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쑥뜸은 온열요법으로서~ 냉해지기 쉬운 신체에 원기를 북돋워주고, 혈액순환을 개선하며,
어혈을 해소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특히 복부에 떠주는 뜸은 복부 장기를 조절하는 자율신경(복강신경총)을 일깨워 장의 어혈을 해소하고,
내장기관에 활기를 주도록 내부 체온을 안정적으로 상승시키며, 소화흡수를 촉진한다.
그래서 배꼽을 중심으로 인체의 정중선, 배꼽 밑 3촌에 위치한 단전(관원)과 배꼽 위 4촌에 위치한 중완 등에
뜸 떠주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때도 먼저 인체의 해부학적 중심이자 문인 배꼽을 약 -3-5분가량 충분히 뜬 후 중완과 단전을 떠준다.
가급적 뜸기 하나로 사용하고, 그 하나를 손으로 잡고서 신중히 뜸을 뜬다.
좀더 세분화 하면, 하복부의 원기를 북돋우고가 할 때는 단전을~
위장을 위시한 장기 특히 소화기의 기능을 조절하고자 하면 중완을 뜸을 떠 주는 것이다.
*하나의 뜸기로 정신을 집중하여~ 복부에서 중완, 배꼽, 단전 등을 정해 뜸뜨는 방법을 태양신경총 뜸법이라 하겠다.
** 장기를 조절하는 부교감신경과 교감신경
자율신경의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은 그 분지되는 영역이 서로 구별된다.
교감신경은 흉추 요추에서 거의 균등히 상하로 분포하여 장기들을 조절하고 있다.
한편 부교감신경은 뒷목과 엉덩이 부근에서 분지되고 있다.
그런데 장기를 조절하는 10번 미주신경은 연수에서 시작하여 목정맥구멍을 통과한 후
위아래 신경절과 연결된다.
아래로 진행하면서 가로막을 통해 배에 도달한다.
특히 횡격막 하단에서는 위장 비장 췌장, 그리고 좀더 내려와서는 소장 대장에 작용하고 있다.
자율신경 중 정신을 안정시키고 소화를 촉진하는 부교감신경의 분포에서~
10번 미주신경은 연수에서 나와 목과 흉강을 지나 복강에 머물러 장기들을 다스린다.
이 신경은 소화흡수를 촉진하고 마음을 안정되게 하며, 에너지를 축적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복부뜸법을 적용하고자 하면,
한방에서 말하는 중완 배꼽 단전을 떠 주는 방법으로 자율신경들을 일깨울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명치 바로 안쪽에서 태양신경총(복강 신경총) 이라 불리기도 하는 이곳은 ~
자율신경의 집합체로서 태양이 방사광을 비치는 모양과 흡사한다고 하여 그 이름이 붙여졌다.
웰빙뜸은 온열(45-50도)요법으로~
배꼽을 중심으로 배꼽-단전을 가장 많이 뜨고(전체시술의 2/3 정도), 배꼽보다 위로는 전체시술의 1/3 이하로 떠 준다.
또 배꼽 옆 천주는 배변을 촉진하는 곳으로 우측을 떠 준 후에 좌측을 떠 준다.
* 단전을 가장 많이 떠주어 원기를 북돋워 주는 것이 좋으며, 중완이나 하완은 자율신경의 조절능력을 회복하는 선에서 간단히 떠준다.
복부 중완은 태양신경총부근/ 원적외선 뜸법은 효과적으로 장기를 노크한다 .
위무력증 소화흡수장애 위통 속쓰림 / 비장 및 췌장의 조절능력 회복 / 원기회복 등
* 편리하게 하루 2-30분 뜸을 떠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중완 배꼽 단전에 뜨는 뜸법은~
복부의 교감신경과 함께 부교감신경에 속하는 복부 뜸법으로~
호흡기계, 심장혈관계, 소화기계에 대한 자율신경작용이 더해진다.
미주신경 활동으로~ 기관지 수축, 심장활동 억제, 소화관 운동촉진과 소화액 분비촉진,
신장 및 부신수질 분비촉진 등의 부교감신경을 일깨우는 효과가 더해 진다.
웰빙뜸법을 하부요추 부위에도 떠줄 수도 있다.
특히 부인과 수술후 회복뜸법이나, 비뇨생식기 및 하초를 튼튼히 하기 위해서 잠시 하부요추 및 선골부(부교감신경 영역)에 뜸을 떠준다.
배꼽은 태아때 모든 것을 모태로부터 받아들였던 문(門)이었기에 성장 후에도 뜸을 뜨면 인체 내로 흡수가 촉진된다.
자율신경에 영향을 주는 온열요법(태양신경총 뜸법)에 의한 생리 및 명현반응
첫댓글 광명뜸기의 과학적 구조
1. 센터링에 의해 쑥탄이 센터에 고정됨
2. 쑥뜸기 내부의 연소통 외부에 청동 링이 둘러져 장착되어 열이 고루 전파됨
3. 쑥탄이 사용중 떨어지지 않도록 스프링식 안전뚜껑으로 보호됨
왜 쌍둥이 뜸인가?
1. 제중이라 불리는 배꼽과 단전의 거리를 잘 유지해준다.
2. 쌍둥이뜸 단전뜸 고정대는 두개의 뜸기를 안정적으로 잡아준다.-어깨 등 머리에도 비교적 안정적임.
3. 대장의 경로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돌려가며 뜨는 뜸이 용이하게 적용됨
상행결장 - 횡행결장 - 하행결장 - S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