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회전"의 의미를 지닌 용어들의 차이점
① Turn : 특히 모던 종목에서 일반적으로 360도 미만의 회전 량으로 회전의 중심 축을 바꾸어 가며 비교적 천천히 회전하는 동작들을 일컫는다. 또한 단어가 내포한 의미상으로 볼 때 방향전환의 의미가 강하다.
② Pivot : Pivot(피봇)은 [추축(樞軸), 중심] 등 몇가지 뜻이 있으나 댄스 스포츠에선 한쪽 발에만 체중을 실어 볼(Ball)로 회전하는 동작을 지칭한다.
턴(Turn)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턴은 두 스텝 이상으로 구성되며 회전하면서 다음 발에 체중이 옮겨지나 피봇은 회전의 축이 된 발에 체중이 계속 남는다는 점이다.
퀵스텝의 쿼터턴 후반부에 사용되는 힐 피봇(Heel Pivot)이라는 동작도 있는데 이것은 한쪽 발에 체중을 실지만 볼(Ball)이 아니라 힐(Heel)에 체중을 싣고 힐(Heel)을 축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물론 한쪽 발의 볼(Ball)이나 힐(Heel)에 체중을 실어 회전했다고 전부 피봇은 아니다.
피봇(Pivot)이란 명칭이 붙으려면 체중이 실리지 않은 다리가 C.B.M(Contrary Body Movement)이 된 상태에서 몸의 앞 또는 뒤에 위치하며 회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왈츠의 "내추럴 스핀 턴"에서 여자 스텝의 제 4보는 왼쪽 발의 볼(Ball)로 회전하지만 C.B.M이 없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런 동작은 "피봇팅 액션(Pivoting Action)"이라 칭한다.
③ Rotation : 임의의 축을 중심으로 천천히 반복 순환되며 회전하는 동작을 지칭한다. 같은 동작 또는 비슷한 동작의 반복되는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④ Spin : 하나의 중심 축을 중심으로 비교적 빠르게 회전하는 동작에 붙여서 사용하며 회전 량은 360도 미만일 경우도 있고 360도 이상일 경우도 있다.
⑤ Swivel : 보통 180도 미만의 회전 량으로 중심 축을 중심으로 선회하듯이 발을 바꿔 가며 회전방향을 바꾸는 동작.
⑥ Spiral : 한 발을 축으로 1회전(360도)이 이루어지나 다른 발이 회전방향을 따라 축이되는 발에 나선형 모양으로 꼬여지게 되는 회전 동작. * Spiral은 라틴종목에서만 사용된다.
⑦ Curl : 꼬다, 비튿다, 둥글게 감다의 의미대로 사용되는 회전동작을 지칭하거나 그와 같은 동작을 포함한 피겨(Figure)의 명칭으로도 사용된다. * Curl은 라틴종목에서만 사용된다.
⑧ Circular : 특정한 축이 없이 순환성을 가진 원형의 모양으로 빙빙 돌거나 회전을 반복하는 동작의 명칭에 사용된다.
⑨ Round :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해서 원형으로 빙빙 도는 회전 동작의 피겨 명칭에 사용된다.
2. "반대의" 뜻으로 쓰이는 용어의 구별
① Contrary : [정반대, 반대의, 적합치 않은] 등의 의미를 지닌 단어로 댄스스포츠에선 모던 종목에서 몸의 역작용(진행하는 발과 골반 및 어깨가 반대로 되는)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② Counter : [계산기, 계산대, 반대 방향으로, 거꾸로, 정반대의, 역(逆)] 등의 의미를 지닌 단어로 댄스스포츠에선 "반대 방향으로"의 의미로 사용된다. 예) C P P(Counter Promenade Position)는 P P(Promenade Position)의 반대 방향이다.
③ Reverse : [역(逆), 반대, 후진, 불운, 상반되는, 위치,방향,순서를 거꾸로 하다] 등의 의미를 지닌 단어로 댄스스포츠에선 Natural(오른쪽(Right) 방향의 의미)에 반대하는 의미로서 사용된다. 즉, 왼쪽 방향을 지칭하는 의미로 쓰인다.
④Opposite : [마주보고있는, 반대편의, 맞은편의] 등의 의미를 지닌 단어로 위치가 정반대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3. Motion과 Movement의 차이점
둘 다 [동작, 이동]의 뜻을 내포하고 있으나 Motion은 움직이고 있는 상태를 지칭하는 경우에 사용되고 Movement는 특정한 방향으로의 정해진 일정한 움직임이 연속될 때 그 움직임 전체를 지칭한다.
4. Action, Tap, Step, Figure의 차이점
① Action : 정형화된 피겨(Figure)에 포함되지 않는 동작으로서 일순간에 일어나는 여러 신체 부위의 복합된 동작을 지칭한다. (예 : 파소도블레의 Appel 동작)
② Tap : 사전적인 의미 그대로 체중 전체를 한 쪽 발에 싣지 않고 발의 발가락 부분이나 볼(Ball) 부분으로 바닥을 두드리거나 또는 살짝 대는 동작이다.
③ Step : 걸음, 1보(步)의 뜻으로 전진이던 후진이던 간에 체중을 실어서 내딛는 한 걸음, 한 걸음을 스텝이라 한다.
