 부정적 속성은 과감히 제거해 버리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행복의 절정에 서 있을 때 죽음을 생각하며 아름다운 경치에 매료되었을 때 [여기서 죽었으면 좋겠다]라고 생각하는 우리의 사고는 한 번쯤 재평가를 받아야 하리라고 생각한다. 나는 미국에서 미국의 젊은 학생들에게 자신에 대한 묘사를 해 보라는 실험을 한 적이 있는데 그
들은 역시 부정적인 표현을 일부 하고 있었으나 대부분
I'm beautiful.
(나는 아름답다.)
I'm a cheerful person.
(나는 쾌활한 성격이다.)
I'm strong.
(나는 힘이 세다.)
I'm a good student.
(나는 모범적인 학생이다.)
I'm an optimistic person.
(나는 낙관론자다.)
I usually like myself.
(나는 나를 좋아한다.)
I'm a friend to many people.
(나는 친구가 많다.)
등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Think positive!
(긍정적으로 생각하라.)
99. The people's voice is the voice of God.
(민심은 천심이다.)
선거가 끝난 후 정치인들은 국민들이 원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여당도 야당도 우리 나라의 발전을 위해 민심을 정확히 파악하여 멋진 정치를 해줄 것을 바라마지 않는다. 만일 현 정부가
The government gradually lost popular support.
(민심이 점차적으로 정부로부터 떨어져 나갔다.)
The government was gradually alienated from the people.
(민심이 조금씩 정부로부터 멀어져 갔다.)
라고 느낀다면 하루빨리 그 원인을 찾아서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 다. 그래서
The government won the love of all the people.
(정부는 민심을 깊이 얻었다.)
The government won popularity.
(정부는 민심을 얻었다.)
라는 말을 국민으로부터 들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The people's voice is the voice of God.
(민심은 천심이다.)
Sovereign power resides in the people.
(주권은 국민에게 있다.)
민심을 잘 파악하고 국민을 위해 봉사하는 정치인은 영원히 사랑 받을 것이다.
100. What were you doing a year ago?
(일년 전에 너는 무엇을 했니?)
미국에 이민간 우리 교포들은 서로 과거를 묻지 않는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아마 서로 새로운 삶을 시작한 마당에서 과거의 일들은 잊어버리려고 그렇게 하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여러 가지 이유로 해서 과거의 어떤 시점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었는지 지를 알고 싶어할 때가 많이 있다.
What were you doing ten minutes ago?
(십분 전에 너는 무엇을 했니?)
What were you doing an hour ago?
(한시간 전에 너는 무엇을 했니?)
Where were you living a year ago?
(일년 전에 너는 어디서 살았니?)
What were you studying last night?
(어제 밤에 너는 무엇을 공부했니?)
남에 관한 질문도 좋지만 우리는 때때로 스스로 해보는 것이 반성을 위해서 필요한 일일 것이다.
What did I do a year ago?
(일년 전에 나는 무엇을 했는가?)
What did I do last night?
(나는 어제 밤에 무엇을 했는가?)
101. Picture a world where people live in peace.
(사람들이 평화롭게 사는 세계를 그려 보라.)
예로부터 사람들은 이상적인 세계를 꿈꾸어 왔다. 서양에서는 이런 세계를 유토피아라 불렀고 동양에서는 무릉도원이라고 부르면서 이런 세계를 동경해 왔다. 이런 세계를 한 번 상상해 보는 것도 흥미 있다.
Picture a world where everybody is happy.
(누구나 행복한 세계를 상상해 보라.)
Picture a world where the sunshine is pouring love and life on everyone.
(햇볕이 모든 이에게 사랑과 생명을 쏟아 붓는 세계를 상상해 보라.)
Picture a world where a lion is talking to little kids.
(사자가 어린이들과 얘기를 나누는 세계를 꿈꾸어 보라.)
Picture a world where flowers are growing high.
(꽃들이 높게 자라는 세계를 그려 보라.)
Picture a world where stars are so near that you can reach up and touch one from here.
(별들이 아주 가까이 있어서 네가 손을 뻗쳐서 별을 만져볼 수 있는 세계를 상상해 보라.)
여러분이 꿈꾸는 세계를 마음껏 상상해 보시기 바란다.
102. Signs of spring are already everywhere.
(봄을 알리는 신호들이 이미 어디에나 있다.)
봄이란 그 어감 그대로 우리에게 따스함을 주고 우리에게 새싹처럼 파란 희망을 준다.
Today is "Kyongchip".
(오늘은 경칩이다.)
"Kyongchip" means literally "sudden awakening from hibernation."
(경칩이란 문자 그대로 동면에서 갑자기 깨어난다는 뜻이다.)
It is believed that frogs awake from their long winter hibernation on the "Kyongchip day".
(경칩 날에는 개구리가 긴 겨울잠에서 깨어난다고 사람들은 믿고 있다.)
Although the stubborn Old Man Winter is often pulling the mercury down below the freezing point, some reports from southern coastal areas tell about blooming
forsythia, the traditional spring flower of the country.
(가끔 고집스런 동장군이 수은주를 영하로 떨어뜨리고 있지만 남해안쪽에서는 우리 나라의 전통적인 봄꽃인 개나리가 피었다는 소식을 전하고 있다.)
Signs of spring are already everywhere.
(봄의 기미가 이미 어디에서나 보인다.)
103. What do you do when you are alone?
(너는 혼자 있을 때 무엇을 하느냐?)
인간은 사회적 존재이므로 혼자 있는 것을 싫어한다. 그러나 어쩌다가 우리는 완전히 혼자 있어야 할 때가 생기게 되는데 그럴 때는 무엇을 하는 것이 가장 좋을까? 사람마다 대답 다르겠지만 누가 나에게
What do you do when you are alone?
(너 혼자 있을 때 뭘 하니?)
라고 묻는 다면 아마 다음과 같은 대답을 할 것이다.
Sometimes I sing a song.
(때로는 노래를 부르지요.)
Sometimes I play my guitar.
(때로는 나는 기타를 치지요.)
I jump and I hop.
(나는 뛰기도 하고 깡충깡충 뛰기도 해요.)
Sometimes I feel a little sad when I'm alone.
(어떤 때는 혼자 있으면 약간 슬퍼지지요.)
Then, I try to have a wild fancy.
(그러면 나는 공상을 하지요.)
I pretend that I can fly and I touch all the clouds and I wave to the birds as they pass by.
(나는 날아 올라가서는 구름도 만지고 지나가는 새들에게 손짓도 한답니다.)
104. What you are is beautiful.
(너 그대로가 아름답다.)
신은 인간을 만들 때 누구에게나 아름다운 매력을 주셨다. 누구나 미스 코리아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누구나 멋진 사람이며 매력 있는 사람인 것이다. 그래서 억지로 꾸미지 않더라도
What you are is beautiful.
(너는 너로서 아름답다.)
이러한 사실을 잘 믿을 수 없는 사람들은 자신의 주위를 살펴보기 바란다.
Look at the sky.
(하늘을 바라보라.)
Look at the sea.
(바다를 바라보라.)
Look at the clouds and then look at yourself.
(구름을 바라보고 그리고 너 자신을 바라보라.)
You are wonderful.
(너는 굉장한 존재이다.)
What you are is wonderful.
(너는 너 그대로 굉장한 존재다.)
Look at a flower.
(꽃을 바라보라.)
Look at the stars and all the beauty you see.
(별을 바라보고 네가 볼 수 있는 모든 아름다운 것을 바라보라.)
