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우(우학도인) 권태훈 옹께서는 누구? 이신가?~~
국대 80년대 최대 베스트셀러 실화소설 *단,의. 실체 주인공이신 우학도인 이신 대종교 총전교12.13대 총전교 엮임하시고 단학수련 대가이신 봉우 權泰勳 선생님 약력 소개
한국학 중앙연구원 민족문화 대백과 사전 원고..
權泰勳 1900년~1994년.
선인(仙人), 종교가. 한의학자 .예언가
본관은 안동. 서울 齊洞 출생.
權慄장군의 11대손. 아버지는 대한제국의 內部 版籍局長, 평산군수 珍島군수를 역임한 權重冕. 어머니는 淑夫人 경주김씨.
字는 允明 또는 聖祈였으며, 아명은 寅鶴이었다. 호는 如海, 鳳宇, 勿勿, 然然등이 있다.
봉우선생님 부친이신 권중면님은 을사조약에 서명한 권중현과 형제의 의를 끊고, 1907년의 정미칠조약을 계기로 벼슬에서 물러났다.
권태훈선생님은 이러한 특수한 가계와 집안 분위기, 시대적 상황 속에서 어린 날을 공주에서 보내셨다.
어머니에게 6살 때에 조식법을 배운 이래 선도의 세계를 접하였으며, 어려서 부터 유교경전들을 섭렵하기 시작하셨다.
10세 때인 1910년에는 서울 종로의 마동(麻洞)에 있는 단군교(대종교)
포교당에서 나철(羅喆) 대종사님를 뵙고 수교(受敎)하셨다
봉우 선생님은 말년에 8년동안 대종교의 총전교에 취임하셨다.
충북 영동의 보통학교에 다니면서 수학 등 근대학문을 접하신다. 이 때 일본 유람단으로 첫 번째 도일을 하신다.
13세 때 선도계의 거인인 우도방주(右道坊主)인 김일송(金一松) 선생을 처음 만나고, 19세에 김일송 선생을 따라 구월산에 입산하여 3개월간 선도 수련에 입문하셨다. 이때 좌도 우도의 여러 심법(心法) 등을 전수받으셨다.
이 후 인천에서 산주(汕住) 박양래(朴養來) 등 선도계의 여러 인물들을 만나기 시작하셨다.
기미독립운동 이후에 만주에서 북로군정서 노은(蘆隱) 김규식(金圭植) 장군 부대의 일원으로 독립전쟁에 참여하셨고, 국내로 잡입하여 지하운동을 하셨다.
해방 이후에 한독당에 가입하는 등 정치운동에 나섰으나 고난을 치룬 듯 하다.
60세 때에 공주에 연정원을 신축하여 수련을 하다가 65세 때에 상경하여 한의원을 개업하셨다.
83세가 되는 1982년에 대종교의 최고지위인 총전교에 12.13대
취임하셨다.
2년 후인 1984년에 ‘丹’이란 책을 통해서 선인으로서 세상에 드러나셨다. 1986년에는 한국단학회 연정원을 설립하고 총재에 취임하셨다.
1989년에 수필집 백두산족에게 告함 출판, 천부경의 비밀과 백두산족 문화를 구술하여 출판하였고, 1994년에는 민족비전 정신수련법을 감수 출간하였다.
그리고 95세인 1994년 공주 반포면 상신리에서 운명하셨다.
권태훈 선생님 은 유․불․선의 여러사상을 두루 섭렵하였으나 주로 선도를 바탕으로 하였으며,시대적 영향을 받아 민족종교인 대종교의 사상도 영향받은 듯 하다.
6세 때부터 시작한 호흡법을 기본으로 생애 내내 선도 수행에 열중하셨고, 예언․사상 등도 역시 그에 기초한 것이 많았다. 원자탄의 발명과 일본의 멸망을 예언하셨으며, 쏘비에트 연방의 붕괴도 1951년에 예언하셨다. 향후 남북의 통일과 중국의 분단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발언하셨다. 뿐 만 아니라 인류의 문명을 비판하며 미래를 전망한 문명비평가의 면모도 가지셨다.
권태훈 봉우 선생님은 선도수련을 대중화시키고자 선도 수행법을 소개하고,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보다 체계화시키셨다.