④ Figure : 다른 형식(Patterns)들과 함께, 댄스의 기본을 구성하는 공인된 스텝모양(동작) 즉, 하나의 완성된 스텝들의 조합을 말한다.. 각 각의 피겨는 구성되어지는 스텝의 숫자에 상관없이 독특한 모습을 보여주게 되고 이런 여러 피겨가 모여서 연속적으로 추어지면 멋진 춤이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겨(Figure)는 2개 이상의 스텝으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완성된 스텝의 조합들은 서로 구별하기 위해 명칭을 갖게 되는데 그것이 피겨의 이름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댄스 교재들은 각 춤의 피겨를 중심으로 구분해서 설명되어 있다.
피겨의 예)
1) 왈츠 - 내추럴 턴, 리버스 턴, 내추럴 스핀 턴 ......
2) 룸바 - 팬, 하키 스틱, 알레마나, 핸드 투 핸드 ......
3) 퀵스텝 - 쿼터 턴, 내추럴 턴, 리버스 턴 내추럴 스핀.....
4) 삼바 - 내추럴 베이직, 삼바 워크, 휘스크.......기타 등등
5. "&" Count와 "a" Count의 차이점
& Count는 1박자인 ( ) 4분 음표를 8분 음표 두 개 ( )인 '반 박자'로 나누어 사용한다.
a Count는 1박자인 ( ) 4분 음표를 16분 음표 네 개( ) '1/4박자'로 나누어 사용한다.
모든 춤이 전부 그런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a Count를 사용하는 춤들(예: 자이브, 삼바)은 보통 Bounce가 있고, 모던 종목이나 차차차, 룸바에서와 같이 & Count를 사용하는 춤들은 대부분 Bounce가 없다.
6. Press Line과 Spanish Line의 차이점.
두 동작 모두 파소도블레 동작으로 많이 사용되며, 전체적인 자세의 모양은 비슷하나
Press Line은 앞발의 볼에 체중을 싣고 무릎을 많이 앞쪽으로 구부려야 하고
Spanish Line은 앞발에 체중을 싣지 않고 Tap을 사용한다.
7. Lock과 Rock의 차이점
발음이 비슷하기 때문에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두 용어의 뜻은 매우 다르다.
Lock은 [잠그다]의 의미 그대로 한 쪽 발을 다른 발과 교차시켜서 무릎을 붙였다 떼며 전진이나 후진 스텝을 하는 것이다.
Rock은 [흔들다]의 의미로, 스텝의 전진이나 후진 변화 없이 거의 제자리에서 몸의 중심을 양발에 왔다 갔다 실어주어 체중의 이동만 있는 것을 말한다.
Rock을 하며 진행방향을 바꿀 수는 있다. (예 : 탱고의 Rock Turn)
8. 몸의 기울기와 관련된 용어들
① Sway :
(스웨이) [기울이다]의 뜻으로 신체가 좌, 우로 경사지는 것을 말한다.
.
② Incline :
(인클라인) [몸을 구부리다, 기울이다]의 뜻으로 앞, 뒤로 기울어진 신체전체의 경사를 말하는 경우가 많다.
③ Lean:
(린) 보통 스웨이(Sway)는 바디스웨이(Body Sway)를 말하며, 좌우로 경사짓는 것을 말하는데, 이 린은 몸을 전,후,좌,우로 경사지을 때에 사용하는 용어이다.
9. 찌르는 듯한 동작의 구별
댄스스포츠에서는 찌르는 듯한 동작의 표현에 Lunge와 Stab 이라고 하는 단어를 사용하는데 Lunge는 "Right Lunge" 나 "Same Foot Lunge"에서 처럼 신체 전체로 체중의 이동과 함께 창을 찌르는 듯한 동작을 지칭하는데 사용되고 Stab은 체중을 싣지 않은 상태에서 팔만을 쭉 뻗어 찌르는 듯한 동작에 사용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Stab Reverse" 나 "Stab Contra Check"과 같이 몸 전체로 찌르고 들어가는 듯한 느낌의 동작들도 있다.
10. Whip Spin과 Spin Whip의 차이점
둘 다 자이브의 응용된 피겨(Variation)로 사용되는데 명칭은 비슷하나 피겨의 동작은 완전히 다르다.
Whip Spin - 리드하는 손을 여자의 머리 위로 돌린다.
Spin Whip - 리드하는 남자의 팔이 여자의 허리에 감겼다가 풀린다.
11. Flick과 Kick의 차이점
플릭(Flick)과 킥(Kick)은 주로 라틴 댄스 종목에서 자주 사용되는 다리 동작으로 특히, 자이브에서 많이 사용하므로 정확히 구별해서 인지하고 연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Flick - 무릎에 힘을 넣지 않은 체로 무릎을 들어 올렸다가 빠르고 가볍게 다리를 털 듯이 뻗는다.
Kick - 무릎에 힘을 넣어 다리를 쭉 뻗는다.
12. Sailor Shuffle과 Drunken Shuffle의 차이점
둘 다 자이브의 베리에이션(Variation)에서 사용되는 동작의 명칭으로 동작의 모습과 명칭이 비슷하기 때문에 혼동하는 사람들이 많으므로 주의해서 연습해야 한다.
Sailor Shuffle - 상체가 먼저 기울어지면서 다리 동작이 이뤄 져야 한다.
Drunken Shuffle - 머리의 중심 축은 유지한 체 다리 부분이 좌, 우로 움직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