You will find that you are beautiful.
(너는 네가 가장 아름답다는 것을 발견할 것이다.)
105. Let's toss up!
(동전을 던져서 결정하라.)
영국인들은 전통적으로 내기나 돈 걸기를 좋아한다고 한다. 미국인들도 예외는 아니어서 내기하는 것을 좋아하는데 그래서인지 어떤 일을 결정할 때 내기로 결정하는 일이 많다.
그 중에 가장 대표적인 것이 운동경기에서 무승부로 비겨 제비를 뽑아 승자를 결정해야할 경우 또는 어느 팀이 먼저 공격할 것이냐를 결정할 경우 미국인들은
Let's toss up.
(동전을 던져 결정하자.)
Let's toss for it.
(동전을 던져 결정하라.)
라고 제의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동전을 던지는 사람이 동전을 하늘 높이 던지기에 앞서서
Heads or tails?
(앞쪽이냐? 뒤쪽이냐?)
고 묻게 되는데 미국동전에서는 그림이 있는 쪽을 heads 라하고 그 뒷면을 tails 라고 한다.
미국동전에는 링컨 대통령 등의 얼굴이 있으므로 아마 그쪽을 heads 라고 하는 것 같다.
동전이 땅에 떨어진 후에 heads 가 나왔다면 heads 쪽을 말한 편이 이기게 된다.
Heads, you win.
(앞쪽이다. 네가 이겼다.)
106. There is no room for compromise.
(타협의 여지가 없다.)
우리 주위를 둘러보면 놀랍게도 비타협적인 사람들이 많이 있음을 본다. 물론 인간이 지켜야 할 기본적인 원칙 신념 가치 등을 타협을 위해서 버린다는 것은 문제지만 주말에 을숙도로 놀러갈 것이냐 해운대로 놀러갈 것이냐 하는 문제에도 양보하지 않고 고집을 부리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이런 사람을
He is a man of an imcompromising spirit.
(그는 남과 타협할 줄 모르는 사람이다.)
There is no give in his position.
(그는 타협하는 태도가 전혀 없다.)
He takes an unyielding stand.
(그는 비타협적인 태도를 취한다.)
라고 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 모두가 이러한 태도를 취한다면 우리 사회는 어떻게 유지 될 것인가? 종교적 신념이나 진리의 문제라면
There is no room for compromise.
(타협의 여지가 없다.)
라는 태도는 수긍할 수 있는 문제이나 현실적인 문제에 대하여는
I am O.K. but you may be O. K. too.
(나는 옳다. 그러나 너도 옳을지 모른다.)
는 태도로 타인의 의견도 경청해야 한다.
107. The weather is very fine, isn't it?
(날씨가 참 좋지요?)
요즘은 정말 아름다운 가을날씨다. 날씨가 좋으니까 공연히 마음도 들뜨면서 아무나 붙들고
The weather is very fine, isn't it?
(날씨가 정말 좋지요?)
라고 말하고 싶은 심정이다. 실제로 미국인들은 낯선 사람에게 말을 걸고 싶으면 미소를 지으면서
Beautiful day, isn't it?
(날씨가 참 좋지?)
라고 하면서 가볍게 인사를 하는데 이럴 경우 당황할 것 없이
Yes, it is.
(정말 그래요.)
라고 대답하면서 미소를 지어주면 된다. "isn't it"을 말할 때에는 날씨가 좋다는 사실을 두사람이 다 알고 있으므로 내림음조로 발음해야 한다. 만일 올림음조로 발음하면 내용을 확실히 모르므로 대답을 해 달라는 질문이 된다. 날씨에 따라서는 이런 인사말은
It's windy, isn't it?
(바람이 많이 불지요?)
It's a bit cold, isn't it?
(좀 춥지요?)
It's raining cats and dogs, isn't it?
(비가 억수로 오지요?)
등으로 다양하게 바뀌게 된다.
108. Namdaemun is national treasure No 1.
(남대문은 국보 1호입니다.)
우리가 늘 무심코 바라보는 남대문은 한국적 정취가 풍기는 아름다운 예술품이다. 놀랍게도 이 사실을 잘 모르는 우리들은 외국인에게 남대문 주위에 있는 고층건물을 자랑할지언정 진짜 국보인 남대문에 대해서는 국보1호라는 것 이외에는 별로 할 얘기가 없는 듯이 지나쳐
버린다. 안타까운 일이다. 이에 반하여 외국인들은 별로 높지도 않은 고층건물에는 관심이 없고 공해에 찌들리고 있는 이 이상한 건물에 대해서 호기심을 발동한다.
Mr. Ahn, What is it?
(안 선생님, 저게 뭐지요?)
That's Namdaemun, the south gate of the old Seoul.
(그건 옛 서울의 남쪽 대문입니다.)
Namdaemun was one of the busiest gates throughout the Yi Dynasty.
(남대문은 이씨조선 때는 아주 번화한 문이었지요.)
It was built more than five hundred years ago, in the reign of Yi Sung-Ke, the First King of the Yi Dynasty.
(남대문은 5백여년 전 이씨조선시대 태조 이성계 임금 때에 지은 것입니다.)
About fifty years later, king Sejong renovated it.
(그후 한 50년 있다가 세종 임금이 고쳐지은 것입니다.)
This has been designated national treasure Number One by our government.
(이 문은 우리 나라가 국보1호로 지정했습니다.)
This is the oldest of all the wooden buildings of the Yi dynasty.
(이문은 이조시대의 목조 건물로는 최고로 오래된 것입니다.)
이쯤 설명할 수 있다면 여러분의 영어실력은 대단하다고 할 수 있다. 역사가 불과 2백여 년에 불과한 미국인들에게는 4백년이란 말만 가지고도 충분히 감격할 여지가 있는 것이며 무엇이든지 Number One에 관심을 가진 그들에게 국보1호라는 말도 강한 인상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럴 때
Shall we take a souvenir picture of your visit to Korea in from of the gate?
(그 앞에서 한국방문 기념사진이나 찍을까요?)
라고 권하게 된다.
109. You are married, aren't you?
(결혼하셨지요? 그렇지요?)
우리가 의사소통을 할 때 어떤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질문을 던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에 미국인들은 Tag question(부가의문문)을 사용한다. 이 Tag question을 분명히 사용할 수 있다면 그는 분명히 영어를 잘 하는 사람이라고 해도 틀림이 없다. 같은 Tag question이라도 상대방으로부터 "Yes"라는 대답을 확인하고 싶다면,
You are married, aren't you?
(선생님, 결혼하셨지요?)
You were born in America, weren't you?
(미국에서 태어나셨지요?)
You can come tomorrow, can't you?
(내일 꼭 오실 거지요?)
You've got a car, haven't you?
(자동차를 가지고 계시지요?)
You do smoke, don't you?
(담배를 피우시지요?)
라고 질문을 던지고, 만일 "No"라는 대답을 확인하고 싶으면,
You aren't cold, are you?
(춥지 않지요?)
You weren't ill last week, were you?
(지난주에 안 아프셨지요?)
You can't swim, can you?
(수영을 못하시지요?)
라고 묻는 경향이 있다. 열심히 연습해 보시기를 바란다.
110. Do you have any openings?
(여기 일자리가 있습니까?)
