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바네펨계 |
이미페넴 |
메로페넴 |
도리페넴 |
얼타페넴 |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
아미카신 |
겐타마이신 |
토브라마이신 |
|
플로로퀴놀론계 |
시프로플록사신 |
레보플록사신 |
|
|
CRE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진단: 카바페넴계 항생제에 내성을 나타내는 장내세균속균종으로 장내세균에는 대표적으로
대장균(Escherichia coli), 클렙지엘라 (Klebsiella), 엔테로박터(Enterobacter), 사이트로박터
(Citrobacter), 세라시아(Serratia) 등 있다.
증상: 주로 요로감염을 일으키며 위장관염, 폐렴 및 패혈증 등 다양한 감염증 유발
치료: 항균제는 콜리스틴(colistin) -> 신장 독성 위험
티제사이클린(tigecycline), -> 혈액 농도가 낮아 중증 질병에 사용
*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은 아미노글리코사이드(aminoglycoside), 퀴놀론(quinolone),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등의 다양한 항균제에도 내성을 보이기 때문에 치료 어렵다.
해제: 선제격리) 대변 및 직장 도말 검사에서 1일 간격 2~3회 음성 시
일반격리) 3일~7일 간격으로 3회 연속 음성 시
CPE (carbapenem-producing Enterobacteriaceae)
카바페넴 분해효소 생성 장내세균
CRE와 위 내용 같음
해제: P-S배양검사 결과가 2회 연속 음성 시
VRE( vancomycin-resitant enterococ)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진단: 반코마이신을 포함한 Glycopeptide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장알균으로 대표적인
E. faecalis와 E. faecium이 있음.
치료: 감수성을 보인 항생제계로 치료
증상: 각종 감염
해제: 선제격리) 1일 간격 2~3회 음성 시
일반격리) 3일~7일 간격으로 3회 연속 음성 시
첫댓글 https://cafe.naver.com/nurseworld/13957 -> 항생제 2
https://cafe.naver.com/nurseworld/13950 -> 항생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