선도는 수행방법과 조직․논리 등이 ‘비인물전(非人勿傳)’, 즉 비공개를 원칙으로, 수행자들간에만 전달되는 특성을 갖고 있다.
권태훈 봉우 선생님 ‘단’의 출간을 계기로 선도의 실체를 세상에 드러내고, 강의․강연 등은 물론 저술활동도 하셨으며, 1986년에는 수련단체인 연정원을 설립하셨다.
봉우 선생님께서는 선도수련의 실제와 과정 내지 선도인들의 활동을 역사상의 인물은 물론 당시대에 살았던 사람들을 실명으로 등장시키고 활동을 구체적으로 공개하셨다
이러한 공개적인 태도는 선도가 일반화되고, 또한 조직화되는 계기를 마련하셨다.
단의 출간 이후 선도 혹은 이와 유사한 흐름은 일상생활의 영향을 끼쳤으며, 사회문화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었다.
봉우 선생님은 선도가 현실도피적이고 은둔적인 성격을 탈피하여 실제생활에 응용하고, 수련자나 집단에게 구체적인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현실적인 입장을 취하셨다.
‘거거저 중지 행행행 리각(去去去中知 行行行裏覺)’란 문장을 사용하여 행위의 측면을 매우 중시하셨다.
호흡수련법과 선도적인 의술, 민족체술 등을 복원하고 체계화한 일 등은 선도를 생활화한 의미있는 일이셨다.
봉우선생님은 선도의 초역사성, 탈역사인식을 극복하여 역사성을 가진 사회사상으로변화시키셨다.
특히 선도가 민족역사에 근원에 두었으며 선도수행과 인식을 통해서 민족의 이상을 실현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셨다.
나아가 21세기는 문명의 내용과 실현 방법 등에서 전환이 일어나며, 주체가 백인에서 황인으로 바뀐다는 ‘황백전환론(黃白轉換論)‘을 주장하셨다.
이러한 문명의 전환과정에서 한민족이 적극적인 주체세력이 되어야 한다는 역할론이 바로 ‘백산대운론(白山大運論)’‘백두산족론(白頭山族論)’이다.
이러한 문명관은 학문과 수행, 사상적 편력 등을 통해서 단계적으로 형성되었으나, 천지도수의 변화, 원상(原象), 산법(算法) 등의 선도적 방법론도 근거로 하고 있다.
‘丹’이란 책을 통해서 봉우 선생의 존재와 사상이 알려진 이후 한국 사회는 각 분야에서 적지 않은 변화를 겪었다.
丹은 출간 이후 1997년까지 약 80만 부 이상이 팔렸으며, 이와 유사한 책, 혹은 단학 내지 동양사상과 관련된 책들이 수십종 간행되었다. 뿐만 아니라 ‘丹’에서 언급한 민족의 자의식과 관련하여 소위 재야민족사서류 등이 계속해서 출간되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하였다.
또한 건강․과학․예술․문학 등에도 영향을 끼쳤다. 추상적이고 비과학적으로 여겨졌던 氣의 존재를 일반화시켰고, 과학적으로 접근하고, 학문의 영역으로 끌어들이는 계기를 만들기도 하였다.
무엇보다도 생활화 시키셨다.
1980년대 인간의 정신과 가치관은 물론 사회문화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그 당시의 한국사회의 여러 모순을 극복하고자 노력한 또 하나의 중요한 흐름이었다.
왜곡당한 민족의 정체성을 확인시키고, 자긍심을 갖게한 것은 매우 의미있다. 특히 한민족의 정체성을 민족 내부의 문제를 뛰어넘어 세계는 물론 문명의 전환이라는 거시적인 입장에서 생각하게 한 역할은 우리 인식의 폭과 범주를 확대시킨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참고문헌】
民族秘傳과 정신수련법 鳳宇 權泰勳 감수 정재승 편저.정신세계사, 4327(1994)
天符經의 비밀과 백두산족 文化 鳳宇 權泰勳 옹 구술및 감수. 안기석연구 정재승 엮음 정신세계사 4331(1997).
백두산족에게 告함 봉우 권태훈, 정신세계사, 4331(1989).
民族知性 2호, 1996년 11월.
丹 김정빈 정신세계사, 1984
각종 신문 및 잡지기사. 필자와의 대담.(생존시)
제자들과의 인터뷰. 정재승 엮음 봉우선생 연보 자료.