우리 나라에서 취직을 하기 위해서는 공개시험을 거쳐서 일자리를 구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 대학졸업자들의 경우를 보면 대체로 신문의 구인광고란을 뒤져서 자기가 일하고 싶은 회사를 여러 종류 고른 후에 resume을 보내게 된다. resume은 우리의 이력서와는 달리 자신의 교육, 경력뿐 아니라 신상에 관한 자세한 내용을 기술하고 자신이 그 일자리에 꼭 적합한 사람임을 강력하게 주장한다. 회사에서는 이 resume을 검토한 후 인터뷰를 거쳐 사람을 뽑는다. 어쨌든 어떤 친구들은 resume을 100장 이상 준비하기도 한다. 직접회사를 방문해서 또는 전화로 일자리를 구하기도 하는데
Do you have any openings?
(여기 일자리가 있습니까?)
라고 묻는 것이 보통이다.
Do you have any openings for a typist?
(타이피스트 자리가 있는지요?)
Can you tell me if you have any secretarial openings?
(비서자리가 있는지요?)
I'm looking for a position as a secretary.
(비서직 자리를 구하고 있는데요.)
I'd like to apply for the position of sales assistant.
(판매보조원 자리에 응모하고 싶습니다)
111. The old gives place to the new.
(새 것이 옛 것을 대신한다.)
새로운 것이 예스러운 것을 대신한다는 것은 자연의 이치인 듯이 보인다.
Electricity has replaced steam.
(전기가 증기를 대신한다.)
Machinery takes the place of human labor.
(기계가 인간의 노동을 대신한다.)
The old gives place to the new.
(새 것이 옛 것을 대신한다.)
그러나 가만히 자연현상을 살펴보면 결코 다른 것으로 대신할 수 없는 것도 있다. 예를 들면
There is no real substitute for mother's milk.
(모유를 대신할 만한 것은 없다.)
There is no real substitute for freedom.
(자유를 대신할 만한 것은 없다.)
자연식품 대신에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식품이 범람하고 로봇이 인간을 대신하고 새로운 유행과 사고방식이 옛것을 대신함으로써 한 세대의 차이가 이제는 50년이 아니라 불과 1주일차이라는 대학생들의 농담을 들으면서 나는
The old gives way to the new.
(새로운 것이 옛 것을 대신한다.)
라는 말에 꼭 그런 것만은 아니라고 반발하고 싶은 심정을 느낀다.
112. A campaign for clean election must be enforced.
(공명선거가 실시돼야 한다.)
선거는 민주국가에서 가장 중요한 절차이다. 이 선거를 통하여 국민들은 국가를 위한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는 것이다. 선거운동기간에는 국회의원이나 자치단체장으로 일하고 싶은 후보자들이 열심히 뛰게 마련이고 그러다 보면 선거운동이 과열되게 마련이다.
Campaigning for the coming parliamentary election is heating up.
(다가오는 국회의원을 위한 선거운동이 과열되고 있다.)
선거운동이 과열되다 보니까 이른바 공명선거를 위협하는 일들이 곳곳에서 일어나는 모양이다. 그 예를 보면
Black propaganda can be seen.
(흑색 선전이 나타나고 있다.)
Black propaganda is darkening the campaign climate.
(흑색선전이 선거운동 분위기를 흐리고 있다.)
야당 쪽에서는 계속 성명을 발표하면서
Government employees interference in campaigning in support of ruling party candidates should be stopped.
(여당후보의 지원을 위한 공무원들의 선거간섭이 중지돼야 한다)
고 주장한다. 선거는 우리 나라의 민주주의 확립을 위해 중요한 절차이므로
It should be a fair campaign.
(꼭 공명선거가 돼야한다.)
113. An outdoor market is an interesting place.
(옥외 시장은 흥미 있는 곳이다.)
내가 살고 있는 구서동에는 닷새마다 "오시게 장"이라고 불리는 장날이 열린다. 우리 나라의 근대화에 의해 밀려나버린 장날을 부산시에서 즐길 수 있다고 하는 것은 참으로 즐거운 일이다.
There is a busy atmosphere.
(그곳에는 번잡한 분위기가 있다.)
There is a lot of noise.
(그곳은 굉장히 시끄럽다.)
There is a lot of confusion.
(그곳은 아주 복잡하다.)
그러나 이곳의 복잡성과 소음은 도심지에서 느끼는 신경질적인 것과는 달리 구수하고 인간미가 있다. 자기 물건을 팔겠다고 소리소리지르는 장사꾼이 밉지가 않다.
There is a lot of color in the various areas.
(이곳 저곳에는 색깔들도 다양하다.)
There are fresh tomatoes, pumpkins, and cucumbers.
(신선한 토마토와 호박과 오이가 있고)
There are apple, peaches and pears.
(사과와 복숭아와 배가 있다.)
There are eggs and chickens.
(달걀도 있고 닭도 있다.)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an outdoor market and a supermarket.
(옥외시장과 슈퍼마켓은 큰 차이가 있다.)
114. He doesn't know A from B.
(그는 낫 놓고 기역자도 모른다.)
우리 나라에서는 글자를 모르는 사람을 가리켜서 "낫 놓고 ㄱ자도 모른다"라는 재미있는 표현을 하는데 이 말을 영어로 바꾸어 보면
He doesn't know A from B.
가 되겠다. 물론 이 말은 글자뿐 아니고 사람의 무지를 표현하는데 쓰이기도 한다.
즉 위의 표현은
He is an illiterate.
(그는 일자무식이다.)
He is an unlettered person.
(그는 문맹자다.)
라는 표현도 되겠지만
He is too ignorant to know ABC's.
(그는 ABC도 모를 정도로 무지하다.)
He is a blind fool not to know a word.
(그는 아주 무식하다.)
라는 표현으로도 사용될 수가 있다. 우리 나라의 가옥구조는 ㄱ자로 된 것이 많은데 이런 가옥구조를 영어로 표현할 때는
This is an L-shaped house.
(이 집은 ㄱ자 모양으로 된 집이다.)
라고 표현한다. 우리 나라의 ㄱ자를 영어의 L자로 표현하면 된다는 것은 언뜻 머리에 떠오르지 않을 것이다.
115. Save your money, please!
(제발 돈을 절약하세요.)
외국을 여행하는 우리 나 사람들이 하도 돈을 물쓰듯하기 때문에 한국인 관광객을 유치하려는 노력이 일부 국가에서 있었다는 신문보도를 본 일이 있다. 참으로 한심스러운 일이다. 한푼의 외화를 벌어들이기가 얼마나 어려운 일인데 돈을 아낄 줄 모르다니!
Save your money!
(돈을 절약하세요!)
Please save your money!
(제발 부탁합니다. 돈을 쓰지 마세요.)
Don't spend your money too much!
(제발 너무 많이 돈을 쓰지 마세요.)
그러나 어느새 소비 낭비 사치풍조가 만연해서 어디서나 쉽사리 발견되는 듯하니 정말 큰일이다. 신문을 보아도 잡지를 보아도 텔레비전을 보아도
Are you tired of your old car?
(낡은 차에 싫증이 나지 않습니까?)
Then, go your dealer and buy a new one.
(그러면 자동차 판매원을 만나서 새차를 하나 사세요.)
Don't wait!
(기다리지 마시고)
Buy one today!
(오늘 당장 사세요.)
등의 광고가 유혹하고 있고
Look at this beautiful washer!
(이 멋진 세탁기를 보세요.)
It's convenient!
(이 세탁기는 아주 편리하지요.)
It's automatic.
(이건 자동식이에요.)
It isn't expensive, so buy one today.
(비싸지도 않으니까 오늘 당장 하나 사세요.)
등으로 소비자들에 숨돌릴 여유도 주지 않고 돈을 쓰라고 재촉한다. 그런가 하면
Take a trip to Mt. Sorak.
(설악산으로 관광여행을 떠나세요.)
Rent an auto and go to Mt. Naejang.
(차를 빌려서 내장산으로 가세요.)
Buy a new stereo tape recorder.
(새로 나온 전축을 사세요.)
아리따운 아가씨들이 은근한 미소로 유혹하는데는 어쩔 도리 없이 꼭 움켜쥐고 있던 돈을 풀어내 놓기 마련이다.
116. I started my business with no capital.
(나는 맨손으로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사업에 성공한 사람들 중에는 처음에는 그야말로 맨주먹으로 시작한 분들이 많이 있다. 그러나 성실과 창의성으로 열심히 노력하려 자신의 사업을 성공시키는 분들을 보면 놀라울 따름이다.
I have made a fortune starting from scratch.
(나는 맨손으로 시작해서 재산을 모았다.)
I started my business with practically no capital.
(나는 맨손으로 사업을 시작했다.)
미국에서는 이런 식으로 아무 것도 없는 상태에서 시작해서 거부가 된 사람들이 많은데 이런 사람을
He is a self-made man.
(그는 자수성가한 사람이다.)
라고 표현한다. 언뜻 보면 인간은 태어날 때
I was born poor.
(나는 가난하게 태어났다.)
I was born rich.
(나는 부자로 태어났다.)
둘 중의 하나로 태어나는 것 같지만 실상은
We are born with bare hands.
(우리는 맨손으로 태어났다.)
라는 말이 옳고
We die with bare hands.
(우리는 맨손으로 죽는다.)
117. He is a blue-collar worker.
(그분은 육체 노동자입니다.)
미국사람들은 노동을 찬미하는 전통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아마도 초기이주민들이 신천지를 개척하기 위하여 땀흘려 일한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미국학생들에게 아버지의 직업이 무엇이냐고 물어보면
He is a truck-driver.
(그분은 트럭 운전 기사예요.)
He is a welder.
(그분은 용접공이다.)
He is a garbage collector.
(그분은 쓰레기 청소원이다.)
He is a mechanic.
(그분은 기계수리공이다.)
He is a blue-color worker.
(그분은 육체노동자이다.)
라는 말을 서슴없이 하며 조금도 부끄러워하는 기색이 없다. 얼마나 아름다운 일인가. 직업에 귀천이 없다는 사실이 정말 실감나는 곳이 미국이다. 우리 나도 하루빨리 육체노동을 하는 사람을 존중하고 급여를 많이 주는 사회가 돼야 선진사회라고 할 것이다. 미국에서는
사무실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He is a white-color worker.
(그분은 사무직을 맡고 있는 사무원이다.)
라고 말하는데 여전히 worker라는 말을 사용함으로써 노동의 귀중함을 표현하고 있다.
118. The sad news came as a surprise.
(슬픈 소식이 갑자기 날아들었다.)
대체로 슬픈 소식은 갑자기 찾아든다. 가깝게 지내던 분이 갑자기 고혈압으로 쓰러져 병원에 입원했다거나 교통사고로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은 우리를 갑작스럽게 혼란에 빠뜨리게 한다. 며칠 전 어느 친구가 멍하니 얼빠진 표정을 하고 서있는 것을 보았다. 그래서 그 이
유를 물었더니 그의 대답은
I received a notice of Mr. Kim's death.
(나는 미스터 김의 부고를 받았다.)
He died suddenly.
(그는 갑작스럽게 죽었다.)
He is only 40 years old.
(그는 40세밖에 안되는데.)
한참 일할 수 있는 나이에, 아무도 죽음을 예상하지 않던 나이에
He died suddenly.
(그는 갑작스럽게 죽었다.)
It was an abrupt death.
(그것은 돌연한 죽음이었다.)
가까운 사람의 갑작스러운 죽음이 사람의 일생을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바꾼 계기가 된 경우도 많다.
He suddenly changed his attitude because of his friend's death.
(친구의 죽음으로 그는 갑자기 태도를 바꾸었다.)
슬픈 소식이 오는 것도 할 수 없겠지만 좀 천천히 날아들었으면 좋겠다.
119. Jack lives in a dormitory.
(잭은 기숙사에서 산다.)
미국인들과 만났을 때 정치 경제 종교 철학에 대하여 얘기하게 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다. 대체로 우리가 하는 얘기는 일상적인 얘기가 되는데 놀랍게도 우리 나라의 영어학습자는 괴상한 숙어나 속어는 잘 알고 있으면서도 다음과 같은 평범한 얘기는 잘 못한다.
Jack lives in a dormitory.
(잭은 기숙사에 산다.)
He gets up at seven o'clock in the morning.
(잭은 아침 7시에 일어난다.)
He eats breakfast at seven thirty.
(일곱 시 반에 아침을 먹고)
He goes to class at eight o'clock.
(여덟 시에 학교에 공부하러 가고)
He studies in the library in the afternoon.
(하오에는 도서관에서 공부한다.)
He does homework assignments in the evening.
(저녁에는 숙제를 하고)
He watches TV in the evening.
(저녁에는 텔레비전을 본다.)
He goes downtown on Saturdays.
(잭은 토요일마다 시내에 가고)
He goes to the movies on Saturday nights.
(토요일 밤마다 영화를 본다.)
120. I bought it on credit.
(나는 그걸 외상으로 샀다.)
미국사회에서는 credit stem이 잘 발달되어서 무엇이든지 credit card를 이용하여 외상으로 살 수 있다. 자동차의 gas (휘발유)는 말 할 것도 없고 음식점 백화점 비행기표 등 안정된 직장만 있으면 우선 외상으로 생활을 즐길 수 있다. 그래서 미국에서는 미국인들은 죽은 후에나 외상이 없다고 말하기도 한다.
Please charge it to my credit.
(그걸 외상으로 달아 주세요.)
Please charge it to my account.
(그걸 외상장부에 적어 두세요.)
그러나 이런 외상은 우리 나라와는 달리 credit card를 통해서 하는 것이고 우리처럼 단골집에서 그 사람의 안면을 보고 외상을 주는 것과는 전혀 다른 것이다. 그러니까 우리 나라의 외상제도는 인간작인 관계와 정에 기초를 두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 독특한 제도인 것이다.
The store let me charge.
(저 가게는 외상이 통한다.)
I have credit there.
(나는 저곳에서 외상을 그을 수 있다.)
121. That bridge is made of stone.
(그 다리는 돌로 만들어 졌다.)
나는 어렸을 때 강원도 산골에서 잠깐 살아본 일이 있는데 그때 여울을 가로질러서 나무와 솔가지와 흙으로 만들어 졌던 아슬아슬한 다리를 재미있게 건너다니던 생각이 지금도 생생하다. 그 다리는 장마만 되면 떠내려가곤 해서 해마다 다시 놓곤 했는데 요즈음은 훌륭한 시멘트 다리가 놓여져 있다고 한다. 그러니까
That bridge is made of wood and clay.
(그 다리는 나무와 진흙으로 만들어져 있다.)
라고 묘사되었던 다리가 요즘은
That bridge is made of cement.
(그 다리는 시멘트로 만들어져 있다.)
로 되어서 애틋한 낭만은 사라졌다고 하겠다. 어떤 재료로 만들어 졌는지를 말할 때 미국인들은
This jelly is made of apples.
(이 젤리는 사과로 만들어졌다.)
This furniture is made of steel.
(이 가구는 강철로 만들어 졌다.)
The juice is made from grapes.
(이 주스는 포도로 만들었다.)
122. I've lived here for three years.
(나는 3년 동안 여기서 살아왔다.)
"고향이 따로 있나 정들면 고향이지"라는 유행가 가사를 구태여 떠올릴 필요도 없이 사실상 요즈음은 정든 곳이 바로 고향이 되는 듯 싶다. 급변하는 사회 경제질서의 변천 속에서 어느 한곳에 머물러 산다는 것은 점점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옛날에는
I've lived here for about 30 years.
(나는 여기서 한 30년쯤 살아왔다.)
이런 이야기를 듣는 것이 아주 흔한 일이었으나, 요즈음은
How long have you lived here?
(여기서 얼마동안 사셨습니까?)
라고 물으면
I've lived here for several years.
(여기서 몇 년간 살았습니다.)
I've lived here for only a few months.
(여기서 불과 몇 달 살았습니다.)
라고 대답하는 분들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이사는 몇 번쯤이나 했을까 싶어
How many times have you moved your house?
(이사는 몇 번쯤이나 했습니까?)
라고 물어보면 열 번 이상 했다고 대답하는 분이 많은 것은 놀라운 일이다.
123. I have a light purse.
(나는 돈이 조금밖에 없다.)
점심시간이 다가오면 한 사무실에서 같이 일하고 있는 직원들간에 미묘한 긴장이 일어나게 된다. 왜냐하면 누구든지 먼저 점심을 먹으러 가자고 한사람이 대체로 점심 값을 내야 하기 때문이다.
Shall we go out for lunch?
(점심 먹으러 나갈까요?)
라는 말은 그만큼 위험부담이 높은 말이다. 미국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각자가 점심 값을 부담하게 되어 있으므로 부담 없이 점심하러 가자고 얘기할 수 있다. 그러나 상대방이
I am short of money for the Chinese restaurant.
(나는 중국 집에 가기는 돈이 부족해.)
I have a light purse.
(나는 돈이 별로 없어.)
라고 말하면 상대방의 주머니 사정에 맞추어서 점심을 먹으러 가는 것이 예의로 되어 있다. 만일 돈이 없으면
I have a cold purse.
(나는 돈이 없어.)
I am nearly broke.
(나는 돈이 다 떨어졌다.)
라고 말한다.
124. Clean up Your Room.
(네 방을 청소해라.)
늘 명령을 듣기만 할 때는 남의 명령이 잔소리 같기 만하고 지겹기가 이를 데 없는데 어쩌다가 명령을 내리는 입장이 되어 보면 왜 그렇게 잔소리 할 거리가 많은지 참으로 이상한 일이다. 암에게 명령하는 연습을 실컷 해 보기로 하자.
Tie your shoes!
(구두끈을 매어라.)
Clean up your room!
(네 방을 깨끗이 치워라.)
Make your bed!
(네 침대를 좀 정돈해라.)
Button your coat!
(단추 좀 채워라!)
Hang up your coat!
(네 코트를 걸어라.)
Do your homework!
(숙제를 해라.)
Wash your hands!
(손 좀 씻어라.)
Polish your shoes!
(구두 좀 닦아라.)
Shut your mouth!
(입 닥쳐.)
125. John is like his father.
(존은 아버지를 닮았다.)
미국인들은 어떤 두 사물을 비교해서 거의 비슷할 경우 'like'를 사용해서 구체적인 표현을 자주 한다.
Mary is like her mother.
(메리는 어머니를 닮았다.)
This camera is like the other camera.
(이 카메라는 저것과 비슷하다.)
This typewriter is like the other one.
(이 타자기는 저것과 같다.)
This car is like the other car.
(이 차는 저 차와 비슷하다.)
만일 어떤 물건이 자기 것과 같지 않다면 부정문을 써서
This watch isn't like mine.
(이 시계는 내 것과는 다르다.)
This key isn't like mine.
(이 열쇠는 내 것과는 다르다.)
This comb isn't like mine.
(이 빗은 내 것과는 다르다.)
두 사물을 비교할 때 특별히 비슷한 정도를 나타내고 싶으면
This key is almost like mine.
(이 열쇠는 내 것과 아주 비슷하다.)
This key is just like mine.
(이 열쇠는 내 것하고 똑같다.)
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126. Whenever I sing, I go blank.
(노래를 할 때마다 가사를 까먹는다.)
노래를 부르려고 하면 처음에는 잘 할 듯 하다가도 그만 가사를 깜빡 잊어버리는 경우가 생겨서 낭패를 달하는 일이 많이 있는데 이런 경우
Whenever I sing, I go blank.
(노래를 부르려고 가면 가사를 잊어버린다.)
I have a bad memory.
(나는 기억력이 나쁘다.)
라고 말하면 어느 정도 위기를 넘길 수 있을 것이다. 기억력이 좋지 못하다는 표현은
My memory is very short.
(나는 잘 잊어버린다.)
My memory is always at fault.
(나는 늘 잊어먹는다.)
라고 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아는 사람을 만나서 인사를 할 때
How are you, John?
(존, 잘 있었어?)
식으로 상대방의 이름을 꼭 말해야 하는데 보통 때는 잘 기억하고 있다가도 막상 딱 맞닥뜨렸을 때 이름이 생각나지 않아 애를 먹는 일이 부지기수였다.
127. Get Your Picture Taken!
(네 사진을 찍어라.)
미국인들은 어떤 명령을 내릴 때 get 이란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표현은 우리들에게는 아무나 낯선 것이어서 뜻을 잘 알아듣지 못하고 당황하는 경우가 많다. 이제 get을 이용한 표현을 살펴보면,
Get your hair done at a beauty shop.
(미장원에서 머리를 손질하세요.)
Get your hair cut at a barbershop.
(이발소에서 머리를 깎으세요.)
Get your laundry done at a laundry.
(세탁소에 가서 빨래를 하세요.)
Get your car serviced at a gas station.
(주유소에 가서 서비스를 받으세요.)
Get your coat mended at a tailor's shop.
(양복점에 가서 코트를 고치세요.)
Get your glasses fixed at an optician's.
(안경점에 가서 안경을 고치세요.)
get으로 시작되는 명령문을 열심히 연습해 주기 바란다.
128. He had a clean record.
(그분은 깨끗한 생을 살았다.)
가을 하늘을 올려다보면 너무나 기분이 좋아진다. 티 한점 없는 파란 하늘은 우리에게
Blessed are the pure in heart.
(마음이 가난한 자는 복 있는 자이다.)
라고 말해 주고 있는 듯 싶다. 물질 만능시대의 풍조가 넘치는 가운데 깨끗한 마음과 욕심 없는 마음을 가지고 세상을 살아간다면 그는 정말 신의 축복을 받은 사람이라고 생각된다.
He is pure in heart.
(그는 마음이 깨끗한 사람이다.)
He had a clean record.
(그분의 생은 깨끗했다.)
이런 평가를 받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서양속담에
Handsome is that handsome does.
(마음이 깨끗한 자는 얼굴에 나타난다.)
라는 말이 있는데 내 마음은 어느 정도 깨끗할까를 생각해 보면 두렵기만 하다. 다만
I want to live an honest life.
(나는 정직하게 살고 싶다.)
I want to have a career with a clean record.
(나는 깨끗한 생애를 살고 싶다.)
라는 생각을 가지고 노력할 뿐이다.
129. Life is good for the average person.
(보통사람도 행복한 인생을 즐긴다.)
보통사람들이 잘 사는 사회! 아마 이것을 가리켜 선진국이라고 불러도 좋을 것이다. 우리가 선진국의 대열에 끼여들기 위해서 열심히 노력하고있는 오늘 한번쯤 1인당 GNP가 7천 달러 이상이 되면 어떤 생활을 영위하게 될까를 생각해 보는 것은 정신건강을 위해서 가치 있는 일이 될 것이다.
It's 1991.
(지금은 1991년이다.)
Life is good for the average person.
(보통사람도 행복한 인생을 즐긴다.)
There are enough necessities of life for most people.
(대부분의 사람들이 충분한 정도의 생활 필수품을 얻을 수 있다.)
There's enough food.
(식량이 풍족하고.)
There are enough homes.
(주택도 넉넉하고)
There's an adequate supply of fuel to heat homes and offices.
(집과 사무실을 따듯하게 만들 수 있는 적당한 양의 기름이 공급될 것이고.)
There's enough gas for cars, trucks, and busses.
(자동차나 트럭 그리고 버스를 위한 충분한 휘발유가 있고)
The job market is good.
(일자리를 찾기도 쉽고.)
Public transportation is cheap and efficient.
(공공교통수단은 값싸고 능률적일 것이다.)
이렇게 된다면 보통 사람들도 매일 직장에서 일터에서 쫓기기만 하던 생활에서 벗어나 한가롭게 주말을 가족과 즐길 수 있는 여유를 갖게 될 것이다.
It's 1991.
(지금은 1991년이다.)
Recreation areas are plentiful.
(여기저기에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곳이 많다.)
Average people can drive to a nearby camping spot or beach.
(보통사람들도 차를 타고 캠핑하러 가거나 해변으로 달려가서.)
They can enjoy an overnight in the outdoors.
(야외에서 하루 밤을 즐길 수 있다.)
In cities, there are many parks and gardens.
(도시 안에도 공원들이 여기저기 있고.)
There are many recreation facilities.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시설들이 많이 있다.)
130. A barking dog is never a good hunter.
(큰 소리 치는 사람은 실속이 없다.)
번역이란 아주 재미있는 것이어서 어떤 때는 마술처럼 신비스럽게 느껴질 때도 있다.
A barking dog is never a good hunter.
라는 말은 물론 직역을 하면 "잘 짖는 개는 절대로 좋은 사냥개가 아니다."라고 번역되겠지만 그렇게 번역하면 졸렬한 번역이 되고 말 것이다. 이 표현은 미국인들이 즐겨 쓰는 속담으로
Great barkers are no biters.
(큰소리 치는 사람은 실속이 없다.)
라는 말이다. 다음에 소개하는 몇 가지 재미있는 속담을 예를 들어 재미로 직역을 한 번해보고 진짜 뜻을 음미해 보기 바란다.
The pot calls the kettle.
(똥 묻은 개가 재 묻은 개를 비웃는다.)
Birds of a feather flock together.
(끼리끼리 모인다.)
A black hen laid white eggs.
(개천에서 용 났다.)
Casting pearls before swine.
(소귀에 경 읽기.)
Walls have ears.
(밤말은 쥐가 듣고 낮말은 새가 듣는다.)
The sparrow near a school sings the primer.
(서당개 삼년이면 풍월을 한다.)
131. I have a green thumb.
(나는 화초재배를 아주 잘합니다.)
계속 과밀화 현상을 빚고 있는 도시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날마다 시멘트로 이루어진 빌딩의 숲 속에서 무규범, 공격성, 불안감에 시달리고 있다. "나의 살던 고향은 꽃피던 산골, 복숭아꽃 살구꽃 아기진달래" 이런 노래를 입으로는 부르지마는 아무런 정서도 느끼지 못하고 자라나는 아이들을 볼 때마다 나는 안타까움을 느낀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국가적 원에서 여러 가지를 생각해 낼 수 있겠으나 나는 여러분들에게 화초 가꾸기를 권하고 싶다. 좁은 아파트의 한구석이나마 흔히 구할 수 있는 화초들을 작은 화분에서 길러 본다는 은 너무나 인생을 살찌게 하는 보람있는 일이 될 것이다. 그래서 친구인 이웃에게
I have a green thumb.
(나는 화초재배를 아주 잘 합니다.)
I don't know a lot about plants.
(나는 식물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I can plant anything and it comes up.
(나는 뭐든지 심고 또 심기만 하면 잘 자랍니다.)
Plants grow well for me.
(어떤 것이든지 내가 심기만 하면 잘 자랍니다.)
I spend some of my day with my house plants.
(나는 하루의 약간은 반드시 화초를 돌보며 지냅니다.)
화초를 가꾼다는 것은 단순한 취미를 훨씬 능가하는 깊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슈바이처가 강조했던 생명의 경외를 발견할 수도 있고 사람을 사랑하는 순수함도 잣은 선인장 한두 개를 길러봄으로써 발견할 수가 있다.
I don't have any expensive plants.
(나는 비싼 종류의 화초를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However, gardening is my hobby.
(그렇지만 화훼 원예가 제 취미입니다.)
그것은 화초를 기르기는 기르는데 자신이 허영을 위해서 기르는 사람들도 있다는 사실이다. 어떻게 해서든지 비싼 종류의 화초를 길러야만 자신의 체면이 서는 것이지 뭔가 요란법석을 떨면서 화초를 기르는 사람이 있는데 이런 경우 그는 화초를 기르는 것이 아니라 그의 허영 도덕적 파멸을 기르는 것이 될 것이다. 이런 사람을 위해서는
Plants won't grow well for her.
(화초들은 잘 자라지 않을 것이다.)
132. He is an interesting man.
(그분은 흥미로운 분입니다.)
우리 주위에는 여러 유형의 사람들이 저마다 자기방식대로 살고 있음을 본다. 어떤 사람은 눈에 별로 뜨이지 않는 평범한 생활을 하는데 이런 분은
He is an ordinary person.
(그는 평범한 사람이다.)
He is an average person.
(그는 보통사람이다.)
라고 얘기 할 수 있겠다. 또 어떤 삶은 자신이 그저 그런 보통사람임에도 불구하고 굉장한 사람이나 되는 듯이 폼을 잡는데 이런 사람에겐
He acts as if he were somebody.
(그는 마치 자신이 뭐나 되는 것처럼 행동한다.)
라는 말이 가장 알맞은 표현이 될 것이다. 늘 농담을 잘하고 실없는 소리를 잘해서 상대방을 즐겁게 해주는 사람에겐
He is funny.
(그 사람은 재미있는 사람이다.)
라는 재미있는 표현을 하기도 한다. 우리는 흔히 재미있는 사람을 가리켜
He is an interesting man.
이라고 번역하기가 쉬운데 진짜 번역은
He is funny.
가 맞고
He is an interesting.
(그는 흥미로운 사람이다.)
은 괴짜에 가까운 흥미 있는 인생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133. No shoes, please!
(신을 벗으세요.)
집안에서도 구두를 신고있는 미국인들에게는 집안에서는 반드시 신을 벗어야 하는 우리의 풍속이 이상하고 불편하게 생각되어질 것이다.
In the typical Korean home, the floors are covered with linoleum or oiled floor
paper.
(전형적인 우리나라이 방은 비닐장판이나 종이 장판지가 깔려 있습니다.)
The papered floors are used for sitting and sleeping.
(방바닥은 그대로 앉거나 잠자는데 사용됩니다.)
Therefore, shoes are left by the front door, so that all the dirt from the outside
stays outside.
(그래서 구두는 밖에서 묻은 먼지를 방밖에 놓아두도록 방문밖에 둡니다.)
그러나 미국의 방들은 대부분 carpet를 깔아 놓고 또 의자나 sofa에 앉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냥 구두를 신고 들어가도록 되어있다. 하지만 우리 가족은 미국에서 살 때도 방안에 들어갈 때는 신을 신지 않고 우리 집을 방문하는 미국인들에게도
No shoes, please!
라고 말하곤 했다.
134. Sing a song!
(노래를 불러라.)
이 세상에 노래처럼 아름다운 것이 또 있을까? 괴로울 때나 슬플 때나 기쁠 때나 외로울 때 누가 듣는 이가 없더라도 노래를 한 곡조 뽑아 보면 기분이 상쾌해 진다. 그래서 농부들은 밭을 갈면서 노래를 불렀을 것이고 어부들인 고기를 잡으며 뱃노래를 불렀고 옛 아녀자들은 베를 짜면서 노래를 불렀을 것이다.
Sing a song!
(노래를 불러라.)
Sing out loud!
(큰 소리로 노래하라.)
Sing out strong!
(씩씩하게 노래하라.)
Sing of good things, not bad.
(노래를 부를 때에는 좋은 내용의 노래를 불러라.)
Sing of happy, not sad.
(슬픈 노래말고 행복한 노래를 불러라.)
Don't worry that- it's not good enough for anyone else to hear.
(노래가 다른 사람이 듣기에 좋든지 나쁘든지 걱정하지 말라.)
Sing a song no matter what people say.
(남들이 뭐라던 노래를 불러라.)
Sing out loud.
(노래를 큰 소리로 불러라.)
135. That's a false tip.
(그건 잘못된 정보이다.)
리처드 매키언이 지적한대로 요즘은 정보홍수시대다. 그래서 어떤 사람이
He has not well informed.
(그는 정보에 어둡다.)
He has no information at hand.
(그는 전혀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
라는 말을 듣게 되면 그는 이 사회에서 살아가기가 힘들게 된다. 왜냐하면
This is an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지금은 정보사회이다.)
따라서 기업 경영자나 일반사람들도 생활정보에 민감해야 한다. 만일
No information is available on that matter.
(그 문제에 대하여 전혀 정보가 없다.)
라는 사태가 발생했을 때는 언제, 어디서, 누구로부터, 어떤 정보를 어떻게 얻어야 하는가를 빨리 파악해서
You should keep track of current events.
(최근의 사건들을 예의 주시해야 한다.)
정보를 얻었을 때는 반드시
What's the source of information?
(정보원이 어디인가?)
를 알아봄으로써 그것이 확실한 정보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136. I can't tell which is which.
(어느 게 어느 건지 모르겠다.)
구약성서에 의하면 최초의 인간인 아담과 이브는 선과 악을 몰랐으나 금단의 열매를 따먹은 후부터 눈이 밝아져서 그들이 벌거벗은 몸인 것을 알게 되었다고 했다. 아마도 인간이성의 발달을 의미하는 이 사실로부터 인간은
I have sense and sensibility.
(나는 의지와 감정이 있다.)
I have some sense of right or wrong.
(나는 옳고 그름을 구별할 수 있다.)
I know a good man from a bad.
(나는 좋은 사람과 나쁜 사람을 구별할 수 있다.)
라는 말을 자신 있게 하게 되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How can you tell a good man from a bad?
(좋은 사람인지 나쁜 사람인지 어떻게 말할 수 있느냐?)
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 처음에는 간단히 대답할 것 같다가도
I can't make no distinction.
(구별하기가 어렵다.)
라고 힘없이 대답할 수밖에 없다.
137. She is always biting her nail.
(그 여자는 늘 손톱을 깨무는 버릇이 있다.)
사람들은 대체로 자기 나름대로의 버릇을 가지고 있다. 어떤 버릇은 거의 무의식적인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기 자신은 잘 모르는 것도 있으니 참으로 이상한 일이다.
John has a curious habit.
(존은 이상한 버릇을 가지고 있어.)
What is it?
(그게 뭔데?)
He has some nervous shaking.
(이상스럽게 몸을 자꾸 흔들거든.)
우리 나라 사람들은 대체로 민망한 경우를 당하거나 당황하는 경우에 머리를 긁적거리는 버릇이 있는데, 이런 경우
He has a habit of scratching his head.
(그는 머리를 긁적이는 버릇이 있다.)
라는 말을 듣게 될 것이다. 어떤 사람은 어디에 가든지 한 번 털썩 앉으면 끈질기게 앉아 있는 경우가 있다.
He is always staying too long.
(그는 엉덩이가 되게 무겁다.)
138. Mr. Kim is a healthy person.
(미스터 김은 아주 건강한 분입니다.)
오늘날처럼 바쁘게 돌아가는 세상에 있어서 건강처럼 중요한 것은 없다. 특히 공해와 매연속에서 늘 시달려야만 하는 도시인들에게는 틈만 나면 야외로 달려나가서 신선한 공기를 마시며 적당한 운동을 즐기는 것이 필요하다.
Mr. Kim lives in the city, but he enjoys being outdoors.
(미스터 김은 도시에서 살고 있지만 늘 틈만 나면 야외생활을 즐깁니다.)
When he can, he spends his time outside.
(할 수만 있다면 그는 야외에서 시간을 보냅니다.)
하루종일 사업에 쫓기다가 얻은 자유시간을 피곤하다는 구실로 텔레비전이라고 이름하는 바보상자 앞에 엉거주춤한 자세로 앉아서 시간을 보낸다거나 불결하고 공기가 탁한 지하술집에 앉아서 쓸데없는 잡담이나 하는 것이 결코 몸에 이로울 것은 못될 것이다. 그래서 우리의 모범생 Mr. Kim은
Every morning he runs or plays tennis in the park.
(매일 아침 그는 공원에서 달리기를 하거나 테니스를 칩니다.)
Every weekend he goes hiking in the country.
(주말마다 그는 교회나 시골로 하이킹을 갑니다.)
Bad weather doesn't stop him.
(날씨가 좋지 않아도 그는 야외에 나갑니다.)
He even gets out in the rain.
(그는 비가 와도 야외로 나갑니다.)
이쯤 되면 Mr. Kim의 건강이 늘 최선의 컨디션을 유지하지 않을 수가 없고 무슨 일을 하든지 매사에 자신을 가지고 임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그는 동료들로부터
Mr. Kim is a healthy person.
(미스터 김은 아주 건강한 분입니다.)
His outdoor exercise makes him so.
(늘 야외에서 운동을 하기 때문에 건강하게되었습니다)
직장에서 보면 소화가 안된다거나 머리가 띵하다거나 몸이 좀 안 좋다든가를 늘 입버릇처럼 말하는 사람들은 늘 무엇인가 불평불만에 차있고 매사를 부정적으로 보면서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런 분들은 당장 오늘부터라도 기회가 있을 때마다 Mr. Kim처럼 야외로 나가서 달리기를 하거나 낚시질을 하거나 등산을 하기를 권하고 싶다. 그렇게 되면 여러분은
I'm a cheerful, happy person.
(나는 늘 명랑하고 행복한 사람입니다.)
I like the world around me.
(나는 내 주위의 모든 것을 사랑합니다.)
라는 적극적인 자세를 갖게 될 것이다.
139. I like every one but you.
(나는 너를 빼고는 누구나 좋아한다.)
이런 말을 할 기회가 별로 없겠지만 마음속으로는 이런 말을 할 때가 가끔 있다. 얌체족이나 제비족 그리고 앞에서는 좋은 말을 하면서도 뒤에 가서는 온갖 욕을 퍼붓는 사람들을 보면
I like everyone but you.
(나는 너만 빼고 다 좋아한다.)
라는 말을 하고 싶은 충동을 강력히 느낀다. but는 '그러나'라는 접속사이지만 전치사처럼 쓰여서 '...을 제외하고는'이라는 뜻으로 쓰이는 경우가 있으므로 잘 익혀 두면 편리할 때가 많다.
All but he are present.
(그를 빼고는 모두 다 와있다.)
Nobody but she knew it.
(그 여자 이외에는 아무도 그것을 몰랐다.)
All but him were drowned.
(그를 빼고는 모두 다 익사했다.)
Everyone but John went.
(존을 제외하고 모두 갔다.)
James saw everyone but Hary.
(제임스는 해리를 제외하고는 모두 다 보았다.)
어떤 분이 특정한 음식을 빼고는 모두 다 먹을 수 있다고 말하는데 이런 경우
I eat everything but the dog-soup.
(나는 보신탕을 빼고는 다 먹는다.)
I like all vegetable but carrots.
(나는 홍당무 빼고는 모든 채소를 좋아한다.)
140. I am my own master.
(나는 내 멋대로 한다.)
자유라는 말이 어떻게 우리에게 받아 들여졌는지는 모르겠으나 자기 마음대로 행동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 요즈음은
Everyone has a conscience.
(누구나 양심을 가지고 있다.)
라는 말을 의심해야 할 정도로
His conscience is benumbed.
(그의 양심은 마비되어 있다.)
He has not an ounce of conscience.
(그는 양심이라고는 털끝만큼도 없다.)
라고 지적되어야만 할 사람들이 많다. 나쁜 사람들 말고도 자기만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사회의 질서는 엉망이 될 수밖에는 없다.
He is an egoist.
(그는 자기중심적이다.)
He is selfish.
(그는 자기 생각만 한다.)
He is his own master.
(그는 자기 마음대로 하는 사람이다.)
누구나 조금씩은 egoist이지만 남을 생각하는 여유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141. Be careful with fire!
(불조심!)
수많은 생명과 재산을 앗아간 대아호텔 화재사건은
When there is lack of vigilance, there comes a fire.
(방심하면 화재가 난다.)
We have frequent fires in winter.
(겨울에는 화재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그러니까 너도 나도 모두 정신을 바짝 차려서
We should look out for fire.
(우리는 불을 경계해야 한다.)
We should take precautions against fire.
(화재를 예방해야 한다.)
담배불도 조심하고 누전이 되고 있는지도 미리 살피고 화기를 다루는 사람은 안전수칙을 잘 지켜서
Many people died by a fire.
(화재로 많은 사람이 죽었다.)
하는 일은 절대로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겠다. 그리고
If a fire broke out, dial 119.
(만일 화재가 발생하면 119에 전화하세요.)
142. I don't know what to do.
(뭘해야 할지 모르겠다.)
갑자기 아무 준비도 없이 무대위로 밀려나온 어느 병아리 배우처럼 우리는 우리의 할 일을 잃어버릴 때가 많다.
I don't know what to do.
(뭘해야 할지 모른다.)
I don't know what to say.
(무슨 말을 해야 할지 모르겠다.)
I don't know where to go.
(어디로 가야할지를 모르겠다.)
라고 고개짓만 하다가는 관중의 야유를 받으며 퇴장할 수밖에는 없는 것이다. 어느덧 가르치는 사람이 되어 교단에 서서 학생들로부터
Please tell me what to do.
(무엇을 해야 할지 말씀해 주세요.)
Please tell me what to say.
(무슨 말을 해야 할지 가르쳐 주세요.)
Please tell me where to go.
(어디로 가야 할지 말씀해 주세요.)
라는 요청을 받을 때마다 졸지에 무대에 떠밀려 나온 어릿광대처럼 곤혹 감을 느낄 때가 많다.
143. Koreans tend to like sweet coffee.
(한국사람들은 설탕을 많이 넣은 커피를 마시는 경향이 있다.)
요즈음 우리 나는 세계최고의 커피 소비국으로 부상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어느 집을 방문하거나 사업상 사람을 만나게 되면
Have a cup of coffee.
(커피 한잔 드시지요.)
라고 커피를 권하는 것이 상례로 되어있다. 우리니 커피 마시는 법이 미국인과 다른 것은 언젠가 이승만 전 대통령이 농담으로 한 말처럼
We don't drink coffee with sugar.
(우리는 설탕을 친 커피를 마시는 게 아니고)
We drink sugar with coffee.
(우리는 커피를 탄 설탕을 마신다.)
라는 것이다. 그래서 대체로 black coffee를 즐기는 미국인들은
Koreans like sweet coffee.
(한국인들은 커피를 달게 마시는걸 좋아한다.)
라고 평을 하고 커피를 대접받을 때는
No sugar, please.
(설탕을 치지 마세요.)
라고 말해 보지만 대체로 설탕커피를 할 수 없이 마시게 된다.
144. He makes free with my possession.
(그는 내 물건을 마음대로 쓴다.)
하숙방을 다른 친구와 같이 써 본 경험이 있는 분들은 [네 것도 내 것이고 내 것도 네 것]이라는 식으로 남의 물건을 사용하는 것을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을 만나 보았을 것이다. 이런 행동을 우리 식으로 좋게 보면 친근감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으나 미국에서는 이런 일이 거의 금기사항으로 되어 있다. 내가 미국에 있을 때 나와 한 방을 쓰던 방 친구는 내 물건을 사용할 때마다
May I use it?
(그걸 좀 써도 돼?)
Do you mind if I use your pencil?
(네 연필을 써도 괜찮겠니?)
식으로 일일이 허락을 받고 사용하곤 했었다. 목욕실을 쓸 때도 번번히 내 허락을 받는데 나중에는 신경질이 폭발할 지경이었다. 어쩌다 내가 그 친구 물건을 허락 받지 않고 썼더니
Let's have a frank talk.
(우리 솔직히 말하자.)
You shouldn't make free with my possession.
(내 물건을 마음대로 써서는 안돼.)
145. Wine is not to my taste.
(포도주는 내 입에 맞지 않는다.)
아무 음식이나 덥썩덥썩 잘먹는 사람들도 많지만 입맛이 매우 까다로운 사람들도 많다.
이런 분들은
He has a delicate taste.
(그분은 입맛이 까다롭습니다.)
He is particular about food.
(그분은 입맛이 아주 까다롭습니다.)
라고 표현한다. 입맛이 까다로운 사람들 중에는 고급음식만을 즐기는 미식가들이 있는데 이런 분들은
He has a dainty tooth.
(그분은 입이 고급입니다.)
He is quite an epicure.
(그분은 아주 입이 고급입니다.)
He is a gourmet.
(그분은 미식가입니다.)
라고 표현한다. gourmet는 '구어메이'라고 발음을 해야하는 불어에서 온 말로 음식이나 고급 포도주에 정통한 사람을 가리킨다. 사람에 따라서는 그냥 어떤 음식이 입에 맞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Wine is not to my taste.
(포도주는 내 입에 맞지 않는다.)
Wine doesn't agree with me.
(포도주는 내 입에 맞지 않는다.)
어떤 음식이 입에 꼭 맞으면
It tastes just right to me.
(이건 내 입맛에 꼭 맞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